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쿼트 동작 시 경사기능전신진동기의 적용이 몸통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Muscle Activation in the Trunk and Lower Limbs While Squatting with Slope-whole-body Vibration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25 no.4, 2015년, pp.383 - 391  

오주환 (전북대학교 대학원 헬스케어공학과) ,  강승록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권대규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바이오메디컬공학부) ,  민진영 ((주)소닉월드)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ynamic squats with slope-whole body vibration (WBV) on the trunk and lower limb in muscle activities. Method : 9 healthy women (age: $21.1{\pm}0.6years$, height: $160.5{\pm}1.4cm$, body weight: $50.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경사기능 전신진동 운동기를 사용하여 경사각도, 진폭, 빈도 등의 운동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여 그에 따른 근 활성도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진동 운동기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능과 역할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제시 및 효율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신진동자극의 빈도 제공에 있어서는 선행연구에서 근 활성도의 효과성을 입증한 10 Hz(저 역대 음파 진동)와 극단적인 비교 값인 50 Hz(고 역대 음파 진동)를 추가로 제공된 경사각도 상황에서의 상지 및 하지 근육의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각각 제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피험자들의 신장이나 체중, 나이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피험자 간의 편차를 최소화하였고, 운동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적인 요인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운동 시 동작에 대한 지속적인 언어 및 비언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였으며, 일관된 동작 및 구간별 통제를 위하여 메트로놈과 스톱워치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의 중심부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신체의 중심부(Core)는 인체 전면에 있는 복근(abdominals), 후면의 척추 주위근(para spinals)과 둔근(gluteals), 코어의 상부에 해당하는 가로막(diaphragm)과 하부의 골반 아랫부분(pelvic floor)과 골반대(hip girdle)로 이루어진 근육군의 박스로 정의되고 있으며(Richardson, Jull, Hodges & Hides, 1999), 자세정렬(postural alignment)을 유지하고, 기능적인 활동 수행 시 동적인 자세균형(dynamic postural equilibrium)과, 신경근육의 운동조절 등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Power Zone” 으로 언급되고 있다(Taimela, Kankaanpaa & Luoto, 1999; Panjabi, 2003; Akuthota & Nadler, 2004; Akutho-ta & Ferreiro, 2008).
스쿼트 운동 시 경사도에 따른 근 활성도의 차이는? 이때 운동강도를 추가로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로 수행되게 되며, 특히 초보자의 운동에서는 중량이나 부하를 늘리는 형태보다는, 무게중심의 안정 및 불안정 상태의 변화를 통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안전하고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스쿼트 동작 시 경사도의 유무에 따라 근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비복근에서만 근 활성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퇴이두근, 복직근에서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대퇴직근, 요장늑근, 전경골근에서의 근 활성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이러한 결과는 경사각의 제공이 발목을 인위적으로 배측 굴곡 시켜 전후 방향의 신체 무게중심의 이동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일정한 동작 수행 시 신체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주동근(넓적다리) 및 척추 주변 근육(요장 늑근, 복직근 등)에서도 주동근 형태의 협력적인 작용이 동시적으로 발생한 것이라 판단된다.
스쿼트는 어떻게 하는 운동인가? 운동 자세는 스쿼트(squat) 동작으로, 허리를 곧게 펴고 시선은 정면 또는 약간 상방을 향하고, 발끝으로 무릎이 나가지 않는 형태를 유지하여 하지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반복하여 동작을 진행하며, 다리는 어깨너비보다 약간 크게 십 일자로 벌려 진행을 하였다(Fry, 1993). 세부적인 자세는 [Figure 2]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kuthota, V., Ferreiro, A., Moore, T., & Ferdericson, M. (2008). Core stability exercise principles.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 7(1), 39-44. 

  2. Akuthota, A., & Nadler, S. F. (2004). Core strengthe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1), 86-92. 

  3. Blackard, D. O., Jensen, R. L., & Ebben, W. P. (1999). Use of EMG analysis in challenging kinetic chain terminolog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1(3), 443-448. 

  4. Bosco, C. (1992). The effects of Extra-load Permanent Wearing on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eg Extensor Muscles. 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Jean-Momnet. 

  5. Bosco, C., Cardinale, M., & Tsrpela, O. (1999). Influence vibration on mechanical power and electrogram activity in human arm flexor muscl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9, 306-311. 

