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노인의 피부두겹 두께와 우울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fold Thickness and Geriatric Depression in Older Adult Woma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1, 2015년, pp.44 - 49  

김증임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양영미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박지현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신희진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at evaluating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by skinfold thick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Methods: Research design was a non-experimental descriptive survey. Using a caliper, we measured skinfold thickness on the triceps, and then on the supra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설계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생리적 변수 측정을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성노인에서 다중피부두겹 두께가 비만을 평가하는 요소로서의 적합성 및 우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입원환자의 절반 정도는 노인이기 때문에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비만과 우울의 문제를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관리해나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배경에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과병동에 입원 3-7일인 여성노인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피부두겹 두께를 이용한 비만도를 측정하고 단축형 노인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발생률을 검토한 후 피부두겹 두께와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입원환자의 절반 정도는 노인이기 때문에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진 비만과 우울의 문제를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관리해나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 배경에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과병동에 입원 3-7일인 여성노인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피부두겹 두께를 이용한 비만도를 측정하고 단축형 노인우울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발생률을 검토한 후 피부두겹 두께와 우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입원한 여성노인과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지역 거주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피부두겹 두께와 우울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세 곳에서 측정한 값의 합은 다중피부두겹 두께로서 여성노인의 비만율을 검토하여 보고된 비만율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만 여성군 중 우울 여성에서 복부비만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던 선행 연구 결과[10,14,21]를 근거로 병원에 입원한 사람과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피부두겹 두께를 측정하여 우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여성노인에서 피부두겹 두께 측정의 활용 가능성을 밝히고 여성 노인 우울의 한 요인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가 제시한 중요한 건강문제는 무엇인가? 비만과 우울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가 제시한 중요한 건강문제이다[1-3]. 먼저 비만은 심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뇌졸중, 특정 암과 같은 많은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 및 조기 사망의 원인이 되며,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에 의해 매개되는 신체적 고통과 식이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4,5].
비만과 복부비만은 연령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7%보다 높게 나타났다[9]. 또한 비만은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비만 여성군의 평균 연령이 정상 여성군의 평균 연령보다 높았고, 복부비만 여성군도 정상군보다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 나이가 들수록 복부 비만이 증가하였다[10].
세계보건기구가 제시한 중요한 건강문제 중 비만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과 우울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가 제시한 중요한 건강문제이다[1-3]. 먼저 비만은 심혈관 질환, 당뇨, 고혈압, 뇌졸중, 특정 암과 같은 많은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 및 조기 사망의 원인이 되며,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에 의해 매개되는 신체적 고통과 식이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우울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lleti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2001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79(11). http://dx.doi.org/10.1590/S0042-96862001001100014 

  2. Caballero B. The Global epidemic of obesity: An overview. Epidemiological Reviews, 2007;29:1-5. http:/dx.doi:10.1093/epirev/mxm012 

  3. Ogden CL, Carroll MD, Curtin LR, McDowell MA, Tabak CJ,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6;295:1549-1555. Cited Nov 15, 2014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pubmed/16595758. 

  4. Burton BT, Foster WR, Hirsch J, Van Itallie TB.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An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 1985;9:155-169. 

  5. Must A, Spadano J, Coakley EH, Field, A, Colditz G, Diet W.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9;282:1523-1529. http:/dx.doi:10.1001/jama.282.16.1523 

  6. Jia H, Lubetkin EI. The impact of obesity on health-related quality-of-life in the general adult US populatio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5;27(2):156-164. http:/dx.doi:10.1093/pubmed/fdi025 

  7. Kim SY, Yun JE, Jee SH.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the IPAQ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8.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1;28(2):15-25. Cited Jan 17, 2015 Available from http://koreascience.or.kr/article/ArticleFullRecord.jsp?cnBGGJBY_2011_v28n2_15. 

  8. Pan A, Sun Q, Czernichow S, Kivimaki M, Okereke OI, Lucas M, et al. Bidirectional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2;36(4):595-602. http:/dx.doi: 10.1038/ijo.2011.111 

  9. Lim JW, Kim SY, Ke SS, Cho BL. The prevalence of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elderly in general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1;32(2):128-34. http:/dx.doi.org/10.4082/kjfm.2011. 32.2.128 

  10. Yoon DH, Park JH, Lee CM, Shin CS, Cho SH, Oh BH.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pression in Korea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Psychosomatic Society. 2007;15(1):51-55. Cited Sep 02 2011 available from http://img.kisti.re.kr/originalView/originalView.jsp. 

