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긴산 분해능을 갖는 Pseudoalteromonas 및 Vibrio 속 해양세균들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bacteria with alginate degrading activit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1 no.4, 2015년, pp.364 - 373  

윤영준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정완 (인천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알긴산의 응용을 위하여 인천지역에서 수집한 다양한 패류와 해수로부터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103개의 균주를 분리하고 그 중 M1-2-1, M6-1, C8-15 등 분해능이 가장 우수한 3균주를 선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모두 그람 음성 간균이었고, 운동성이 있는 호염성 세균이었다. 또한 생리 생화학적 특성 분석과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M1-2-1과 M6-1은 Pseudoalteromonas 속, C8-15은 Vibrio 속에 속하는 세균으로 동정되었다. 이들의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은 알긴산이 유일한 탄소원인 APY 배지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6-8시간 배양했을 때 최대로 나타났고, NaCl을 가했을 때 생장 및 효소 활성 모두 증진되었다. 이 분리 균주들의 알긴산 분해 조효소들은 $45^{\circ}C$와 pH 7.0-8.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Pseudoalteromonas sp. M1-2-1과 M6-1 균주는 각각 2.7232 g/L와 1.976 g/L의 환원당 생성능을 보여,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effort to utilize alginate, 103 bacterial isolates that were positive for the alginate lyase activity were isolated from various clams and seawater samples collected in Incheon coastal area. Among them, 3 strains (M1-2-1, M6-1, and C8-15) were finally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based o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패류 및 해수로부터 가장 자연적인 조건 하에서 알긴산 유래 올리고당 생산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응용할 수 있도록 알긴산 분해능이 우수한 해양세균들을 분리, 동정하며 그 균주들의 생장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분비하는 알긴산 분해효소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긴산이란? 알긴산은 갈조류 세포벽의 40% 정도를 차지하는 주성분으로 β-D-mannuronic acid (MA)와 α-L-guluronic acid (GA)가 α-1,4 또는 β-1,4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점액질의 이형 다당류이다(Gacesa, 1988). 알긴산의 MA와 GA의 비율은 해조류의 종류, 계절 및 해조 부위 등에 따라 다른데(Fisher and Dorfel, 1955), 현재 상용되는 알긴산은 대부분 Macrocystis perifera,Laminaria hyperborean, 그리고 Ascophyllum nodosum으로부터 생산되고 있다.
알긴산의 분리 및 분해를 어렵게 하는 특성은 무엇인가? 그러나 올리고당을 비롯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산업, 그리고 바이오 에너지 생산 등에 알긴산을 비롯한 해조 다당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분해하여 저분자화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알긴산은 수용성이 낮아 상온에서 용해되는 시간이 길고, 알코올에도 잘 녹지 않으며, 농도가 증가되면 점도가 높아지는 등의 특성을 갖고 있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알긴산의 분리 및 분해를 위해 고온고압, 방사선 조사 등의 물리적 방법이나 산이나 알칼리로 처리하는 화학적 방법이 보고된 바 있으나(Uo et al.
알긴산의 효능과 응용 방안은? 알긴산은 비만억제, 장의 연동운동 촉진을 통한 변비 치료, 콜레스테롤 억제, 항응고, 중금속 흡수 및 제거, 유해물질의 독성 억제(Gűven et al., 1991) 등의 유용 생리활성을 보이고 겔/ 필름 형성능이 있어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처를 보호하는 창상피복제 및 지혈 (Lee et al., 2009a) 등의 효과가 있어 의약품 소재로도 응용될수 있다(Kim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xter, R.M. 1959. An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of salts on the lactic dehydrogenase of Halobacterium salinarium. Can. J. Microbiol. 5, 47-57. 

  2. Choi, D., Piao, Y.L., Shin, W.S., and Cho, H. 2009. Production of oligosaccharide from alginate using Pseudomonas agarovorans. Appl. Biochem. Biotechnol. 159, 438-452. 

  3. Cote, G.L. and Krull, L.H. 1988.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Azotobacter chroococcum. Carbohydr. Res. 181, 143-152. 

