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대학의 패션관련전공 교과과정 비교 연구
A Curricula Comparison Study of Undergraduate Fashion-related Majors between the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in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19 no.1, 2015년, pp.1 - 16  

김소라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iversities in Korea are already saturated with fashion-related majors, and graduates are having difficulties getting jobs. For this reason, Korean universities should educate students with a competitiv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urricula of fashion-re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패션관련전공 교과과정과 실용적인 교육을 하고 있는 대표적 국가 중의 하나인 미국의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한국과 미국의 년제 대학 패션 . 4 , 관련전공 교과과정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우리 ․나라 대학의 패션관련전공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데기여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과 제품 구매방법 패션산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 , 응하고 졸업생들이 이러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서는 패션비즈니스와 기타 분야 교과목에 대한 확대와 집중이 필요하다 후속연구에서는 . 국내 패션산업의 인력수요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를 통하여 패션관련전공 교과과정의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러나 패션 전반에 대해서 교육하는 년제 대학의 경 4우 교육하는 분야와 졸업생 취업 분야는 학제에 관계없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 대학의 학제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고 패션 전반에 대한 교육을 하는 한국과 미국의 년제 대학의 패션 4관련전공에 개설되어 있는 전공 교과목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 공의 특성상 다른 전공에 비해 소속이 다양하다 그. 러나 패션 전반에 대해서 교육하는 년제 대학의 경 4우 교육하는 분야와 졸업생 취업 분야는 학제에 관계없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 대학의 학제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고 패션 전반에 대한 교육을 하는 한국과 미국의 년제 대학의 패션 4관련전공에 개설되어 있는 전공 교과목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년제 대학 패션관련전 4 , 공의 교과과정을 분야별로 비교분석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개 대학 개 . 47 , 52전공과 미국 개 대학 개 전공의 교과과정을 분 62 , 62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패션관련전공 교과과정과 실용적인 교육을 하고 있는 대표적 국가 중의 하나인 미국의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한국과 미국의 년제 대학 패션 . 4 , 관련전공 교과과정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우리 ․나라 대학의 패션관련전공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데기여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 K. (1997). A study on the cultivation of the talent in Korea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 27-42. 

  2. Collge Navigator: 'Fashion/Apparel Design' and 'Apparel and Textiles'. (2014).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Retrieved February 13, 2014, from http://nces.ed.gov/collegenavigator/?all&p50.0407+19.0901+19.0999&l93 

  3. Park, S. (2014, December 4). "Korean Fashion Association announced 10 major news of fashion industry in 2014, overseas direct purchase, Curation, Normcore, etc." Beautyhankook. Retrieved December 5, 2014, from http://www.beautyhankook.com/news/articleView.html?idxno29984&ic1 

  4. Department of Clothing. Costume. (2014). KORNET. Retrieved January 20, 2014, from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schdpt/schdptSrchDtl.do?empCurtState1Id4&empCurtState2Id14 

  5.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2014). KORNET. Retrieved January 20, 2014, from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schdpt/schdptSrchDtl.do?empCurtState1Id7&empCurtState2Id3 

  6. Garner, B. M., & Buckley, M. H. (1988). Clothing and textiles curriculum content needed for success in fashion marketing career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6(3), 32-40. 

  7. Gu, Y., Kim, J., Park, K., Park, K., & Chu, T.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cross-natur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19-32. 

  8. Johnson, P. K., Yurchisin, J., & Bean, L. D. (2003). The Use of Writing in the Apparel Curriculum: A Preliminary Investiga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21(1), 41-48. 

  9. Jung, H. (2009). Study of fashion retail management curriculum: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1), 34-50. 

  10. Landgrena, M. T., & Pasrichaa, A. (2011). Transforming the fashion and apparel curriculum to incorporate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Education, 4(3), 187-196. 

  11. Laughlin, J., & Kean, C. R. (1995). Assessment of textiles and clothing academic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3), 184-199. 

  12. Lee, S., & Park, S. (2007). A globalization-focu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re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graduate school's fashion marketing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3), 420-432. 

  13. Lee, Y., & Lee, M.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123-139. 

  14. Na, S., Kwon, H., & Lee, J.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5), 54-66. 

  15. Pedersena, L. E., & Burnsa, D. L. (2011). Curriculum integration across fashion-related curricula.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Education, 4(1), 43-50. 

  16. Publications CTRJ. (2014). ITAA. Retrieved January 6, 2014, from http://itaaonline.org/?page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