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한 파인애플 착즙액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ase activities of microencapsulated pineapple juice powders by spray dry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1, 2015년, pp.84 - 90  

박혜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채호용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rotease를 함유하고 있는 파인애플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파인애플 착즙액을 미세캡슐화 하였으며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pH, 당도 및 protease 활성은 각각 pH 5.43, 12.80 및 4.82 unit/mL이었다. Protease 활성에 대한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pH 7.0 및 $50^{\circ}C$에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미세캡슐분말 제조는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을 피복물질로 사용하여 분무건조하였으며, 수분함량은 3.02~3.75%였다. 색도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동결건조 분말에 비하여 L값 및 a값은 낮고 b값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말토덱스트린에 알긴산 3% 첨가시 선명한 노란색을 보여주었다. 입자크기는 동결건조 분말($501.57{\mu}m$)에 비하여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이 $42.58{\sim}53.32{\mu}m$로 유의적으로 작고 균일한 크기였으며, 입자모양은 전반적으로 구형의 형태를 보여주어 분말 흐름성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분흡수지수는 말토덱스트린에 알긴산을 3% 첨가한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0.41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 98.22~99.76%로 나타나 동결건조 분말보다 우수하였다. 미세캡슐 분말의 protease 활성은 동결건조 분말(1,297.47 unit/g)이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633.51~692.08 unit/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은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만 g당 23.70~100.83 unit의 효소 활성이 나타나 위액과 장액의 pH 환경에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피복물질로 말토덱스트린 및 알긴산을 첨가하여 분무건조시 식품산업 활용 측면에서 가공적성이 향상된 미세캡슐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고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ase activities of spray-dried pineapple juice powders were investigated. The pH, soluble solids, and protease activity of the pineapple juice were pH 5.43, $12.8^{\circ}Brix$, and 4.82 unit/mL, respectively.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the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에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냈으며 pH 3~5에서는 효소활성이 1% 이하임이 확인되었다. Hur 등(23)의 연구에 따르면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연구에서 위액은 pH 3이하, 장액의 경우 pH 5~8 범위를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어 미세캡슐의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 안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미세캡슐 분말의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에 대한 protease 활성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동결건조 분말의 경우 효소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분무건조 미세캡슐 분말에서는 g당 23.
  • 본 연구에서는 protease를 함유하고 있는 파인애플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분무건조공정을 이용하여 파인애플 착즙액을 미세캡슐화 하였으며 미세캡슐 분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파인애플 착즙액의 pH, 당도 및 protease 활성은 각각 pH 5.
  • 본 연구에서는 파인애플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을 식품산업분야에서 기능성 소재로 이용하고자 피복물질로 말토덱스트린과 알긴산을 이용하여 분무건조공정에 의해 미세캡슐을 제조하였으며, 물리화학적 특성 및 protease 활성을 in vitro 인체 내 소화모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SD (n=3) within each column (a-c)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Means±SD (n=3) within each column (a-d)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Means±SD (n=3) within each column (a-e) followed by the same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인애플이란? Merr.)은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외떡잎식물의 열매로서 특유의 신선한 맛과 향으로 인기가 높아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소비되는 과일이며, 칼슘, 인, 철 등의 무기질 이외에도 비타민 A, B와 C의 풍부한 공급원이다(8). 특히 파인애플에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인 브로멜라인(bromelain)은 연육제, 보조 소화제, 소염제 및 항혈청 응고제로서의 효과가 연구되어 있으며(9-12), 안정성이 매우 높고 부작용 및 독성이 없어 신체 내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13).
미세캡슐화 기술은 어떤 기술인가? 미세캡슐(microencapsulated powder)은 미세한 포장 단위를 말하며, 크기는 수 μm 단위에서 수 mm로 다양하며, 모양은 구형이 이상적으로 가공적성이 좋은 분말이다. 미세캡슐화 기술은 고체, 액체, 기체상의 물질을 특정 조건 하에서 조절된 속도로 내용물을 방출할 수 있도록 어떤 물질이나 조직내부에 포장하는 기술이다(14). 특히 분무건조에 의한 미세캡슐화는 상업화된 방법 중 가장 보편화된 것으로 그 생산량도 가장 많아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15,16).
분무건조 방식에서 이용하는 건조온도 범위는? 분무건조는 액상의 시료를 뜨거운 매체 속에서 분무하여 건조된 분말 형태의 시료를 얻게 되는 방식으로 건조시간이 아주 짧아 열에 약한 물질도 건조가 가능하며, 용해성과 유동성이 좋은 구상 분말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17). 또한 건조온도가 130~300℃로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원료가 열에 노출되는 시간은 5~20초 내외로 열에 의한 성분의 변화가 미미하여 기능성 소재산업에서 동결건조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방법이다(18). 분무건조된 입자는 피복물질의 조성에 의해 그 특성이 결정되는데, 피복물질은 주로 전분, 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셀룰로오스 및 다양한 다당류가 전통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i YH, Roh JH (2000)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in fruits (pear, kiwifruit, fig, pineapple, papaya). Korean J Soc Food Sci, 16, 363-366 

  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Food & drug statistical yearbook. 15th ed, Korea, p 488 

