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열대야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야간 저온의 감소에 의한 사과의 착색 불량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육기 후반의 야간 고온이 '후지' 사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성숙기 과실 품질과 시기별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량을 조사하였고, 잎과 과실 내 당 함량을 비교하여 야간 고온에 의한 생리반응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야간온도는 7월부터 10월까지 인공기상실 내부에서 처리하였고, 대기온도 대비 $-4^{\circ}C$, $+4^{\circ}C$ 로 각각 설정하였다. 야간 고온은 과실의 횡경, 과중, 당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과피의 착색을 불량하게 하였지만, 착색 시기의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량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또한, 야간 고온에 의해서 잎의 sorbitol, glucose 함량과 과실의 sorbitol, sucrose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고, 잎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책상, 해면 등의 광합성 조직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광합성 조직 내의 전분 함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야간 고온은 '후지' 사과의 과실 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잎과 과실의 당 조성을 변화시켰으며,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과는 관계없이 과피의 착색을 억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opical night phenomenon has been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recently, it is expected that fruit quality of apples will decrease due to elevated night temperature condition. In the present study, fruit quality at maturity, periodic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 expression and sugar content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육기 후반기의 야간 고온이 ‘후지’사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성숙기의 과실 품질과 시기별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하였고, 잎과 과실의 유리당과 잎의 해부학적 특징을 비교하여 야간 고온에 따른 생리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상고온 현상에 의한 열대야란 무엇인가?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이상고온 현상이 증가하면서 열대야 현상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Park and Suh, 2011). 열대야는 야간 최저 기온이 25oC 이상으로 유지되는 밤을 의미하며,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열대야 일수는 5.7일이고,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RCP) 8.
야간온도가 낮을 때 사과의 과실 착색이 촉진되는 이유는? 사과의 과실 비대는 주간온도보다 야간온도에 영향을 더 크게 받으며, 야간온도가 낮을 때 착색이 촉진된다(Reay, 1999). 이는 사과의 주요 색소인 안토시아닌이 저온에서 합성이 촉진되기 때문으로(Ban 등, 2009), 사과와 마찬가지로 안토시아닌을 주요 색소로 갖는 포도에서도 야간의 고온으로 인해 착색이 불량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ori 등, 2005). 또한, 야간 온도에 따른 사과 수체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열대야 조건에서 나타나는 ‘후지’의 생리 반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온도 조건에 따라 사과 과피의 착색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사과 과피의 착색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지만, 빛, 온도 등의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Ubi, 2004). 사과 과피의 착색은 일반적으로 고온조건에서 억제되고, 저온 조건에서 촉진되며(Xie 등, 2012), 여름 평균 온도가 높은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착색이 불량하게 나타난다(Wang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ock, B., M.C. Acock, and D. Pasternak. 1990. Interaction of $CO_2$ enrichment and temperature on carbohydrat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in muskmelon leaves. J. Amer. Soc. Hort. Sci. 115: 525-529. 

  2. Ban, Y., C. Honda, Y. Hatsuyama, M. Igarashi, H. Bessho, and T. Moriguchi. 2007. Isol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a MYB transcription factor gene that is a key regulator for the development of red coloration in apple skin. Plant Cell Physiol. 48: 958-970. 

  3. Ban, Y., S. Kondo, B.E. Ubi, C. Honda, H. Bessho, and T. Moriguchi. 2009. UDP-sugar biosynthetic pathway: contribution to cyanidin 3-galactoside biosynthesis in apple skin. Planta 230: 871-881. 

  4. Bieleski, R.L. 1968. Accumulation and translocation of sorbitol in apple phloem. Aust. J. biol. Sci. 22: 611-620. 

  5. Blankenship, S.M. 1987. Night-temperature effects on rate of apple fruit maturation and fruit quality. Sci. Hort. 33: 205-212. 

  6. Choi, D.G., S.D. Oh, and K.S. Han. 2001. Effects of night temperature on preharvest softening in apples. J. Kor. Soc. Hort. Sci. 42: 717-720 (in Korean). 

  7. Colaric, M., F. Stampar, and M. Hudina. 2007. Content levels of various fruit metabolites in the 'Conference' pear response to branch bending. Sci. Hort. 113: 261-266. 

