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0대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불안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2, 2015년, pp.313 - 323  

황숙연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방암 발생률이 높은 40대 유방암 생존자들의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위험요인들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유방암으로 진단 받은 40-49세 유방암 생존자 중 연구에 동의하고 설문지를 완성한 60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CES-D와 GAD-7을 사용하여 측정된 우울과 불안의 평균점수는 각각 16.35(SD=9.24), 4.25(SD=4.17)였으며, 절단점을 기준으로 우울군은 전체의 47.7%, 불안군은 10.3%로 나타났다. BPI-K로 측정된 통증강도 평균은 1.91(SD=1.60)이었으며, 전체의 82.8%가 통증을 호소하였고 10.9%가 중증도 이상의 통증을 보고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최종모델에서 통증 일상생활방해정도, 직업 없음, 동거가족유형과 과거 정신과 질환이 우울의 유의미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불안의 위험요인은 통증 일상생활방해정도, 직업 없음 및 과거 정신과질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40대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과 불안 유병률이 높으며, 우울과 불안의 위험요인에 초점을 두어 위험군에 대한 적절한 심리사회적 개입이 제공되어야 함을 지적해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609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who agreed to participate the study. The mean scores of CES-D and GAD-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40대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둘째, 이들의 사회 인구학적, 의학적 요인에 따른 우울과 불안의 차이를 살펴보며, 마지막으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검토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수술받은 40대 유방암 생존자 609명을 대상으로 우울과 불안의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검토하였다. 불안군과 우울군은 각각 10.
  • 우리나라에서 유방암 환자의 우울과 불안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40대 유방암 생존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유방암 발병빈도가 가장 높은 40대 생존자를 대상으로 우울과 불안의 정도 및 이의 관련 요인들을 검토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들에 대한 적절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암 중 가장 발병률이 높은 암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은 여성암 중 갑상선암 다음으로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암으로 전체 여성 암환자의 14.8%를 차지하고 있다[1].
인구 10만 명당 유방암 환자 수는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6%에 이른다. 인구 10만 명당 유방암 환자 수는 1996년 16.7명에서 2011년 67.0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 조기발견 및 치료방법의 진보로 유방암 장기 생존율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2007년부터 2011년 사이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91.
유방암 생존자들이 경험하는 가장 흔한 심리적 증상은 불안과 우울인데, 이런 불안과 우울이 발생하는 요인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조기 유방암 환자의 우울 및 불안 유병률이 일반 여성의 약 2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불안 위험요인은 질병이나 치료관련 요인들보다는 젊은 연령, 이전의 심리적 문제, 사회적 지지 결여 등과 같은 환자의 개인적 변수와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3]. Ell 등의 연구에서도 암의 단계나 치료방법은 우울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50세 미만의 젊은 연령, 통증, 자살사고, 관절염이 우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4], 특히 젊은 연령은 심리적 적응의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중앙암등록본부.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2011년 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 2013. 

  2. 한국유방암학회, 2014 유방암 백서, 한국유방암학회, 2014. 

  3. C. Burgess, V. Cornelius, S. Love, J. Graham, M. Richard, and A. Ramirez, "De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Vol.330, pp.702-705, 2005. 

  4. K. Ell, K. Sanchez, B. Vourlekis, P. Lee, M. Dwight-Johnson, I. Lagomasino, L. Muderspach, and C. Russell,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Receipt of Depression Care among Low-Income women with breast of gynecologic cancer," J. of Clinical Oncology, Vol.23, No.13, pp.3052-3060, 2005. 

  5. M. A. Weitzner, C. A. Meyers, K. K. Stuebing, and A. K. Saaleeba,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ood in long-term survivors of breast cancer related with mastectomy,"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5, pp.241-248, 1997. 

  6. W. Somerset, S. C. Stout, A. H. Miller, and D. Musselman, "Breast cancer and depression," Oncology, Vol.18, No.8, pp.1021-1034, 2004. 

  7. J. S. Hong and J. Tian,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ir risk factors in Chinese cancer patients," Supportive Care in Cancer, Vol.22, pp.453-459, 2014. 

  8. R. H. Osborne, G. R. Elsworth, and J. L. Hopper, "Age-Specific norms and determinant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731 women with breast cancer recruited through a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European J. of Cancer, Vol.39, No.6, pp.755-62, 2003. 

  9. L. B. Wenzel, D. L. Fairclough, M. J. Brady, D. Cella, K. M. Garrett, B. C. Kluhsman,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breast carcinoma patients after treatment," Cancer, Vol.86, pp.1768-1774, 1999. 

  10. N. E. Avis, S. Crawfard, and J. Manuel, "Quality of life among younger women with breast cancer," J. of Clinical Oncology Vol.15, pp.3322-3330, 2005. 

  11. V. Mor, "QOL measurement scales for cancer patients: differentiating effects of age from effects of illness," Oncology, Vol.6, pp.146-152, 1992. 

