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기간에 따른 동결건조 농후 발효유 내 유산균 생균수 변화
Changes in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Storage of Freeze-Dried Yogurt Snacks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3 no.3, 2015년, pp.203 - 207  

임예서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홍식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신용국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강신호 (서울우유협동조합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공정에 의한 유산균의 생균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농후 발효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후 발효유 제조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 및 구성을 달리하여 동결 건조 전후의 유산균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도당의 일부를 이소말토올리고당으로 대체하였을 때, 발효유 내 초기 유산균 생균수 및 동결건조 공정 이후의 유산균 생존율 또한 높아졌다. 또한 동결 건조 시 열판 온도가 낮을 경우, 건조 효율은 떨어지지만, 동결건조 이후의 동결건조 농후 발효유 내 초기 유산균 생존율이 높았다. 16주간의 저장기간에 따른 유산균 생균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상온보관 조건에서 유산균은 지수적으로 감소하였다. 하지만 16주가 경과한 후에도 $1.63{\times}10^8CFU/g$의 생균수를 유지하여 약 0.6 g 이상의 동결건조 농후 발효유만 섭취하여도 체내에서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 배변활동 원활 등의 건강기능성을 가질 수 있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식품 매트릭스에 따른 동결방지 효과를 파악할 때, 유산균 생균수를 유일한 지표로 삼았다는데 한계가 있다. 유산균 생균수뿐만 아니라, 유산균의 활성을 살펴보기 위해 동결건조 이후의 젖산 생성능력이나 실질적으로 체내에 들어갔을 때 위액이나 담즙액에 대한 저항성 측면에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jority of food drying processes are based on the use of thermal energy. However, such methods may deteriorate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Freeze-drying is one of the most useful processes for drying thermosensitive substances. Food that contains beneficial bacteria, for example, is sus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공정 이후의 유산균 생균수를 높일 수 있는 농후 발효유를 개발하고, 유산균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동결건조 온도를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동결건조 농후발효유의 저장기간 중의 유산균 생균수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농후 발효유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존율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저장 기간 중의 유산균 생균수가 건강기능식품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공정 이후의 유산균 생균수를 높일 수 있는 농후 발효유를 개발하고, 유산균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동결건조 온도를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동결건조 농후발효유의 저장기간 중의 유산균 생균수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농후 발효유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존율차이를 비교분석하고, 저장 기간 중의 유산균 생균수가 건강기능식품 수준으로 유지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공정에 의한 유산균의 생균수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농후 발효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후 발효유 제조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 및 구성을 달리하여 동결 건조 전후의 유산균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바이오틱스란 무엇인가? 프로바이오틱스란 장내 균총의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의 건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균체를 지칭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대표적인 건강 기능성으로는 유익한 유산균 증식, 유해균 억제, 배변활동 원활 등이 있다.
동결건조 공정 이후의 유산균 생균수를 높일 수 있는 농후 발효유를 개발하기 위한 실험에서 농후 발효유의 동결 건조 시, 높은 온도에서 건조물의 갈변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또한 55℃에 비해 70℃ 온도조건에서 동결 건조한 경우, 건조물의 갈변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온도에서의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사료된다.
동결건조 공정을 거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세포 변화는? 동결건조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보존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미생물을 장기 보존하는데 효과적이며, 저장 및 유통 과정 중에서도 보관이 편리하다(Gwak, 2014). 하지만 동결 및 동결건조 공정을 거치며, 세포는 낮은 온도 및 수분활성 등의 가혹한 조건하에서 그 생존율이 낮아지게 된다. 동결 건조 시 균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동결건조 조건, 동결방지제(Cryoprotectant)의 종류 및 저장 조건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badias, M., Benabarre, A., Teixido, N., Usall, J. and Vinas, I. 2001. Effect of freeze drying and protectants on viability of the biocontrol yeast Candida sake. Food Microbiol. 65:173-182. 

  2. Abraham, A., De Antoni, G. and Anon M. 1990. Effect of calcium on the cryopreservation of L. bulgaricus in different freezing media. Cryobiology 27:336. 

