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길항세균 Bacillus sp. KBC1004를 이용한 고추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제 개발
Development of Biofungicide Using Bacillus sp. KBC1004 for the Control of Anthracnose of Red Pepper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1 no.3, 2015년, pp.208 - 214  

강훈석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부설 연구소) ,  강재곤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부설 연구소) ,  박정찬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부설 연구소) ,  이영의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부설 연구소) ,  정윤우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부설 연구소) ,  김정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박창석 ((주)한국바이오케미칼 부설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 재배토양에서 분리한 세균 중에서 고추탄저병균의 균사생장을 강하게 억제하며 분생포자의 발아를 현저히 억제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균의 형태적 생리적 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를 토대로 Bacillus sp KBC1004로 명명하였다. KBC1004를 동결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원제로 하여 탄수화물과 증량제를 포함하는 수화제형($2{\times}10^8cfu/g$)으로 제조하였을 때 상온에서 2년 이상 안정된 밀도를 유지하였다. 수화제 형태의 KBC1004가 활성화 되어 탄저병균 분생포자의 발아를 억제하려면 최소 24시간이 경과되어야 하였고 실내에서 고추 열매를 이용하여 탄저병의 발병 억제력을 조사한 결과도 24시간 전에 KBC1004 수화제를 살포하고 병원균을 접종하였을 때 효과적인 병 방제가 이루어졌다. 고추포장에서 KBC1004 수화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탄저병이 발생하는 6월 말부터 4회 처리하고 10일 경과 후 이병과율을 조사한 결과 화학농약의 방제가가 86.3%이였을 때 80.3%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n effective biopesticide to control pepper anthracnose disease, an isolate which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was selected among the antagonistic bacterial isolates collected from pepper grown soil. The bact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고추탄저병균에 길항력을 나타내는 미생물 중에서 포자를 형성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세균을 선발하였고 선발한 세균을 실제 농가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생물농약으로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실내 실험과 포장 실험을 통하여 방제효과를 검토한 내용을 보고하고자 한다.
  • 3). 실내에서 고추열매를 가지고 탄저병 실험을 할 때는 상처를 주지 않고 병균을 접종하여 병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Kim 등, 2014; Lee 등, 2014; Park 등, 2012; Soh 등, 2014; Yoo 등, 2012), 본 연구에서는 병균을 접종한 부위로부터 병이 진전되는 것을 정확하게 확인하고자 핀으로 상처를 주고 병균을 접종하였다. 그리고 이 방법은 재현성이 높고 짧은 시간 안에 병의 진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을 이용한 탄저병의 방제법의 한계점은? 탄저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미생물들을 선발하여 왔으며 실내실험이나 소규모 포장시험에서 상당한 방제효과를 나타내고 있다(Chaisemsaeng 등, 2013; Kim 등, 2014; Lee 등, 2011; Yoo 등, 2012). 그러나 이러한 미생물제들이 생물농약으로 개발되어 농가에 보급되려면 미생물의 대량배양을 거쳐서 농민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형을 개발되어야 하고 그 제형이 실제 포장에서 방제효과를 나타내기까지 몇 번의 검정을 거쳐야 하지만 이러한 연구는 많지 않다.
고추 탄저병은 왜 문제인가? 고추 탄저병은 잎이나 어린 묘에도 발생하기도 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과실에 병반을 형성하여 상품성을 훼손하고 부패시켜 직접적인 피해를 가져오는 것이다. 고추는 정식 후 약 일주일부터 시작하여 생육말기까지 계속해서 새로운 과실이 달리는데 새로 달리는 고추는 지속적으로 전염원에 노출된다(Jee 등, 2010; Kim 등, 2015; Lee 등, 2011; 2014; Park과 Kim, 1994).
왜 여름철에는 고추에 약제방제를 많이 하게 되는가? 고추는 정식 후 약 일주일부터 시작하여 생육말기까지 계속해서 새로운 과실이 달리는데 새로 달리는 고추는 지속적으로 전염원에 노출된다(Jee 등, 2010; Kim 등, 2015; Lee 등, 2011; 2014; Park과 Kim, 1994). 더욱이 노지에서 고추가 자라는 여름철은 잦은 강우로 포자분산이 활발하고 높은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탄저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수확기까지 10회 이상의 약제방제를 하는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Lee 등, 2014; Park 등, 2012; Soh 등, 2014). 화학농약이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식재료에 남아 있을 수 있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aisemsaeng, P., Mongkolthanaruk, W. and Bunyatratchata, W. 2013. Screening and potential for biological control of anthracnose disease (Colletotrichum capsici) on chili fruits by yeast isolates. J. Life Sci. Technol. 1: 201-204. 