  6. Cardinale, M. (2002). The Effect of Vibration on Human Performance and Hormonal Profile. Published Doctoral Thesis. Semmelwis University Doctoral School. 

  7. Cardinale M., & Bosco, C. (2003). The use of vibration as an exercise intervention.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s, 31(1), 3-7. 

  8. Cardinale, M. & Wakeling, J. (2005).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are Cavibratio good for you?.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39, 585-589. 

  9. Chae, W. S., Jeong, H. K., & Jang. J. I. (2007). Effect of different heel plates on muscle activities during the squat.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17(2), 113-121. 

  10. Datta, S., Lee, M., Falco, F. J., Bryce, D. A., & Hayek. (2009). Systematic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and therapeutic utility of lumbar facet joint interventions. Pain Physician, 12, 437-460. 

  11. Delecluse, C., Roelants, M., & Verschueren, S. (2003). Strength increase after whole-body vibration compared with resistance training.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5(6), 1033-1041. 

  12. Fry, A. (1993). Coaching consideration for the barbell squat-Part I.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5(2), 60-65. 

  13. Fry, A. C., Smith, J. C & Schilling, B. K. (2003). Effect of knee position on hip and knee torques during the barbell squat.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7(4), 629-633. 

  14. Hong, J., Velez, M., Moland, A., & Sullivan, J. (2010). Acut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on shoulder muscular strength and joint position sense. Journal of Human Kinetics, 25, 17-25. 

  15. Irish, S. E., Millward, A J., Wride, J. H., Bernhard, M., Shum., & Gary, L. K. (2010). The effect of closed-kinetic chain exercises and open-kinetic chain exercise on the muscle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4(5), 1256-1262. 

  16. Issurin, V. B., Liebermann D. G., & Tenenbaum, G. (1994). Effect of vibratory stimulation training on maximal force and flexibility. Journal of Sports Science, 12(6), 561-566. 

  17. Kang, S. R., & Kwon, T. K. (2012). Effect on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for loading pattern using electric exercise instru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9(2) 229-238. 

  18. Kang, S. R., Jung, G. Y., Moon, D. A., Jeong, J. S., Kim, J. J., & Kwon, T. K. (2011). Evaluation of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oading deviation methods during rowing exercise.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1(3), 369-382. 

  19. Koumantakis, G. A., Watson, P. J., & Oldham, J. A. (2005).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lus general exercise versus general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85, 209-225. 

  20. Krol, P., Piecha, M., Slomka, K., Polak, A., & Juras, G. (2011).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plus general exercise versus general exercise on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low back pain. Physical Therapy, 85, 209-225. 

  21. Marras, W. S. (2000). Occupational low back disorder causation and control. Eronomics, 43(7), 880-902. 

  22. Makkelsen, M., Werner, S., Eriksson, E. (2000). Closed Kinetic Chain along compared to combined open an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for quadriceps strengthening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action with respect to return to sports.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8), 337-342. 

  23. Nordlund, M. M., & Thorstensson, A. (2007). Strength training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17(1), 12-17. 

  24. Oh, J. H., Kang, S, R., Min, J, Y., & Kwon, T, K. (2015). The effect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trs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5(3), 343-351. 

  25. Panjabi, M. M. (2003). Clinical spinal instability and low back pai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3, 371-379. 

  26. Rechardson, C. A., Jull, C. A., Hodges, P. W., & Hides, J. A. (1999). Therapeutic Exercise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BP: Scientific Basis and Clinical Approach.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27. Roelants, M., Verschueren, S. M., Delecluse, C., Levin, O., & Stijnen, V. (2006). Whole-body-vibration-induced increase in leg muscle activity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1), 3306-3310. 

  28. Russo, C. R., Lauretani, F., Bandinelli, S., Bartali, B., Cavazzini, C., Guralnik, J. M., & Ferrucci, L. (2003). High-frequency vibration training increases muscle power in postmeno pausal woma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12), 1854-1857. 

  29. Taimela, S., Kankaanpaa, M., & Luoto, S. (1999). The effect of lumber fatigue on the ability to sence a change in lumber position. Spine, 24, 1322-1327. 

  30. Yu, C. H., Seo, S. B., Kang, S. R., & Kwon, T. K. (2014). Fundamental study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using an angled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instrument. Bio-Medical Engineering Materials and Engineering, 24, 2437-2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