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서해안 진도군 금갑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bility of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t Gumgap, Jindo,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1 = no.73, 2015년, pp.300 - 307  

유현일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  허진석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바이오연구센터) ,  최한길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variation in marin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examined at the intertidal zones of Geumgap, Jindo, Korea, from October 2013 to August 2014. In total, 56 macro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9 green, 12 brown, and 35 red algae. Annual seaweed biomass was 548.96 g wet w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Choi, 2008; Kwak and Huh, 2009), 진도군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여름철에 수행되었으며, 계절적인 군집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남 진도군 금갑 해안에 서식하는 해조류의 계절별 종조성, 생물량, 수직분포 및 군집지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진도군 금갑해역의 연안환경의 상태를 진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란 무엇인가? 해조류는 연안생태계 먹이망에서 광합성을 하는 일차생산자이며 형태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수많은 착생 해조류와 동물의 기질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수온, 염분 등 계절적인 물리환경과 인간의 활동에 의한 부영양화와 환경오염 등에 의해 군집구조가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rfanidis et al., 2001; Wells et al.
해조는 자연환경에서 어떤 용도로 활용되는가? 해조류는 연안생태계 먹이망에서 광합성을 하는 일차생산자이며 형태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수많은 착생 해조류와 동물의 기질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수온, 염분 등 계절적인 물리환경과 인간의 활동에 의한 부영양화와 환경오염 등에 의해 군집구조가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rfanidis et al., 2001; Wells et al.
우리나라 연안의 해조류 연구에서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연안의 해조류 연구는 1814년에 정약전에 의해 집필된 자산어보에서 35종이 처음으로 기록되었고, 이후에, 일본 해조학자인 Okamura (1892)에 의하여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한국 학자로서는 Kang (1966)이 해조류의 분포에 따라 5개 구역(동해 북부, 동해 중남부, 남해, 서해 및 제주)으로 구분하며 414종의 해조류를 최초로 보고하였다. 지금까지 남해안 해조류에 관한 연구는 해조상, 생물량 및 수직분포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이며(Hwang et al., 1997; Oh et al., 2002; Choi, 2008; Kwak and Huh, 2009), 진도군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여름철에 수행되었으며, 계절적인 군집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남 진도군 금갑 해안에 서식하는 해조류의 계절별 종조성, 생물량, 수직분포 및 군집지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진도군 금갑해역의 연안환경의 상태를 진단하고자 시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evalo, R. Pinedo, S. & Ballesteros, E.(2007).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editerranean rocky-shore communities following a gradient of nutrient enrichment: Descriptive study and test of proposed methods to assess water quality regarding macroalgae. Marine Pollution Bulletin 55, 104-113. 

  2. Cheney, D. P.(1977). R and C/P- A new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ement Journal of Phycology 13, 129. 

  3. Choi, C. G.(2008). Algal flora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outh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41, 371-380. 

  4. Choi, D. S. Kim, K. Y. Lee, W. J. & Kim, J. H.(1994).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Uido Island, West-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2, 65-75. 

  5. Clarke, K. R. & Gorley, R. N.(2006). PRIMER V6: User Manual/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6. Diez, I. Secilla, A. Santolaria, A. & Gorostiaga, J.M.(1999). Phytobenthic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38, 463-472. 

  7. Feldmann J.(1937). Recherches sur la vega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Rev Alg 10, 1-339. 

  8. Fowler, J. & Cohen, C.(1990). Practical Statistics for Field Bi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9. Hwang, E. K. Park, C. S. Koh, N. P. & Sohn, C. H.(1997).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ies of Shinjido, south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0, 574-584. 

  10. Kang, J. W.(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etin Pusan Fisheries College 7, 1-125. 

  11. Kang, J. W. Sohn, C. H. & Lee, J. H.(1979). The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Uido and Maeseom,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6, 95-107. 

  12. Kim, H. S. Boo, S. M. Lee, I. K. & Sohn, C. H.(2013).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Marine Alg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3. Koh, N. P.(1990). An ecological study on resources of marine plants in Geomundo islands. The Korean Journal of Phycology 5, 1-37. 

  14. Kwak, S. N. & Huh, S. H.(2009).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5, 179-185. 

  15. Lee, I. K Choi, D. S. Oh, Y. S. Kim, G. H. Lee, J. W. Kim, K. Y. & Yoo, J. S.(1991).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Chongsando island o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Phycology 6, 131-143. 

  16. Lee, I. K. Lee, H. B. & Boo, S. M.(1983). A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islands in Jindo-gun. Report of Survey for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3, 293-311. 

  17. Lindstrom, S. C.(2009). The biogeography of seaweeds in southeast Alaska. Journal of Biogeography 36, 401-409. 

  18. Littler, M. M. & Littler D. S.(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74, 13-34. 

  19.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20. McNaughton, S. 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1. Mueller-Dombois, D. & Ellenberg, H.(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22. Oh, B. G. Lee, J. W. & Lee, H. B.(2002). A summer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5, 57-63. 

  23. Oh, B. G. & Lee, H. B.(1989). A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Hatae Islands, south 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Industry and Science Research 7, 163-172. 

  24. Oh, B. G. Lee, J. W. & Lee, H. B.(2005). Summer marine algal vegetation of uninhabited islands in Sinangun, southwestern coast. Algae 20, 53-59. 

  25. Oh, J. C. Park, S. K. Choi, H. G. & Nam, K.W.(2013). Seasonal variation i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f intertidal seaweeds at Heuksando and Hong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6, 878-885. 

  26. Okamura, K.(1892). On the marine algae of Chosen. Report Implication Bureau Fisheries Science 3, 114-127. 

  27. Orfanidis, S. Panayotidis, P. & Stamatis, N.(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erranean Marine Science 2, 45-65. 

  28. Park, C. S. Wee, M. Y. & Hwang, E. K.(2007). Summer marine algal flora of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lgae 22, 305-311. 

  29. Piazzi, L. & Cinelli, F.(2001). Distribution and dominance of two introduced turf-forming macroalgae on the coast of Tuscany, Italy, northwestern Mediterranean Sea in relation to different habitats and sedimentation. Botanica Marina 44, 509-520. 

  30. Saito, Y. & Atobe, S.(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1. Usujiri Benten-Jima, Hokkaido. Bulletin Faculty Fisheries Hokkaido University 21, 37-67. 

  31. Segawa, S.(1956).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Osaka, Pub. Co., LTD, JP. 

  32. Song, J. N. Park, S. K. Heo, J. S. Kim, B. Y. Yoo, H. I. & Choi, H. G.(2011). Summer seaweed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uninhabited islands in Goheung,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4, 524-532. 

  33. Wells, E. Wilkinson, M. Wood, P. & Scanlan, C. (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 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ine Pollution Bulletin 55, 151-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