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와 과학의 융합적 관점에서 본 전통음식의 역사 및 미래
Traditional Food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Future Prospect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1 - 7  

김희섭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ditional cuisine reflects cooking traditions shaped by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haracterized by authenticity and uniqueness. Traditional food is not only a part of our cultural heritage but also a knowledge resource. Application of food science and te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량 생산을 위한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고 동시에 대상 식품의 기능성 물질 탐색 및 그 기능성을 연구하였다(Chun 2008). 개발 과정에서 생산 및 소비과정에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한과 제조의 경우, 최적 레시피 선정 후 제조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제조조건을 과학화하였다.
  • 그러므로, 우리 전통 음식에 적용된 과학과 기술의 적용사례를 식품저장 및 발효기술, 식품재료의 변천, 포장기술, 조리기기의 발전 등의 관점에서 과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김치 사례를 통해 위에 언급된 6가지 관점에서 김치 제조에 적용된 배추 품종 개량, 배추연화 방지, 절임배추의 활용, 스타터 개발, 김치 상품화를 위한 조리법 표준화, 공정 자동화, 유효 발효 미생물 연구, 포장 기술, 물류의 발전, 김치 냉장고 발명 등에 대해 살펴 보았다.
  • 이를 보완하고 판매 유통망을 도와준다면 전통식품의 산업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세월의 변화와 함께 테크놀로지의 적용이 가장 많이 된 음식으로 김치를 들 수 있으며 김치 문화를 과학의 관점에서 살펴 보고자 한다.
  • 1980년대에는 포장의 문제로 중동지역에 냉동김치를 수출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숙성 감지용 센서도 개발되어 적절한 숙성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것들을 벤치 마킹한 전라남도의 남도 맛 산업 육성 과정을 살펴보면, 이 과정 역시 전라남도의 친환경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의 안정적 생산을 바탕으로 한 한식조리법 개발이 먼저 이루어졌다. 식품생산 기반 및 가공 시설 확충과 품질 분석을 통한 고품질 전통음식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식품소재 개발 및 기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지원하였다.
  • 우리나라 전통음식 문화와 음식에 영향을 준 과학적 원리와 가공 기술의 적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식품 문화와 관련된 문헌이나 조리서 등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하였다. 전통음식에 적용된 과학 기술의 자료 수집을 위해서 문헌, 학술논문, 인터넷 등을 대상으로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 둘째, 맞춤형 식품 요구에 맞는 전통식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전자 발현에 식품 성분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 매카니즘을 연구하는 nutrigenomics와 체내에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음식에 반응하는 개개인의 차이를 연구하는 학문인 nutrigenetics의 지식을 적용하여 전통 식품을 개발한다. 셋째, 새로운 과학기술과의 신속한 협업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ik HH, Lee CH, Wu DH, Park KW, Baik WH, Lee KS Nam SY. 1989. Prevention of pectinolytic of Kimchi tissue. Korean Soc. Food Sci.Technol., 21(1):149-153 

  2. Cha KH. 2013. Study on the food eaten in Sadeaebuga in Chosun Dynasty based on old cooking books (조선시대 고조리서를 통해 본 사대부가 음식).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eoul, Korea, pp 11-34 

  3. Chang JH. 1994. History of Kimchi: soaking skills in fermentation (김치의 역사: 담금기범을 중심으로).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p 1-5 

  4. Chang JH. 2010. Changes in Kimchi making skill. In Study on the traditional foods based on old books and documents: traditional fermented foods (고문헌을 통한 전래음식문화 연구:한국전래발효식품), Nongshim culture research, Seoul, Korea, pp55-56 

  5. Cwiertka KS. 2009. Colonialism, war and globalization: the making of Korean national cuisin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Korea, pp 11-18 

  6. Cho JS. 2013. Riview on the history of Kimchi ingredients and making. Proceeding of world institute of Kimchi symposium, Seoul, Korea, pp 83-92 

