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남부연안 해양환경특성 시공간적 변화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al Parameter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East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0 no.1, 2015년, pp.16 - 28  

원종호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기후수질팀) ,  이용우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기후수질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남부연안에서 해수 중 해양환경특성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수 중 영양염류(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용존무기규소)의 농도는 봄과 여름에 비해 수직혼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가을과 겨울에 높게 나타났다. 여름에 chlorophyll a 농도가 높게 나타나 이 시기에 낮은 영양염 농도는 밀도약층의 강화로 인한 아표층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공급 감소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소비로 판단된다. 반면 봄에는 chlorophyll a 농도가 낮게 나타나 봄에 표층수 중 낮은 영양염 농도는 육상 및 아표층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공급 감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기간 동안 표층수와 저층수 중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의 비는 각각 연평균 15.6, 14.8로 유사하였으나, 표준편차는 각각 13.6, 4.2로 표층수가 저층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봄에 용존무기질소에 대한 용존무기인의 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평균 $8.35{\pm}4.67$) 이 시기에 용존무기질소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제한인자로써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lucidate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marine environmental parameters, we collected seawater sample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East Sea in May, August, and November 2012 and February 2013.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동해 남서 해역의 높은 기초생산력 및 플랑크톤의 군집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동해남부연안에서 시간에 따른 해황 특성 및 영양염류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연안은 특징은 무엇인가? 동해연안은 대한해협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온고염의 대마난류와 북쪽으로는 동해 북부로부터 우리나라 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저온저염의 북한한류의 영향을 받고 있는 해역이다(Chang et al., 2002, 2004; Choi et al.
동해남부연안이 시공간적으로 급격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 환경변화를 보이는 해역인 이유는 무엇인가? , 2009). 동해남부연안은 여름과 가을에 남풍이 우세한 시기에 연안용승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Lee et al., 2003), 연안을 따라 대단위 공업단지와 여러 하천(포항 형산강, 울산 태화강, 온산 외황강 등)들이 위치하고 있어 국지적으로 담수 유입의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동해남부연안은 시공간적으로 급격한 물리, 화학, 생물학적 환경변화를 보이는 해역이다(Park, 1978).
표층수 중 영양염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동해남부연안에서 해수 중 해양환경특성의 시공간적 분포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계절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수 중 영양염류(용존무기질소, 용존무기인, 용존무기규소)의 농도는 봄과 여름에 비해 수직혼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가을과 겨울에 높게 나타났다. 여름에 chlorophyll a 농도가 높게 나타나 이 시기에 낮은 영양염 농도는 밀도약층의 강화로 인한 아표층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공급 감소와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에 의한 소비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K.I., N. Hogg, M.S. Suk, S.K. Byun, Y.G. Kim and K. Kim, 2002. Mean flow and variability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Deep-Sea Res. I, 49: 2261-2279. 

  2. Chang, K.I., W.J. Teague, S.J. Lyn, H.T. Perkins, D.K. Lee, D.R. Watts, Y.B. Kim, D.A. Mitchell, C.M. Lee and K. Kim, 2004. Circulation and curr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 Oceangr., 61: 105-156. 

  3. Choi, B.J., D.B. Haidvogel and Y.K. Cho, 2009.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East Sea from summertime hydrography and sea level data. J. Mar. Syst., 78: 351-362. 

  4. Hyun, J.H., D. Kim, C.W. Shin, J.H. Noh, E.J. Yang, J.S. Mok, S.H. Kim, H.C. Kim and S. Yoo, 2009. Enhanced phytoplankton and bacterioplankton production coupled to coastal upwelling and anticyclonic eddy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Aquat. Microb. Ecol., 54: 45-54. 

  5. Jeong, D.H., H.H. Shin, S.W. Jung and D.I. Lim, 2013, Variations and characters of water quality during flood and dry seasons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Sea,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1: 19-36. 

  6. Kim, S.W., W.J. Go, S.S. Kim, H.D. Jeong and K. Yamada, 2010a.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6: 345-352. 

  7. Kim, T.H. and G. Kim, 2013. Factors controlling the C:N:P stoichiometry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N-limited, cyanobacteria- dominated East/Japan Sea. J. Mar. Syst., 115-116: 1-9. 

  8. Kim, T.H., Y.W. Lee and G. Kim, 2010b. Hydrographically mediated patterns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the East/Japan Sea: Low N:P ratios and cyanobacterial dominance. J. Mar. Syst., 82: 72-79. 

  9. Kim, S.W., S.I. Saitoh, J. Ishizaka, Y. Isoda and M. Kishino, 2000.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s in the Japan Sea derived from CZCS images. J. Oceanogr., 56: 527-538. 

  10. KMA, 2012.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1. Lee, J.C., 1983. Variation of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associated with wind-induced upwelling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J. Oceanogr. Soc. Korea, 18: 149-160. 

  12. Lee, J.Y., D.J. Kang, I.N. Kim, T. Rho, T. Lee, C.K. Kang and K.R. Kim,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the pelagic ecosystem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A review. J. Mar. Syst., 78: 288-300. 

  13. Lee, J.C., D.H. Kim and J.C. Kim, 2003. Observation of coastal upwelling at Ulsan in summer 1997. J. Oceanogr. Soc. Korea, 38: 122-134. 

  14. Lee, Y.W., H.J. Park, E.J. Choy, Y. Kim and C.K. Kang, 2010.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related to water column structure in the Korea Strait. Ocean Polar Res., 32: 321-329. 

  15. Onitsuka, G., Y. Tetsuo and J.H. Yoon, 2007. A numerical study on nutrient sources in the surface layer of the Japan Sea using a coupled physical- ecosystem model. J. Geophys. Res., doi:10.1029/2006JC003981. 

  16. Park, C.G., 1978. Chemical oceanographic aspect of the cold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11: 49-54. 

  17. Sverdrup, H.U., 1953, On conditions for the vernal blooming of phytoplankton. J. Cons. Explor. Mer, 18: 287-295. 

  18. Talley, L.D., P. Tishchenko, V. Luchin, A. Nedashkovskiy, S. Sagalaev, D.J. Kang, M. Warner and D.H. Min, 2004. Atlas of Japan (East) Sea hydrographic properties in summer, 1999. Prog. Oceanogr., 61: 277-348. 

  19. Yamada, K., J. Ishizaka and H. Nagata, 2005.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atellite primary production in the Japan Sea from 1998 to 2002. J. Oceanogr., 61: 857-869. 

  20. Yanagi, T., 2002. Water, salt, phosphorus and nitrogen budgets of the Japan Sea. J. Oceanogr., 58: 797-804. 

  21. Yoo, S. and H.C. Kim, 2004. Suppression and enhancement of the spring bloom in the southwestern East Sea/Japan Sea. Deep-Sea Res. II, 51: 1093-1111. 

  22. Yoo, S. and J. Park, 2009. Why is the southwest the most productive region of the East Sea/Sea of Japan? J. Mar. Syst., 78: 301-315. 

  23. Zhang, J., S.M. Liu, J.L. Ren, Y. Wu and G.L. Zhang, 2007. Nutrient gradients from the eutrophic Changjiang (Yangtze River) Estuary to the oligotrophic Kuroshio waters and re-evaluation of budgets for the East China Sea Shelf. Prog. Oceanogr., 74: 449-4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