  8. Ende, W.V. and S.E.E. Esawe. 2014. Sucrose signaling pathways leading to fructan and anthocyanin accumultion: A dual function in abiotic and biotic stress response? Environ. Exp. Bot. 108: 4-13. 

  9. Jaakola, L., A.M. Pirttila, M. Halonen, and A. Hohtola. 2001. Isolation of high quality RNA from bilberry (Vaccinium myrtillus L.) fruit. Mol. Biotech. 19: 199-201. 

  10. Lee, K., H.J. Baek, S. Park, H.S. Kang, and C.H. Cho. 2012. Future projection of changes in extreme temperatures using high resolution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e Republic of Korea. Kor. Geogr. Soc. 47: 208-225 (in Korean). 

  11. Liu, Y., X. Zhang, and Z. Zhao. 2013. Effects of fruit bagging on anthocyanins, sugars, organic acids, and color properties of 'Granny smith' and 'Golden Delicious' during fruit maturation. Eur. Food Res. Technol. 236: 329-339. 

  12. Mori, M., H. Saito, N.G. Yamamoto, M. Kitayama, S. Kobayashi, S. Sugaya, H. Gemma, and K. Hashizume. 2005. Effects of abscisic acid treatment and night temperatures on anthocyanin composition in Pinot noir grapes. Vitis 44: 161-165. 

  13. Park, J.E., Y.H. Kwon, B.H.N. Lee, Y.S Park, M.H. Jung, J.H. Choi, and H.S. Park. 2013.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structure and fruit quality according to fruit developmental stage of Pyrus pyrifolia Nakai cv. Manpungbae. J. Kor. Soc. Hort. Sci. 31: 407-414 (in Korean). 

  14. Park, W.S. and M.S. Suh. 2011.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ropical night occurrence in South Korea for recent 50 years (1958-2007). Atmos. Kor. Meteorol. Soc. 21: 361-371 (in Korean). 

  15. Reay, P.F. 1999. The role of low temperatu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red blush on apple fruit ('Granny smith'). Sci. Hort. 79: 113-119. 

  16. Ro, H.M., P.G. Kim, I.B. Lee, M.S. Yiem, and S.Y. Woo. 2001.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responses of dwarf apple (Malus domestica Borkh. cv. Fuji) saplings after 3 years of exposure to elevat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rees 15: 195-203. 

  17. Shim, S.B., Y.H. Kwon, Y.P. Yoon, and H.S. Park. 2007.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vegetative growth in 'Kyoho' grape by crop load and thinning. Kor. J. Hort. Sci. Technol. 25: 389-393. 

  18. Shin, D.H., M.G. Choi, K. Kim, G. Bang, M, Cho, S.B. Choi, G. Choi, and Y.I. Park. 2013. HY5 regulates anthocyanin biosynthesis by inducing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MYB75/PAP1 transcription factor in Arabidopsis. FEBS Let. 587: 1543-1547. 

  19. Ubi, B.E. 2004. External stimulation of anthocyanin biosynthesis in apple fruit. Food Agri. Environ. 2: 65-70. 

  20. Ubi, B.E., C. Honda, H. Bessho, S. Kondo, M. Wada, S. Kobayashi, and T. Moriguchi. 2006. Expression analysis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in apple skin: Effect of UV-B and temperature. Plant Sci. 170: 571-578. 

  21. Wang, K.L., D. Micheletti, J. Palmer, R. Volz, L. Lozano, R. Espley, R.P. Hellens, D. Changne, D.D. Rowan, M. Troggio, I. Iglesias, and A.C. Allan. 2011. High temperature reduces apple fruit colour via modulation of the anthocyanin regulatory complex. Plant Cell Environ. 34: 1176-1190. 

  22. Xie, X.B., S. Li, R.F. Zhang, J. Zhao, Y.C. Chen, Q. Zhao, Y.X. Yao, C.X. You, X.S. Zhang, and Y.J. Hao. 2012. The bHLH transcription factor MdbHLH3 promotes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fruit colouration in response to low temperature in apples. Plant Cell Environ. 35: 1884-18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