$\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씨를 첨가한 저염 고추장의 품질 분석
A Quality Analysis of Low-Salted Red Chilli Seed Powder added Gochujang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195 - 205  

김미향 (수성대학교 호텔조리과) ,  김동석 (영남대학교 외식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추씨 분말을 부재료로 이용하여 0%, 10%, 20%, 30% 별로 첨가량을 달리한 고추씨 고추장을 제조하여 $28^{\circ}C$에서 10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균수는 발효 기간 중 2.7~3.22 log CFU/g 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처리구간에 차이는 없었고, 산도의 변화는 pH와 반대로 숙성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성 100일째 고추씨분말 첨가 고추장의 산도는 0.45~0.42 mg% 수준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제조 초기보다 고추씨첨가량이 많을수록 숙성 될수록 증가하였다. 기호성 등의 관능검사에서 고추씨가루(20% 첨가)에서 가장 발효에 적합한 조건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reatments of Gochujang during fermentation at $28^{\circ}C$ C for 100 days, in an effort to improve its taste and organoleptic quality. All treatments of Gochujang saw no effects on total viable bacterial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추씨의 매운맛으로 인해 저염으로 인한 느끼함을 감소시키고,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비타민 E와 β-sitosterol 등을 함유하고 있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 강한 항균활성이 있으며, 또한 Bacillus subtilis에 대해서도 생육억제 효과가 강하다(Ku KH 등 2008, Sim KH와 Han YS 2007)고 알려진 고추씨를 첨가한 저염 고추장을 제조하여 고추씨 첨가량에 따른 고추장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저염 고추장 개발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추장의 나트륨 함량을 저감화 하는데 기여하고, 고추장의 저염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인 고추장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된장과 고추장의 고 염도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4배가 된다. 한편, 식염 섭취량의 약 73% 정도가 장류식품 등에서 온다는 보고가 있어 된장과 고추장의 고염도에 대해 대처가 필요하며, 그 일환의 하나로 국민건강과 보건 측면에서 된장, 고추장 등의 고염 장류제품을 저염화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Lim SI & Song SM 2010).
고추장에 첨가되는 소금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 생길 수 있는 병은? 최근 고추장이 건강식, 자연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고추장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 또한,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달라져 맛, 색, 그리고 향기와 같은 관능적 특성과 식품의 기능성을 중요시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Kim JS 2005). 특히 고추장에 첨가되는 소금은 짠 맛에 관여하며, 과다한 사용은 고혈압, 뇌졸중, 위암, 신장병, 간경변증, 만성신부전증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기호성 향상과 성인병 예방 등의 건강을 위해 염도를 낮춘 고추장을 제조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Park BJ 등 2002). 그러나 갑자기 염도를 낮추게 되면 맛이 없다고 느낄 수 있고, 발효음식은 일정 기간 숙성을 필요로 하므로 숙성․저장 과정에서 이상발효가 일어나기 쉬우며, 보존성도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염도를 줄이면서도 장류 특유의 깊은 맛을 내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고추장의 염도를 낮출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특히 고추장에 첨가되는 소금은 짠 맛에 관여하며, 과다한 사용은 고혈압, 뇌졸중, 위암, 신장병, 간경변증, 만성신부전증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기호성 향상과 성인병 예방 등의 건강을 위해 염도를 낮춘 고추장을 제조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Park BJ 등 2002). 그러나 갑자기 염도를 낮추게 되면 맛이 없다고 느낄 수 있고, 발효음식은 일정 기간 숙성을 필요로 하므로 숙성․저장 과정에서 이상발효가 일어나기 쉬우며, 보존성도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 염도를 줄이면서도 장류 특유의 깊은 맛을 내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위한 장류 발효 시 저염화에 관한 연구로는 제조 과정에서의 부원료첨 가(Kim DH 2005), 양고추냉이 첨가(Shin DH 등 2000), 키토산첨가(Na SE 등 1997), 효모 첨가(Yoo JY 등 1998), 전기투석(Chung JH 등 2002), 고추씨 첨가 된장(Ku KH 등 2009), 염농도에 따른 된장의 향미 변화(Han DH 2014) 등의 연구가 있으며, 또한, 고추장의 저염화에 관한 연구로서 고추장의 품질은 숙성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고추장의 기능성 및 숙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토마토퓨레(Seo MJ 등 2012) 청양고추가루(Shin KE 등 2011), 단감분말(Kim JY 등 2011), 겨자 및 키토산(Lim Sl & Song SM 2010)를 첨가하여 미생물에 의한 숙성을 조절하려는 연구가 보고되었으나, 고추씨를 이용한 관련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B, Park JA, Jo H, Woo I, Lee SH, Jang KI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Korean J Food & Nutr 25(1):142-148. 

