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원시 베이비부머 세대의 직장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Baby Boomer : Focused on Retirement Preparation as Mediator Effect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084 - 1091  

장유미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강양희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 정도와 노후준비를 살펴보고 직장생활, 노후준비, 삶의 질 간의 실증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직장생활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에 노후준비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 204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22일~9월 30일의 기간 동안 설문지를 통해 면접 조사하였다. 중심 변수들 간의 연구모형을 SPSS 15.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과 영향력 검증을 한 후, Amo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있어서 직장생활 즉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직장생활을 통한 사회적 교류 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노후에 대한 준비는 삶의 질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quality of lif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work, retirement prepara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people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Changwon 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 정도와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질 정도를 살펴보고 직장생활, 노후준비,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직장생활과 삶의 질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직장생활이 삶의 질에 미치는 관계에서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노후준비를 구체적으로 신체적 노후준비, 심리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사회적 노후준비가 어떤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실태 및 의식을 조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어떠한가?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 실태 및 의식을 조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이들의 노후에 대한 준비의식은 높은 편이지만 구체적인 준비는 미흡한 편이다. 예를 들어, 2012년 베이비부머에 대한 2차년도 패널 조사에 의하면, 조사 대상자의 69.
베이비부머 세대는 어떤 현실에 직면해있느가? 그만큼 고령화 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준비와 대책이 서둘러 이루어져야 함을 뜻하기도 한다. 특히 미래 고령자가 될 뉴실버 세대인 베이비부머 세대는 상대적으로 더 길어진 생애 주기인 노년기에 안정적으로 생활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제도나 일차적 책임을 가진 국가에서 제공하는 공적 부조만으로는 불충분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 정도와 노후준비를 살펴보고 직장생활, 노후준비, 삶의 질 간의 실증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직장생활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에 노후준비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있어서 직장생활 즉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직장생활을 통한 사회적 교류 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노후에 대한 준비는 삶의 질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 J. Kang, "A Study on Korean Adults' Planning for Old Age", Journal of the Korean Community Living Science, 11(4), pp. 159-174, 2005. 

  2. I, Kang,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2), p. 16, 2003. 

  3. S. D. Ko, "An Analyt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2005 

  4. M. H. Kim, "A Study o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uccessful Aging among Korean Elderly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 pp. 697-716, 2010. 

  5. M. H. Kim. K. R. Sin,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5(2), pp. 35-52, 2005. 

  6. Y. H. Kim, C. W. Lee, "A study on preparation Level for old age of the Middle aged",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19(0), pp. 55-82, 2008. 

  7. T. H. Kim, "A Study on the Care-giving for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orea, Seoul, 1981. 

  8. M. J. Bae, "The Effect of Retirement Expectation on Preretirement Plann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1), pp. 145-158, 2007. 

  9. J. E. Paik, H. K. Choi, "Cross-Cultural Study of Successful Aging in Korean and Western Socie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2), pp. 137-153, 2005. 

  10. J. Suh, H. I. Park, "A Study on the Supporting Behavior and the Preparation for the Declining Ages: Focused on the Middle Aged parents", Journal of Living Science Research, 18(0), pp. 143-166, 1992. 

  11. H. Suh, "A Study on Middle-aged Men's Job Caree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pouses for Successful Aged Life Plan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oseo, Asan, 2012. 

  12. M. S. Seong, "A Study on Middle-Aged Women's Provision and Measures for old age: Centering on Ulsan", Unpublished maste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ongguk, Seoul, 2004. 

  13. K. H. Lee, S. H. Moon, "Assessing the Linkage between Economic Activity and Enrollment in Retirement Pension Plan among Mid-Age Women",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19(2), pp. 129-160, 2010. 

  14. Y. J. Le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the Old Age and the Aging Anxiety of Middle-aged Couple", Unpublished maste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nseo, Seosan. 2010. 

  15. Y. B. Lee, E. J. Yeun, "An Inquiry into Subjectivity toward a Successful Aging among Korean Mid-life and Elders: A Q-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4), pp. 1961-1976, 2008. 

  16. A. Campbell,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pp. 117-124, 1981. 

  17. S. D. Chung,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ow-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Family Social Work, 11, pp. 59-79. 2003. 

  18. D. H. Chung, "Choice Probabilities of the Characteristics for a Successful Retirement Lif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2), pp. 793-802, 2012. 

  19. Ch. Y. Cho, M. Y. Song, K. S. Lee, "The Decision Factor on Thinking against Their Old Age of the Middle Generat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1), pp. 135-156, 2009. 

  20. J. W. Jeon, "A Study on Measure Against Old Age Of The Middle-Aged People", Unpublished maste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aegu Catholic, Daegu, 2002. 

  21. S. E. Cha, G. H. Han, "Job, Family, and Physical Health, Family and culture", 15(2), pp. 33-60, 2003. 

  22. S. J. Cho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 of 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Institute, 49, pp. 233-258, 1986. 

  23. B. J. Fisher,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Aging Hum Dev, 41, 1995. 239-250. DOI: http://dx.doi.org/10.2190/HA9X-H48D-9GYB-85XW 

  24. R. C. Mannell, S. Dupuis, "Life Satisfaction, in J. E. Birren(Ed.), Encyclopedia of Gerontology", 2, San Diego : Academic Press, pp. 59-64, 1996. 

  25. J. W. Rowe, R. L. Kahn,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pp. 433-440,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