  4. Fisher, F.G. and Dorfel, H. 1955. The polyuronic acids of brown algae. Part I. Z. Physiol. Chem. 302, 186-203. 

  5. Gacesa, P. 1988. Alginates. Carbohydr. Polym. 8, 161-182. 

  6. Gacesa, P. and Wusteman, F.S. 1990. Plate assay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alginate lyase and determination of substrate specificity. Appl. Environ. Microbiol. 56, 2265-2267. 

  7. Guven, K.C., Ozsoy, Y., and Ulutin, O.N. 1991. Anticoagulant, fibrinolytic and antiaggregant activity of carrageenans and alginic acid. Botan. Marin. 34, 429-435. 

  8. Holt, J.G., Krieg, N.R., Sneaht, P.H.A., Staley, J.T., and Williams, S.T. 199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 Williams Wilkins, USA. 

  9. John, R.P., Anisha, G.S., Nampoothiri, K.M., and Pandey, A. 2011. Micro and macroalgal biomass: a renewable source for bioethanol. Bioresour. Technol. 102, 186-193. 

  10. Joo, D.S., Cho, S.Y., and Lee, E.H. 1993. Isolation of alginatedegrading bacteria and production of alginate degrading activities by the 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1, 207-213. 

  11. Joo, D.S., Lee, J.S., Park, J.J., Cho, S.Y., Ahn, C.B., and Lee, E.H. 199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ntracellular alginase from Vibrio sp. AL-145.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432-438. 

  12. Joo, D.S., Lee, J.S., Park, J.J., Cho, S.Y., Kim, H.K., and Lee, E.H. 1996.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alginic acid enzymatic hydr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46-151. 

  13. Jung, J.Y., Hur, S.S., and Choi, Y.H. 1999. Studies on the efficient extraction process of alginic acid in sea tangle. Food Eng. Prog. 3, 90-97. 

  14. Kim, O.S., Cho, Y.J., Lee, K., Yoon, S.H., Kim, M., Na, H., Park, S.C., Jeon, Y.S., Lee, J.H., Yi, H., Won, S., and Chun, J. 2012. Introducing EzTaxon-e: a prokaryotic 16S rRNA gene sequence database with phylotypes that represent uncultured speci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2, 716-721. 

  15. Kim, B.J., Ha, S.D., Lim, D.J., Song, C., and Kong, J.Y. 1998. Production of agarase from marine bacterium Bacillus cereus ASK202.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 524-529. 

  16. Kim, J., Kim, Y., Kim, S., Kim, B., and Nam, S. 2011. Properties and industrial applications of seaweed polysaccharides-degrading enzymes from the marine microorganism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189-199. 

  17. Kim, H.K., Lee, J.C., Kang, N.H., Kim, S.H., Kim, J.G., and Chung, K.C. 200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ellular alginate lyase from Streptomyces sp. MET 0515. J. Life Sci. 17, 625-633. 

  18. Kim, D.E., Lee, E.Y., and Kim, H.S. 2009.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 from a marine bacterium Streptomyces sp. ALG-5. Mar. Biotechnol. 11, 10-16. 

  19. Kim, O.J., Lee, D., Lee, S., Lee, S.J., Do, H.J., Park, H.J., Kim, A., Lee, J., and Ha, J.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inatedegrading Methyobacterium sp. HJM27.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144-150. 

  20. Kitamikado, M., Yamaguchi, K., Tseng, C., and Koabe, B. 1990. Method designed to detect alginate-degrading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6, 2339-2940. 

  21. Lee, B.H., Lee, S.B., and Kim, W.K. 2009a. Alginate fiber. Fiber Technol. Ind. 13, 21-24. 

  22. Lee, J.H., Bae, M.J., Kim, Y., and Nam, S. 2009b.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 producing Pseudomonas sp. N7151-6.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350-354. 

  23. Lee, K.E., Lee, J.Y., and Kim, K. 2008. Effect of content of crop component on the bioethanol production. Korean J. Crop Sci. 53, 339-346. 

  24. Lee, S., Oh, Y., Kim, D., Kwon, D., Lee, C., and Lee, J. 2011. Converting carbohydrates extracted from marine algae into ethanol using various ethanolic Escherichia coli strains. Appl. Biochem. Biotechnol. 164, 878-888. 

