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과학 교사의 과학, 과학 학습,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인식론적 신념의 맥락 의존성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Teaching: Context Dependency of Epistemological Belief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5년, pp.15 - 25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  강남화 (한국교원대학교) ,  김병석 (루즈벨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을 바라보는 이론적 입장은 크게 영역과 무관하게 발달된다는 입장과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성화된다고 바라보는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을 보다 복합적인 구인으로 이해하기 위해 과학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이 서로 다른 과학 내용 지식의 영역(용불용설, 임페투스론)에서 그리고 '과학 지식', '과학 학습', '과학 교수'라는 세 가지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일관성이 있는지, 인식론적 신념의 맥락의존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이 '과학 지식', '과학 학습', '과학 교수' 세 가지 상황에서 일관적인 경우는 극히 적었다. 두 가지 상황에서만 일치하는 연관적 신념이 대부분이었고 세 가지 상황에서 모두 서로 다른 유형의 인식론적 신념을 가진 비일관적 신념을 가진 비율이 일관적인 인식론적 신념을 가진 비율보다 높았다. 또 용불용설과 임페투스론 두 주제 영역을 가로질러 예비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이 일관적인지 알아본 결과 '과학 지식'과 '과학 교수' 상황에서는 주제 영역과 관계없이 일관적 신념을 보인 비율이 높았으나 '과학 학습' 상황에서는 주제 영역에 따라 인식론적 신념이 달라지는 경우가 일관적인 경우보다 더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보다 일관된 인식론적 신념을 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secondary physics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teaching in two different science content topics, Lamarckism and the impetus theory. Two sets of open-ended questionnaires, for each of the topics respective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식론적 신념은 무엇인가? 인식론이 지식의 본질과 기원, 지식 습득의 방법과 한계, 정당화의 근거에 관해 탐구하는 철학의 한 영역이라면, 인식론적 신념은 그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의미한다(Hofer, 2000). 즉 ‘인식론적 신념’이란 지식이란 무엇인지, 인간이 어떻게 지식을 얻게 되는지에 대한 개인적 믿음(Hofer & Pintrich, 2002)을 의미한다.
신념은 행동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가? 신념은 철학, 심리학, 사회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므로 그 정의를 단언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지식보다는 정의적, 감정적 측면이 강하며 지식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Nespor, 1987). 또한 행동에 대해 지식보다 더 강력한 예언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Pajares, 1992). 인식론이 지식의 본질과 기원, 지식 습득의 방법과 한계, 정당화의 근거에 관해 탐구하는 철학의 한 영역이라면, 인식론적 신념은 그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의미한다(Hofer, 2000).
신념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신념’의 사전적 의미는 ‘판단·주장·의견 따위를 진리라고 생각하는 마음의 상태’ 혹은 ‘자기 생각을 굽히거나 의심하지 않으려는 의지 또는 정신적 태도’이다(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신념은 철학, 심리학, 사회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므로 그 정의를 단언하기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지식보다는 정의적, 감정적 측면이 강하며 지식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Nespor,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e. Science Education, 82(4), 417-437. 

  2.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3. Cho, H-H., & Choi, K. (2002). Science educati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4), 820-836. 

  4.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The dictionary of educational studies. Hawoo publishing company. 

  5.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69-190). Mahway, NJ: Erlbaum. 

  6. Hammer, D., & Elby, A. (2003). Tapping epistemological resources for learning physic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2(1), 53-90. 

  7. Hofer, B. K. (2000). Dimensionality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in personal epistemolog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4), 378-405. 

  8. Hofer, B. K., & Pintrich, P. R. (2002).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9. Kang, N-H., & Wallace, C. S. (2004). Secondary science teachers' use of laboratory activities: Linking epistemological beliefs, goals, and practices. Science Education, 89(1), 140-165. 

  10. Kang, N-H. (2008).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 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378-405. 

  11. Kwak, Y. (2001). Theoretical background of constructivist epistemolog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5), 427-447. 

  12. Kwon, S., & Pak, S. (1995).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and its changes in nature of science and constructivist view of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5(1), 104-115. 

  13. Lederman, N. G. (1999).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16-929. 

  14. Lederman, N. G. (2007).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831-88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 Linn, M. C., Eylon, B., & Davis, E. A. (2004). The knowledge integration perspective on learning. In M. C. Linn, E. A. Davis, & P. Bell (Eds.), Internet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pp. 29-46).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6. Nespor, J. (1987). The role of belief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4). 317-328. 

  17. Paeng, A-J., & Paik, S-H. (2005). An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faith on inquiry lessons and their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9(3), 300-310. 

  18.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19. Park, Y. (2000). Secondary teachers' view on science an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2), 244-249. 

  20. Perry, W. G. (1970). Forms of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n the college years: A scheme.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21. Rokeach, M. (1968). Beliefs, attitudes, and values: A theory of organization and change. San Francisco: Jossey-Bass. 

  22. Schraw, G., & Olafson, L. (2002). Teachers' epistemological world view and educational practices. Issues in Education, 8(2), 99-149. 

  23. Schommer, M. (1990). Effec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on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498-504. 

  24. Tobin, K. G., Tippins, D. J., & Hook, K. (1994). Referents for changing a science curriculum: A case study of one teacher's change in beliefs. Science and Education, 3, 245-264. 

  25. Tsai, C-C. (2002). Nested epistemologies: Science teachers' beliefs of teaching, learning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771-783. 

  26. Waters-Adams, 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ractice: The influence of teachers' beliefs abou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8), 919-944. 

  27. Yang, I-H., Han, K-G., Choi, H-D., Oh, C-H., & Cho, H-J. (2005).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4), 399-416. 

  28. Yoon, C-H. (2011). The domain generality versus specific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relations with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5(3), 523-544. 

  29. Yoon, C-H. (2012).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theoretical issues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1), 327-3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