  11. Suh GH, Ryu SG, Yeon BK. A community study of depression in old age.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2005;9(4):291-300. available from http://pdf.medrang.co.kr/Kgs/009/Kgs-009-04-06.pdf. 

  12. Kressig RW, Wolf SL, Sattin RW, O'Grady M, Greenspan A, Curns A, et al. Associations of demographic, func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 activity-related fear of falling among older adults transitioning to frailt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1;49(11):1456-1462. http:/dx.doi: 10.1046/j.1532-5415.2001.4911237.x 

  13. Chen Y, Jiang Y, Mao Y.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epression in Canadians. Journal of Women's Health. 2008;18:1687-1692. Doi:10.1089/jwh.2008.1175 

  14. Yoon DH, Park JH, Cho SC, Park MJ, Kim SS, Choi SH, et 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5;14(4):213-219. 

  15. Yoon JH, Kim JW, Lee SY, Kim KN, Cho IY, Cho YM. What is the most reliable obesity index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2;21(3):140-147. http://dx.doi.org/10.7570/kjo. 2012.21.3.140 

  16. Carpenter KM, Hasin DS, Allison DB, Faith MS.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SM-IV major depressive disorder,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Results from a general popula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0; 90:251-257.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446144/pdf/10667187.pdf. 

  17. Durnin JVGA, Womersley J. Body fat assessed from total body density and its estimation from skinfold thickness: measurements on 481 men and women aged from 16 to 72 Year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974; 32(1):77- 97. http:/dx.doi:10.1079/BJN19740060 

  18. Park MJ. Review on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ass, skinfold thickness and the volume of urine collagen peptide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1;3(2):91-103. 

  19. Peterson MJ, Czerwinski SA, Siervogel R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kinfold-thickness prediction equations with a 4-compartment model. American Journal Clinical Nutrition. 2003;77:1186-91. http://ajcn.nutrition.org/content/77/5/1186.full.pdf+html. 

  20. Jackson AS, Pollock ML, Ward A. Generalized equations for predicting body density of women. Medical Science and Sports Exercise. 1980;12(3):175-181. 

  21. Luppino FS, de Wit LM, Bouvy PF, Stijnen T, Cuijpers P, Penninx BW,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010; 67:220-229. 

  22. Kim JI, Choe MA, Chae YR.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geriatric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Asian Nursing Research. 2009;3(3):121-129. http:/dx.doi: 10.1016/S1976-1317(09)60023-2 

  23. Davies AG. Seasonal changes in body weight and skinfold thickness. British Antarctic Survey Bulletin. 1969;19:75-81. cited 2014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www.antarctica.ac.uk/documents/bas_bulletins/bulletin19_05.pdf. 

  24. Wong SYS, Leung JC, Leung PC, Woo J. Depressive symptoms and change in abdominal obesity in the elderly: Positive or negative association?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12;19:730-742. http:/dx.doi:10.1097/JGP. 0b013e3181ff63be 

  25. Ho RC, Niti M, Kua EH, Ng TP.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nese elderly: A population-bas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8;23: 401-8. http:/dx.doi: 10.1002/gps.1893 

  26. Lee IH, Jin YY, Cho JK, Yoon JH, Kang SK.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fitness, body fatness and serum vitamin D in elderly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4;23(2):125-30. http:/dx.doi:10.7570/kjo.2014.23.2.125 

  27. Wiltink J, Michal M, Wild PS, Zwiener I, Blettner M, Munzel T, et al.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different measures of obesity (BMI, WC, WHtR, WHR). BioMedical Central Psychiatry. 2013;13:1-7. http:/dx.doi:10.1186/ 1471-244X-13-223 

  28. Choe MA. Changes in skinfold thickness, circumference and muscle strength of extremities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991;5(1): 23-34. 

  2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ational survey for Korean physical fitness 2009. [Internet] National Statistics Office 11304. Seoul. 

  30. Keevil VL, Luben R, Dalzell N, Hayat S, Sayer AA, Wareham NJ, et al. Cross-s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different measures of obesity and muscle strength in men and women in a British Cohort Study.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2015;19(1):3-11. http:/dx.doi: 10.1007/s12603-014-049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