  3. Kim EM, Choe IS, Hwang SG (2003) Effects of singular manner or mixed type treatment of proteases isolated from pear, pineapple and kiwifruit on actomyosin degradation. Korea J Food Sci Anim Res, 23, 193-199 

  4. Tappel AL, Miyada DS, Sterling C, Maier VP (1956) Meat tenderization. II. Factors affecting the tenderization of beef by papain. J Food Sci, 21, 375-383 

  5. Kim MH, Rho JH, Kim MJ (2011) Stabilizing and optimizing properties of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Korean fig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29-37 

  6. Oh SJ, Kim SC, Koh SC (2002) Properties and thermostability of gelatin-degrading proteinases in the fruit of Actinidia chinensis (kiwifruit). Korean J Life Sci, 12, 752-758 

  7. Yang CY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jerky with pear, pineapple and kiwi extracts. Korean J Culinary Res, 12, 237-250 

  8. Hossain MA, Rahman SMM (2011)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opical fruit pineapple. Food Res Int, 44, 672-676 

  9. Mynott TL, Crossett B, Prathaling SR (2002) Proteolytic inhibi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duced activation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ERK and JNK in cultured human intestinal cells. Infect Immun, 70, 86-95 

  10. Maurer HR (2001) Bromelain : biochemistry, pharmacology and medical use. Cell Mol Life Sci, 58, 1234-1245 

  11. Gaspani L, Limiroli E, Ferrario P, Bianchi M (2002) In vivo and in vitro effects of bromelain on PGE (2) and SP concentrations in the inflammatory exudate in rats. Pharmacology, 65, 83-86 

  12. Holdsworth SD (1971) Dehydration of food products. J Food Technol, 6, 331-370 

  13. Manhart N, Akomeah R, Bergmeister H, Spittler A, Ploner M, Roth E (2002) Administration of proteolytic enzymes bromelain and trypsin diminish the number of CD4 $^+$ cells and the interferon- $\gamma$ response in Peyer's patches and spleen in endotoxemic balb/c mice. Cell Immunol, 215, 113-119 

  14. Park HM, No HK, Lee SH, Yoon KS, Park CS, Hong J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croencapsulated $\beta$ -carotene prepared by different molecular weight chitosan. J Chitin Chitosan, 18, 26-31 

  15. Han MW, Yoon K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ay drying microparticulated calcium after wet-grind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57-661 

  16. Hogan SA, McNamee BF, O'Riordan ED, O'Sullivan, M (2001) Emulsification and microencapsulation properties of sodium caseinate/carbohydrate blends. Int Dairy J, 11, 137-144 

  17. Boatright WL, Hettiarachchy NS (1995) Spray-drided soy protein isolate solubility, gelling characteristics and extractable protein as affected by antioxidants. J Food Sci, 60, 806-809 

  18. Reineccius GA (1991) Carbohydrates for flavor encapsulation. Food Technol, 45, 144-150 

  19. Dzondo-Gadet A, Nzikou JM, Etoumongo A, Linder A, Desobry S (2005) Encapsulation and storage of safou pulp oil in 6DE maltodextrins. Process Biochem, 40, 265-271 

  20. Han SC, Heo EJ, Lee KY, Kim YZ, Kim JC (2003) Antioxidant effect of vitamin-C/alginate gel-entrapped liposomes for resistance of DHA autoxidation. Korean J Biotechnol Bioeng, 18, 229-233 

  21. Kunitz M (1947) Crystalline soybean trypsin inhibitor. J Gen Physiol 30, 291-295 

  22. Phillips RD, Chinnan MS, Granch AI, Miller J, Mcwatters KH (1998) Effects of pretreatment on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cowpea meal. J Food Sci, 53, 805-809 

  23. Hur SJ, Lee SK, Kim YC, Choi IW (2012) Development of in vitro human digestion models for health functional food research. Food Sci Ind, 45, 40-49 

  24. Yoo SA, Seo SH, Hyun SY, Son HS (2013)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ase from fruits and traditional Korean fermentation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61-1466 

  25. Kim MH, Rho JH, Song HN (2010) Stability and optimization of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Korean kiwi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54-558 

  26. Kim JW, Kwon YR, Yoon K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spray-dried and freeze-dried powder prepared with powdered seaw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44, 716-721 

  27.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38, 513-520 

  28. Hwang SH, Hong JH, Jeong YJ, Yoon KS (2002) Effects of the proportions of wall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ray-dried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9, 189-193 

  29. Rosenberg M, Kopelman IJ, Talmon Y (1990) Factors affecting in spray-drying microencapsulation of volatile materials. J Agric Food Chem, 50, 139-144 

  30. Kim JW, Park IK, Yoon KS (2013)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ay-dried powders with the blanching condition and selected forming agents from pressed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leaves. Korean J Food, 20, 659-667 

  31. Moon JH, Kim RS, Choi HD, Kim YS (2010) Nutrient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aro flours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13-619 

  32. Chung HS, Hong JH, Youn K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d b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and selected forming agents. Korean J Food Preserv, 12, 247-251 

  33.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347 

  34. Pillay V, Fassihi R (1999) In vitro release modulation from crosslinked pellets for site-specific drug delivery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I. Comparison of pH-responsive drug release and associated kinetics. J Control Rel, 59, 229-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