  12. P. A. Ganz, J. H. Rowland, K. Desmond, B. E. Meyerowitz, and G. E. Wyatt, "Life after breast cancer: understanding women'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xual functioning," J. of Clinical Oncology, Vol.16, pp.501-514, 1998. 

  13. P. A. Parker, W. F. Baile, C. de Moor, and L. Cohen, "Psychosocial and demographic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a large sample of cancer patients," Psycho-Oncology, Vol.12, pp.183-193, 2003. 

  14. A. Vinokur, B. A. Threatt, D. Vinokur-Kaplan, and W. A. Satariano,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breast cancer for younger and older patients.:Changes during the first year," Cancer, Vol.65, pp.1242-1254, 1990. 

  15. V. Mor, S. Allen, and M. Malin, "The psychosocial impact of cancer on older versus young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ancer, Vol.74, pp.2118-2127, 1994. 

  16. B. J. Hahm, E. J. Shim, H. K. Kim, and J. H. Kim,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Psycho-Oncology," J.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46, pp.413-420, 2007. 

  17. 이정화, 변혜선, 김경덕, "유방암 생존자의 기분 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356-366, 2014. 

  18.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6권, 제1호, pp.59-76, 2001. 

  19.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11, pp.385-401, 1997. 

  20. B. Lowe, O. Decker, S. Muller, E. Brahler, D. Schellberg, W. Herzog, and P. Y. Herzberg, "Valid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creener (GAD-7) in the general population," J. of Medical Care, Vol.46, No.3, pp.266-274, 2008. 

  21. R. L. Spitzer, K. Kroenke, J. B. Williams, and B. Lowe,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6, pp.1092-1097, 2006. 

  22. J.G. Seo, Y. W. Cho, S. J. Lee, J. J. Lee, J. E. Kim, H. J. Moon, and S. P. Park, "Validation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in people with epilepsy: A MEPSY study," Epilepsy & Behavior, Vol.35, pp.59-63, 2014. 

  23. R. Serlin, T. Mendoza, Y. Nakamura, R. Katherine, K. Edwards, and C. Cleeland, "When is cancer pain mild, moderate or severe? Grading pain severity by its interference with function," Pain, Vol.61, pp.277-284, 1995. 

  24. Y. H. Yun, T. R. Mendoza, D. S. Heo, T. Yoo, B. Y. Heo, H. A Park, H. C. Shin, X. S. Wand, and C. S. Cleeland, "Development of a Cancer Pain Assessment in Korea: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Oncology, Vol.66, No.6, pp.439-444, 2004. 

  25. D. H. Oh, S. A. Kim, H. Y. Lee, J. Y. Seo, B. Y. Choi, and J. H. Nam,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Adults: Results of a 2009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Psychiatry & Psychology, Vol28, No.1, pp.128-135, 2013. 

  26. S. H. Kim, E. Y. Jun, and W. H. Lee,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with pain," Asian Oncology Nursing, Vol.6, No.2, pp.133-142, 2006. 

  27. B. W. Park and S. Y. Hwang, " Depression and Cop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J. of Breast Cancer, Vol.12, No.3, pp.199-209, 2009. 

  28. K. Kroenke, R. L. Spitzer, J. B. Williams, P. O. Monahan, and B. Lowe, "Anxiety disorders in primary care: prevalence, impairment, comorbidity, and detectio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46, pp.317-325, 2007. 

  29. S. M. Paula, D. C. Zelmanb, M. Smithe, and C. Miaskowskia, "Categorizing the severity of cancer pain: further exploration of the extablishment of cutpoints," Pain, Vol.113, pp.37-44, 2005. 

  30. I. S. Bredal, N. A. Smeby, S. Ottesen, T. Warncke, and E. Schlichting, "Chronic Pain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mparison of Psychosocial, Surgical, and Med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rvivors With and Without Pain,"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Vol.48, No.5, pp.852-862, 2014. 

  31. K. L. Schreiber, M. O. Martel, and H. Shnol, et al, "Persistent pain in postmastectomy patients: comparison of psychophysical, medical, surgical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pain," Pain, Vol.154, pp.660-668, 2013. 

  32. J. C. Holland, W. S. Breitbart, P. B. Jacobsen, M. S. Lederberg, J. Loscalzo, and R. McCorkle, Psycho-Onc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3. R. H. Dworkin, "Which individuals with acute pain are most likely to develop a chronic pain syndrome?," Pain Forum6, pp.127-136, 1997. 

  34. M. L. Chen, H. K. Zhang, and C. H. Yeh, "Anxiety and depression in Taiwanese cancer patients with and without pain," J. Advanced Nursing, Vol.32, pp.944-951, 2000. 

  35. M. 1. Hickey, C. M. Saunders, and B. G. Stuckey, "Management of menopausal symptom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 evidence-based approach," Lancet Oncology, Vol.6, No.9, pp.687-69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