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 활성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Pleurotus ostreat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1, 2015년, pp.60 - 65  

최해연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  류혜숙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품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버섯 중에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느타리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0.2{\pm}0.7mg%$$20.4{\pm}0.6mg%$로 나타났다. 0.625, 1.25, 2.5, 5 mg/mL 농도에서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0.625의 농도에서 $4.5{\pm}0.1%$, 1.25의 농도에서 $11.0{\pm}0.4%$, 2.5 mg/mL 농도에서 $23.2{\pm}0.1%$, 5.0 mg/mL 농도에서 $44.1{\pm}0.6%$의 결과를 보였다. 환원력은 5 mg/mL의 농도에서 $1.648{\pm}0.047$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보여주어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 값도 증가하여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의 인간 정상 신장세포 HEK293을 이용한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80.5%의 생존력을 나타내어 독성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이들 버섯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한 간암세포 생육 저해능의 결과는 최고 5 mg/mL의 농도에서 $70.0{\pm}5.3%$의 세포 생존력을 나타내어, 암세포 성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remedies as well as food sources. This study particularly used an extract of Pleurotus ostreatus among many other mushrooms for research to figure ou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 effect of cytotoxin. The result of antioxidative eff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버섯 중에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세포 독성 시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품으로 많은 연구들에서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버섯 중에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느타리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타리버섯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버섯은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느타리버섯은 식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 받고 있다.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은 육질이 유연하고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액순환 촉진, 고혈압, 당뇨병, 항암 등의 약리 효과도 알려져 있다(Kim YS1998). 또한 느타리버섯의 항암 효과(Park 등 1998), 항산화효과 및 열안정성(Jung 등 1996), 혈당 감소 효과(Kang 등2001)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느타리버섯을 첨가한 김치(Han등 2002), 기능성 고추장(Ahn 등 2003) 등 식품 활용 측면에서의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면역 증강효과(Ryu HS 2014)와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도 이용되고 있다(Kang 등 2004; Kim 등 2004).
페놀성 화합물은 무엇인가?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 항산화, 항균 활성 등의 생리 활성 기능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urkee & Thivierge1977; Kozlowska 등 1983).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caffeic acid 및 quercetin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Table 1).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효과를 연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어떤 값을 얻었는가? 본 연구는 다양한 버섯 중에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느타리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0.2±0.7 mg%와 20.4±0.6 mg%로 나타났다.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MR, Jeong DY, Hong SP, Song GS, Kim YS. 2003. Quality of traditional Kochujang supplemented with mushrooms. J Korean Society Agricultural Chemistry & Biotechnology 46:229-234 

  2. An CS, Choi SY, Kim HL, Jeon YH, Hur SJ, Kim IH, Park GD, Jeoung YJ, Lim BO. 2009.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on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217-222 

  3. Benzie IF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direx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15-27 

  4. Chen MH, Bergman CJ. 2005. A rapid procedure for analyzing rice bran tocopherol, tocotrienol and oryzanol contents. J Food Compos Anal 18:139-151 

  5.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 24:299-303 

  6. Chung BH, Seo HS, Kim HS, Woo SH, Cho YG.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fermentation vinegars with Phellinus linteus, Inonotus obliquu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113-117 

  7. Durkee AB, Thivierge PA. 1977. Ferulic acid and other phenolics in oat seeds. J Food Sci 42:551-558 

  8.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966-968 

  9. Han SY, Park MS, Seo KI. 2002. Biological activities of oyster mushroom Kimchi. Korean J Food Preservation 9:56-60 

  10. Jo JE, Kim KH, Kim MS, Choi JE, Byun MW, Yook HS. 2011. Antioxidant activity from different root parts of 6-year-old Panax ginseng C.A. Meyer (Yun-poo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93-499 

  11. Jo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eseong-juak prepared with Prunus yedoensis Matsumura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6:92-100 

  12. Jung IC, Park S, Park KS, Ha HC, Kim SH, Kwon YI, Lee JS. 1996. Antioxidative effect of fruit body and mycelia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464-469 

  13. Kang HI, Kim JY, Moon KD, Seo KI, Cho YS, Lee SD, Yee ST. 2004. Effect of the crude polysaccharide of Pleurotus ostreatus on the actication of immune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092-1097 

  14. Kang TS, Kang MS, Sung JM, Kang AS, Shon HR, Lee SY. 2001.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in diabetic rats. Korean J Mycology 29:86-90 

  15. Kim JY, Kang HI, Park KU, Moon KD, Lee SD, Cho SH, Wee JJ, Kyung JS, Song YB, Seo KI. 2004.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leurotus ostre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589-1593 

  16. Kim KD. 2004.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plant on antioxidation and ultraviolet rays absorption. J Kor Soc Cosm 10:145-153 

  17.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1373-1380 

  18. Kozlowska H, Rotkiewicz DA, Zadernowski R, Sosulski FW. 1983. Phenolic acids in rapeseed and mustard. J Am Oil Chem Soc 60:1119-1131 

  19. Lai P, Li KY, Lu S, Chen HH. 2009.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Japonica rice bran. Food Chem 117:538-544 

  20. Lee SO, Kim MJ, Kim DG, Choi HJ. 200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emperature-stepwise water extracts from Inonotus obliqu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39-147 

  21. Lee YM, Lee JJ, Lee MY. 2008. Antioxidatives effect of Pimpinella brachychycarpa ethanol extract. J Life Sci 18:467-473 

  22.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Ethnopharmacol 71:109-114 

  23. Oh HT, Chung MI, Ham SS. 2009. Anticancer activity on ethanolic extract of the 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42-145 

  24. Oyaizu M. 1986. Stdu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307-315 

  25. Park MH, Oh KY, Lee BW. 1998. Anti-cancer activity of Lentinus edoed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0:702-708 

  26. Re R, Pellegrini N, Pannlal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1231-1237 

  27. Ryu HS. 2014. Enhancing effect of Pleurotus ostreatus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Korean J Food & Nutr 27:603-608 

  28. Shin JH, Lee HG, Kang MJ, Lee SJ, Sung NJ.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33-940 

  29. Um SN, Jin GE, Park KW, Yu YB, Park KM. 2010. Physiological activit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90-96 

  30.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angarajan M, Lavoic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4869-4873 

  31. You BR, Kim HR, Kim HJ, Lee JY, Lee SY, Song MR, Park JY, Kim MR. 2011. Catalp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Rehmannia glutinos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481-485 

  32. Youn JS, Shin SY, Wu Y, Hwang YJ, Cho JH, Ha YG, Kim JK, Park MJ, Lee SH, Kim TH, Kim TW. 2012. Antioxidant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9:393-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