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1, 2015년, pp.46 - 57
장소현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서윤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정영진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n appropriate energy level of breakfast with less risk of chronic disease for Korean adults. Methods: Using data from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a total of 12,238 adults aged 19~64, the final 7,769 subjec...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아침식사 패턴에 따른 콜레스테롤 변화는? | 아침식사 패턴관련 연구이긴 하나, 미국 NHANES III 조사 결과에서 익힌 곡류음식이나 빵 섭취군이, 아침결식군이나 육류·난류 섭취군보다 체질량지수가 낮았고, 1일 에너지섭취량은 아침결식군과 과일·채소 섭취군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에 육류·난류 섭취군은 1일 에너지섭취량과 체질량지수가 모두 높았다고 하였다.13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30~49세 성인 남자에서 아침식사 유형이 빵식 일 때 혈청 총콜레스테롤이 높았고, 여자에서는 면식일 때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낮고 공복혈당이 높았다고 하였다.14 Min 등은 30~50세 성인에서 난류, 빵류, 가공육류의 아침식사는 대사증후군의 위험률을 높이고 전곡류, 과일, 견과류, 채소류의 아침식사는 대사증후군의 위험률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 |
한국인의 아침 결식률 추이는? | 현대인들의 생활이 한층 바빠지면서 아침 결식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한국인의 아침 결식률은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 2001년 15.5%에서 2010년 21.3%로 증가추세에 있다. 연령별로 볼 때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12~18세 27.6%, 19~29세 42.7%, 30~49세 24.8%, 50~64세 11.2%, 65세 이상에서는 3.8%로 특히 젊은 성인에서 아침 결식률이 높다. 아침식사의 섭취는 하루 식사의 영양적 균형유지와 함께 혈당 유지,1 인지능력 향상,2 과식 방지 및 체중조절3 등의 이유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
아침식사가 중요한 이유는? | 8%로 특히 젊은 성인에서 아침 결식률이 높다. 아침식사의 섭취는 하루 식사의 영양적 균형유지와 함께 혈당 유지,1 인지능력 향상,2 과식 방지 및 체중조절3 등의 이유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부 보고에 의하면 아침을 섭취하는 경우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높고, 지방의 섭취는 낮으며, 전체적인 식사의 질이 높다고 하였다. |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1996; 29(5): 533-546.
Kim SH.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1999; 5(2): 215-224.
Ma Y, Bertone ER, Stanek EJ 3rd, Reed GW, Hebert JR, Cohen NL, Merriam PA, Ockene IS. Association between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a free-living US adult population. Am J Epidemiol 2003; 158(1): 85-92.
Ruxton CH, Kirk TR. Breakfast: a review of associations with measures of dietary intak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Br J Nutr 1997; 78(2): 199-213.
Lee YN, Lee JS, Ko YM, Woo JS, Kim BH, Choi H. Study on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2): 189-200.
Morgan KJ, Zabik ME, Leveille GA. The role of breakfast in nutrient intake of 5- to 12-year-old children. Am J Clin Nutr 1981; 34(7): 1418-1427.
Walker AR, Walker BF, Jones J, Ncongwane J. Breakfast habits of adolescents in four South African populations. Am J Clin Nutr 1982; 36(4): 650-656.
Nicklas TA, Bao W, Webber LS, Berenson GS. Breakfast consumption affects adequacy of total daily intake in children. J Am Diet Assoc 1993; 93(8): 886-891.
Schlundt DG, Hill JO, Sbrocco T, Pope-Cordle J, Sharp T. The role of breakfast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m J Clin Nutr 1992; 55(3): 645-651.
Alexander KE, Ventura EE, Spruijt-Metz D, Weigensberg MJ, Goran MI, Davis JN. Association of breakfast skipping with visceral fat and insulin indices in overweight Latino youth. Obesity (Silver Spring) 2009; 17(8): 1528-1533.
Sakata K, Matumura Y, Yoshimura N, Tamaki J, Hashimoto T, Oguri S, Okayama A, Yanagawa H. Relationship between skipping breakfast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data. Nihon Koshu Eisei Zasshi 2001; 48(10): 837-841.
Farshchi HR, Taylor MA, Macdonald IA. Deleterious effects of omitting breakfast on insulin sensitivity and fasting lipid profiles in healthy lean women. Am J Clin Nutr 2005; 81(2): 388-396.
Cho S, Dietrich M, Brown CJ, Clark CA, Block G. The effect of breakfast type on total daily energy intake and body mass index: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J Am Coll Nutr 2003; 22(4): 296-302.
Shim JE, Paik HY, Moon HK.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2007; 40(5): 451-462.
Kent LM, Worsley A. Breakfast size is related to body mass index for men, but not women. Nutr Res 2010; 30(4): 240-245.
Hyun WJ, Lee JW, Kwak CS, Song KH. Energy value of breakfast and its relation to total daily nutrient intake and serum lipid in Korean urb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998; 3(3): 368-379
Timlin MT, Pereira MA. Breakfast frequency and quality in the etiology of adult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Nutr Rev 2007; 65(6 Pt 1): 268-281.
van der Heijden AA, Hu FB, Rimm EB, van Dam RM. A prospective study of breakfast consumption and weight gain among U.S. men. Obesity (Silver Spring) 2007; 15(10): 2463-2469.
Deshmukh-Taskar PR, Nicklas TA, O'Neil CE, Keast DR, Radcliffe JD, Cho S. The relationship of breakfast skipping and type of breakfast consumption with nutrient intake and weight statu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6. J Am Diet Assoc 2010; 110(6): 869-878.
Wyatt HR, Grunwald GK, Mosca CL, Klem ML, Wing RR, Hill JO. Long-term weight loss and breakfast in subjects in the National Weight Control Registry. Obes Res 2002; 10(2): 78-82.
Purslow LR, Sandhu MS, Forouhi N, Young EH, Luben RN, Welch AA, Khaw KT, Bingham SA, Wareham NJ. Energy intake at breakfast and weight change: prospective study of 6,764 middleaged men and women. Am J Epidemiol 2008; 167(2): 188-19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