  2. Jee, H. J., Shin, S. S., Lee, J. H., Kim, W. I., Hong, S. J. and Kim, Y. K. 2010. Conidial disperse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its density on infected fruits. Res. Plant Dis. 16: 101-105. (In Korean) 

  3. Kang, B. K., Min, J. Y., Kim, Y. S., Park, S. W., Bach, N. V. and Kim, H. T. 2005. Semi-selective medium for monitoring Colletotrichum acutatum causing pepper anthracnose in the field. Res. Plant Dis. 11: 21-27. (In Korean) 

  4. Kim, H. J., Lee, E. J., Park, S. H., Lee, H. S. and Chung, N. H. 2014. Biological control of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pepper and cherry tomato by Streptomyces sp. A1022. J. Agric. Sci. 6: 54-62. 

  5. Kim, J. H., Cheong, S. S., Lee, K. K., Yim, J. R., Choi, W. W. and Lee, W. H. 2015. Yield loss assessment and determination of control thresholds for anthracnose of red pepper. Res. Plant Dis. 21: 6-11. (In Korean) 

  6. Kim, J. J., Kim, J. T., Park, S. W., Park, E. S. and Kim, H. T. 2003. Development of assay method for the activities of new compounds and the effect of several fungicides against spore germination, adhesion and myceial growth of Colletotrichum sp. causing red pepper anthracnose. Korean J. Pestic. Sci. 7: 159-168. (In Korean) 

  7. Lee, G. W., Kim, M. J., Park, J. S., Chae, J. C., Soh, B. Y., Ju, J. E. and Lee, K. J. 2011.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disease in red-pepper using Bacillus subtilis S54. Res. Plant Dis. 17: 86-89. (In Korean) 

  8. Lee, S. M., Jang, H. S. and Kim, H. T. 2014. In vitro fruit assay for the evaluation of fungicide activity against pepper anthracnose. Korean J. Pestic. Sci. 18: 115-121. (In Korean) 

  9. Marvel, J. K. 2003. Biology and control of pepper anthracnose. MS Thesis submitted to Faculty of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USA. 

  10. Park, K. S. and Kim, C. H. 1994. Effect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free water period on lesion development and acervulus formation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n red pepper. Korean J. Plant Pathol. 10: 34-38. 

  11. Park, S. J., Kim, G. H., Kim, A. H., Lee, H. T., Gwon, H. W., Kim, J. H., Lee, K. H. and Kim, H. T. 2012. Controlling effect of agricultural organic materials on Phytophthora blight and anthracnose in red pepper. Res. Plant Dis. 18: 1-9. (In Korean) 

  12. Schaar, N. W., Jones, J. B. and Chun, W. 2001. Laboratory guide for the identification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3rd ed. APS press, USA. 398 pp. 

  13. Soh, J. W., Han, K. S., Lee, S. C., Park, J. H. and Kim, H. T. 2014. Control effect of environemnt-friendly materials on anthracnose pathogen in red pepper. Korean J. Int. Agric. 26: 162-168. (In Korean) 

  14. Tamura, K., Dudley, J., Nei, M. and Kumar, S.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 1596-1599. 

  15. Yoo, J. H., Park, I. C. and Kim, W. G. 2012. Biocontrol of anthracnose of chili pepper by Bacillus sp. NAAS-1. Korean J. Mycol. 40: 277-28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