  25. Li, L., Jiang, X., Guan, H., Wang, P., and Guo, H. 2011. Three alginate lyases from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HZJ21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Appl. Biochem. Biotechnol. 164, 305-317. 

  26. Li, S., Yang, X., Zhang, L., Yu, W., and Han, F. 2015.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old-adapted and surfactant-stable alginate lyase from marin bacterium Agarivorans sp. L11. J. Microbiol. Biotechnol. 25, 681-686. 

  27.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y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by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8. Nam, Y.D., Chang, H.W., Park, J.R., Kwon, H.Y., Quan, Z.X., Park, Z.X., Lee, J.S., Yoon, J.H., and Bae, J.W. 2007. Pseudoalteromonas marina sp. nov., a marine bacterium isolated from tidal flats of the Yellow Sea, and reclassification of Pseudoalteromonas sagamiensis as Algicola sagamiensis comb.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57, 12-18. 

  29. Park, J.I., Woo, H.C., and Lee, J.H. 2008. Production of bio-energy from marine algae : status and perspectives. Korean Chem. Eng. Res. 46, 833-844. 

  30. Powell, L.C., Sowedan, A., Khan, S., Wright, C.J., Hawkins, K., Onsoyen, E., Myrovold, R., Hill, K.E., and Thomas, D.W. 2013. The effect of alginate oligosaccharid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ram-negative biofilms. Biofouling 29, 413-421. 

  31. Saitou, N. and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4, 406-425. 

  32.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33. Terakado, S., Ueno, M., Tamura, Y., Tada, N., Yoshinaga, M., Otsuka, K., Numabe, A., Kawabata, Y., Murota, I., Sato, N., and Uehara, Y. 2012. Sodium alginate oligosaccharides attenuate hypertension and associated kidney damage in Dahl salt-sensitive rats fed a high-salt diet. Clin. Exp. Hypertens. 34, 99-106. 

  34. Tomoo, S., Hiromasa, T., Yoshio, E., and Gacesab, P. 2001. Cloning, sequence analysis and expression of Pseudoalteromonas elyakovii IAM 14594 gene (alyPEEC) encoding the extracellular alginate lyase. Carbohydr. Res. 335, 11-21. 

  35. Ueno, M., Tamura, Y., Toda, N., Yoshinaga, M., Terakado, S., Otsuka, K., Numabe, A., Kawabata, Y., Murota, I., Sato, N., et al. 2012. Sodium alginate oligosaccharides attenuate hyperten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fed a low-salt diet. Clin. Exp. Hypertens. 34, 305-310. 

  36. Uo, M.H., Joo, D.S., and Cho, S.Y. 2006a. Screening and cultivation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degrading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09-114. 

  37. Uo, M.H., Joo, D.S., Cho, S.Y., and Min, T.S. 2006b.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alginase produced by Bacillus lichenifomis AL-577.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31-237. 

  38. Wong, T.Y., Preston, L.A., and Schiller, N.L. 2000. Alginate lyase: review of major sources and enzyme characteristics, structurefunction analysis, biological roles, and applications. Annu. Rev. Microbiol. 54, 289-340. 

  39. Yan, G.L., Guo, Y.M., Yuan, J.M., Liu, D., and Zhang, B.K. 2011. Sodium alginate oligosaccharides from brown algae inhibit Salmonella enteritidis colonization in broiler chickens. Poult. Sci. 90, 1441-1448. 

  40. Yokose, T., Nishikawa, T., Yamamoto, Y., Yamasake, Y., Yamaguchi, K., and Oda, T. 2009. Growth-promoting effect of alginate oligosaccharides on a unicellular marine microalga, Nannochloropsis oculata. Biosci. Biotechnol. Biochem. 73, 450-453. 

  41. Yoon, Y.J., Im, K.H., Koh, Y.H., Kim, S.K., and Kim, J.W. 2003. Genotyping of six pathogenic Vibrio species based RFLP of 16S rDNAs for rapid identification. J. Microbiol. 41, 312-319. 

  42. Zhu, B. and Yin, H. 2015. Alginate lyase: review of major sources and classification, properties, structure-function analysis and applications. Bioengineered 6, 125-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