  7. Choi JO. 2014. Foods as the present from the royal household (왕실에서 보내준 먹거리). In: People' meal in Chosun dynasty. Korean food foundation editor, pp 20-30 

  8. Chun HK. 200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trategic approach on the industrialization of regional foods. FAO Korea, Youngam, Korea, pp 58-65 

  9. Chung HK. 2009.Record of HANSIK of thousand years (천년한식견문록). Sangakeuinamu, Korea, pp 196 

  10. Chung MS. 2006. Packaging and self-life of Korean traditional food.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Korea, pp 33-51 

  11. Han BJ. 2008. Meeting the taste of Korean cuisine (우리 음식의 맛을 만나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Seoul, Korea, pp 77-78 

  12. Joo YH. 2013. Food demand and supply of Sadeaebuga in Chosun Dynasty based on old documents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식료수급:고문서를 중심으로).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eoul, Korea, pp 11-34 

  13. Kim DS. 2001. Culture talk through language (언어를 통해본 문화이야기). Mannam, Seoul, Korea, pp 22-28 

  14. Kim HS. 2006. Future food trends and cookery Scienc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okery science, Daejeon, Korea, pp 3-14 

  15. Kim HS. 2010. World-wide Education and philosophy of food culture (세계식생활문화 교육과 철학).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okery science, Seoul, Korea, pp 3-5 

  16. Kim SB. 2004. History of Korean food culture (한국의 음식생활문화사). Kwangmungak, Seoul, Korea, pp 267 

  17. Noh BS. 2007. Industrialization of Banga foods (반가 음식의 산업화).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okery science and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Seoul, Korea pp 51-72 

  18. Park KS. 2004. Slow foods with cooking science perspectives (슬로푸드의 조리과학적 접근)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3):317-334 

  19. Park YK. 2008. Nurturing and Industrialization of Namdo Taste: 5 year plan. FAO Korea. Youngam, Korea, pp 127-148 

  20. Lee YE. 2012. Identity of Korean food from Korean food globalization (한식세계화 측면에서 본 한식의 정체성).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okery science. Seoul, Korea, pp 45 

  21. Pollan M. 2008. Omnivore's Dillemma. Dareunsesang, Seoul, Korea, pp 21-27 

  22. RDA. 2009. Research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salted Kimchi cabbage and its consumption pattern (절임배추의 품질향상과 소비활용실태연구).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fundamental agricultural technology 

  23. Seo YK. 1827 Limwonsibyukji (임원십육지) Chungchoji (정조지). In: Lee HJ et.al editor. 2007. Kyomunsa, Seoul, Korea, pp194-204 

  24. Shin DW. 1994. P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market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different containers. In: Science of Kimchi,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editor. Seoul, Korea, pp 83-100 

  25. Shin MH. 2014. Best food ingredients acquire in the nation (전국에서 가져온 최고의 식재료' in: Table of Chosun royal household. Korean food foundation editor,Korea, pp 26-41 

  26. Yoon DN. 2013. Economical implications in regional Kimchi recipes. Proceedings of world institute of Kimchi symposium. Seoul, Korea, pp 207-225 

  27. Yoon SS. 2009. Long history of Korean food culture (역사와 함께 한 한국식생활문화). Shinkwang publishing, Seoul, Korea, pp 14-16 

  28. http//www.agroheart.co.kr/org/culture/book_view.jsp 

  29. Moskin J. 2004. Sushi fresh from deep in the freeze. http://www.Nytimes.com 

  30. Forget fresh, flash, freeze sushi for mass munching. http://edition.cnn.com/HEALTH/9807/14. 

  31. http://en.wikipedia.rg/wiki/regionalcuisine 

  32. ftp://ftp.cordis.europa.eu/pub/fp7/kbbe/docs/traditional-foods.pdf European research on traditional foods. 

  33. Nestle Research for individually tailored food (개인 맞춤형 식품을 연구하는 네슬레). 2014. World Focus. Vol 45, pp 1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