  3. Bansal, T. and Garg, S. 2008. Probiotics: From functional foods to pharmaceutical product. Curr. Pharm. Biotechnol. 9:267-287. 

  4. Blanquet, S., Garrait, G., Beyssac, E., Perrier, C., Denis, S., Hebrard, G. and Alric, M. 2005. Effect of cryoprotectants on the viability and activity of freeze dried recombinant yeasts as novel oral drug delivery system assessed by an artificial digestive system. Eur. J. Pharm. Biopharm. 61:32-39. 

  5. Brian, C. S. To and Etzel, M. R. 1997. Spray drying, freeze drying, or freezing of three different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J. Food Sci. 62(3):576-578. 

  6. Capela, P., Hay, T. K. C. and Shah, N. P. 2006. Effects of cryoprotectants, prebiotics and microencapsulation on survival of probiotic organisms in yoghurt and freeze-dried yoghurt. Food Res. Int. 39:203-211. 

  7. Carvalho, A. S., Silva, J., Ho, P., Teixeira, P., Malcata, F. X. and Gibbs, P. 2004. Effects of various sugars added to growth and drying media upon thermotolerance and survival throughout storage of freeze dried Lactobacilli delbrueckii ssp. Bulgaricus. Biotechnol. Progr. 20:248-254. 

  8. Carvalho, A. S., Silva, J., Ho, P., Teixeira, P., Malcata, F. X. and Gibbs, P. 2003. Effect of various growth media upon survival during storage of freeze-dried Enterococcus faecalis and Enterococcus durans. J. Appl. Microbiol. 94:947-952. 

  9. Castro, H. P., Teixeira, P. M. and Kirby, R. 1995. Storage of lyophilized cultures of Lactobacillus bulgaricus under different relative humidities and atmospheres. Appl. Microbiol. Biot. 44:172-176. 

  10. Gardiner, G. E., O'Sullivan, E. and Kelly, J. 2000. Comparative survival rates of human-derived probiotic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 salivarius strains during heat treatment and spray drying. Appl. Environ. Microb. 66(6):2605-2612. 

  11. Gwak, H. J., Lee, N. R. and Park, H. W. 2014. Use of food-grade protective agents to improve the viability of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6(5):655-659. 

  12. Leonie, J. M., Linders, W. F., Wolkers, F. A. and Hoeskstra, Klaas van’t Riet. 1997. Effect of added carbohydrates on membrane phase behavior and survival of dried Lactobacillus plantarum. Cryobiology. 35:31-40. 

  13. Leslie, S. B., Israeli, E., Lighthart, B., Crowe, J. H. and Crowe, L. M. 1995. Trehalose and sucrose protect both membranes and proteins in intact bacteria during drying. Appl. Environ. Microb. 61(10):3592-3597. 

  14. Mellor, J. D. 1978. Fundamental of freeze drying. London: Academic Press. pp. 257-288. 

  15. Otero, M., Espeche, M. and Nader-Macias, M. 2007. Optimization of the freeze-drying and survival throughout storage of freeze dried Lactobacillus gasseri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for veterinarian probiotic applications. Process Biochem. 42:1406-1411. 

  16. Schrezenmeir, J. and de Vrese, M. 2001. Probiotic, prebiotics, and synbiotics. Am. J. Clin. Nutr. 73(suppl):361S-4S. 

  17. Schwab, C., Vogel, R. and Ganzle, M. G. 2007. Influence of oligosaccharides on the viability and membrane properties of Lactobacillus reuteri TMW1. 106 during freeze-drying. Cryobiology 55:108-114. 

  18. Selmer-Olsen, E., Birkeland, S. E. and Sorhaug, T. 1999. Effect of protective solutes on leakage from and survival of immobilized Lactobacillus subjected to drying, storage and rehydration. J. Appl. Microbiol. 87:429-437. 

  19. Zayed, G. and Roos, Y. H. 2004. Influences trehalose and moisture content on survival of Lactobacillus salivarius subjected to freeze-drying and storage. Process Biochem. 39:1081-10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