  2. Ahn PR (2005).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behavior for environment-friendly agri-products on consumers in Gwangju. Korean J Organic Agri 13(3):229-242. 

  3.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25-132, Washington, D.C, USA. 

  4. Byun OH, Park JM, Park YS, Bai DH (2014). Analysis of microflora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raditional Gochujang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alt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8(4):282-292. 

  5. Chae IS, Kim HS, Ko YS, Kang MH, Hong SP, Shin DB (2008). Effect of citrus concentra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626-632. 

  6. Choi SK, Shin KE, Lee MS, Kim SH, Choi EH (2010).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jujube Gochujang.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5):264-276. 

  7. Choo JJ, Shin HJ (2000). Sensory evaluation and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pumpkinadded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2:851-859. 

  8. Chung JH, Mok CK, Lim SB, Woo GJ, Baek HH, Park YS (2002). Desalination of traditional soy sauce using electrodia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811-817. 

  9. Eun SD,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23-30. 

  10. Han DH, Park JM, Bai DH (2014). Analysis of changes in microflora and flavor of low and high salt content soybean paste(Doenjang). Food Eng Prog 18(4):300-306. 

  11. Kim DH (200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sub-materials. Korean J Food Cook Sci 37(3): 449-455. 

  12. Kim HJ, Hong CO, Nam MH, Ha YM, Lee KW (2012).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apsicum annuum ethano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6):727-732. 

  13. Kim JS (2005).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0(5):499-507. 

  14. Kim JS (2005) A comparative study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nd oyukjang during storage at different ripening temperature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37-53. 

  15. Kim JY, Hwang SJ, Eun JB (2011).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with different amount of sweet persimm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8(5):706-713. 

  16. Kim MS, Kim IW, Oh JA, Shin DH (1998).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 924-933. 

  17. Kim SM, Cho YS, C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626-632. 

  18. Kim YS, Kwon DJ, Oh HI, Kang TS (1994). Composi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1):12-17. 

  19. Kim YS, Song GS (2002). Characteristics of kiwi fruit-added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6):1091-1097. 

  20. Ko BS, Kang SW (2004). A study on the perception for regional food in Dae-gu area.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4):15-30. 

  21. Ku KH, Choi EJ, Park W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dded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1):1587-1594. 

  22. Ku KH, Choi EJ, Park JB (2008). Chemical componenet analysi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with various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8):1084-1089. 

  23. Lee SK (1984). Effect of the red pepper seed content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chujang. Kor J Appl Mocrobiol Bioeng 12(4):293-298. 

  24. Lim SI, Song SM (2010).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licorice (Glycyrrhiza glabra),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4):560-566. 

  25. Na SE, Seo KS, Choi JH, Song GS, Choi DS (1997). Preparation of low salt and functional Kochujang containing chito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2):193-200. 

  26. Park BJ, Jang KS, Kim DH, Yook HS, Byun MW (2002).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low salt content and gamma irradiation. Kor J Food Sci Technol 34(1):79- 84. 

  27. Seo MJ, Kang BW, Park JU, Kim MJ, Lee HH, Kim ZS, Yoo MB, Kim HS, Kim SM, Jeong YK (2012).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functional Gochujang including grain syrup with tomato puree. J Life Science 22(11):1463-1469. 

  28. Shin DH, Ahn EY, Kim YS, Oh JY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containing horseradish or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1350-1357. 

  29. Shin DH, Kim DH, Choi U, Lom MS, Ah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y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901-906. 

  30. Shin KE, Choi SK, Choi I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ified green Gochujang prepared with Chengyang pepper powder and roasted soy powder.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4):307-315. 

  31. Sim KH, Han YS (2007). The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ed pepper and red pepper pericarp (Capsicum annuum L.). J Food Sci Nutr 12(4):273-278. 

  32. Tseng TH, Kao ES, Chu CY, Chou FP, Lin Wu HW, Wang CJ (1997). Protective effects of dried flower extracts of Hibiscus sabdariffa L. against oxidative stress in rat primary hepatocytes. Food Chem Toxicol 35(12):1159-1164. 

  33. Yoo JY, Kim HG, Kwon DJ (1998). Improv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raditional Kanjang (Korean-style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268-2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