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방치료를 통한 백반증 치험 4례
Clinical Report of 4 Vitiligo Cases Treated as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8 no.1, 2015년, pp.143 - 151  

김기배 (하늘마음한의원) ,  김태욱 (하늘마음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acy of treatment of vitiligo patients in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 This case study was done on four vitiligo patients who had visited Korean Medicine Clinic. All the patients are treated with herbal medicat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언급된 연구들과 같이 멜라닌 세포에 관한 실험이나 한약과 침 치료 이외의 치료법을 병행 또는 단독으로 시술하여 백반 증이 호전된 연구들은 다수 보고되고 있지만, 한약 복용과 침 치료만을 병행하여 호전된 백반증 치료 사례에 대한 보고는 다소 부족해 보인다. 이에 따라 저자는 앞서 언급된 연구들과 달리 辨證을 통한 한약 복용과 침 치료만을 병행하여 난치성 질환 중 하나인 백반증이 호전된 사례들이 있어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백반증에 대한 원인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치료에 대한 정확한 기전과 방법 역시 밝혀진 바가 없으며, 치료에 대한 호전도에 대한 연구 실정도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한의학적 방법 중 하나인 辨證을 통해 환자에게 맞는 개별 처방을 하였고 이를 하루에 2회씩 복용시키면서 1주에 1회 또는 2회 정도 본원에 내원하여 침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난치성 피부질환인 백반증이 호전된 사례가 있어 본 논문을 통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반증이란 무엇인가? 백반증은 피부 내 멜라닌 세포가 소실됨으로써 나 타나는 후천성 탈색소 질환으로 특정한 부위의 구분 없이 다양한 크기나 모양으로 흰색 반점이 나타나는 질환이다1). 이러한 백반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자가면역설, 신경체액설, 멜라닌세포 자가파괴설 등이 전반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12).
백반증이 생명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나 백반증은 생명에 지장을 주는 위험한 질환은 아니지만 환자 자신의 사회생활이나 대인 관계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오히려 타 질환에 비해 본인의 정신적 상태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환으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4). 즉, 전신적로는 건강하나 피부의 미용적 문제로 인해 정신적 스트레스 발생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13).
백반증의 대표적 치료방법과 부작용은 무엇인가?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백반증의 대표적 치료 방법으로 자외선 치료와 표피이식 치료를 들 수 있는데, 간 혹 자외선 치료는 화상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표피이식은 치료 후 발생하는 켈로이드나 새로운 백 반증 발생 등의 부작용이 존재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백반증의 치료는 18개월에서 24개월 정도로 긴 기간이 필요로 하므로, 백반증의 경우 환자 본인이 치료를 하고자 하는 자신의 의지와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 HG, Yun SJ, Lee JB, Kim SJ, Won YH, Lee SC. A clinical study of 265 patients with vitiligo in the Gwangju Chonnam province. Korean J Dermatol. 2005;43:1316-20. 

  2. The Korean Medical Dermatology & Surgery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Medical Dermatology & Surgery. Busan:Sunwoo. 2007: 453. 

  3. Seo HS. The effcect of Gorynju and a Soju extract Psoraleae fructus on Melanin synthesis of B16 melanoma cell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8;21(1): 96-103. 

  4. Jeon EK, Park YO, Seo YJ, Lee JH, Park JK.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vitiligo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8;46:874-80. 

  5. Lee SD. A Documentary Study on Herb, Drugs for Vitiligo.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1995;16(2):44-61. 

  6. Kang KJ, Ahn C. A Study on the basis of Literature on the Treatment on Tinea Versicolor and Vitiligo.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1990;3(1): 109-25. 

  7. Park JS, Nam WY, Moon YJ, Kim KH, Jeon BH, Woo WH. Effect of Seosiokyongsan on the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 Line. Korean J of Orient Med Pathol. 2000;14(1):160-70. 

  8. Lim TW, Lee JW, Lee MH. Effects of Licorice Extract on Proliferation and Melanization in Cultured Normal Human Melanocytes. Kyung-Hee Medicine. 2000;16(2):143-50. 

  9. Yang HO, Choi WH, Jeon BH, Baek SH, Chun HJ. Water Extract from Cornis Fructus Regulates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02;16(4):818-22. 

  10. Chung JH, Seo HS. The Effects of Psoraleae fructus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of B16 Melanoma Cell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05;26(3):55-65. 

  11. Jung JH. Seo HS. One Case Report of Vitiligo.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5;18(3):121-6. 

  12. Yu HJ, Park KC, Ahn JS, Lim JG, Kwon TE, Koh WS, et al. Clinical study of vitiligo. Korean J Dermatol. 1998;36: 1037-42. 

  13. Mosher DB, Fitzpatrick TB, Ortonne JP. Abnormalitis of pigmentation, In: Fitzpatrick B, Eisen AZ, Wolff K, editor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2nd ed. New York : McGraw-Hill Book. 1979:582-90. 

  14. Kang WH. Atlas of Skin Disease. Seoul:Hanmi Medical. 2003;227-31. 

  15. Ji SY, Kwon YK, Shin SK. The Study on the Korean and Western Medical Literatures for Vitiligo. The Journal of Jehan Oriental Medical Academy. 1999;4(1):26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