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SG의 반복투여가 어린랫드의 인지능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peated MSG Administration on Cognitive Ability and Anxiety of Juvenile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1, 2015년, pp.120 - 125  

이해님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추강식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신성아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정준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이세근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세운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현선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이송희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임정민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형진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영석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상기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박병권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김병수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정지윤 (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prague-Dawley 계통의 4주령 랫드에서 MSG의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행동실험을 통해 어린랫드의 인지능력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시험군은 MSG 대신 distilled water를 투여한 대조군(Control, n = 4), MSG를 3 g/kg을 투여한 군(Low, n = 4), MSG를 5 g/kg을 투여한 군(High, n = 4)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주5회 경구투여를 하였다. MSG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관찰 및 검사를 하였다. 검사항목으로는 체중의 변화, 임상증상, 행동실험인 T-maze, Elevated-plus-maze와 혈액학적 검사, 혈청생화학적 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관찰한 결과 모든 투여군 및 대조군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과 체중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폐사 및 빈사 동물은 시험 전 기간을 통하여 발견되지 않았다. 행동실험인 T-maze 결과 MSG 고용량 투여군에서 움직이는 횟수가 감소하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Elevated-plus-maze 실험에서는 MSG 고용량 투여군의 Open arm의 출입빈도가 증가하는 등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혈액학적 검사 및 혈청생화학적 검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 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지만 그 수치가 정상범위 안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리조직검사 또한 약간의 염증발생 소견이 나왔지만 정상범위 안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어린랫드를 이용한 MSG의 반복투여 독성시험 결과 특이할만한 신체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용량의 MSG 투여는 어린랫드에서 인지능력의 저하 및 행동의 불안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SG on cognitive function and anxiety by the T-maze and elevated-plus-maze test and repeated oral dose toxicity in SD rat of MSG. The rats were treated with MSG of control group, low group (3 g/kg) and high group (5 g/kg) intragastrically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prague-Dawley 계통의 4주령 랫드에서 MSG의 반복경구투여 독성평가와 행동실험을 통해 어린랫드의 인지능력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시 행하였다. 시험군은 MSG 대신 distilled water를 투여한 대조군(Control, n = 4), MSG를 3 g/kg을 투여한 군(Low, n = 4), MSG를 5 g/kg을 투여한 군(High, n = 4)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주5회 경구투여를 하였다.
  • MSG 투여로 인한 SD rat의 불안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Elevated-plus-maze를 사용하였다. 이 실험은 개방되고 높은 공간에 대한 혐오적 반응을 보이는 동물의 불안 및 공포의 정서를 반영하는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으로 심리적으로 불안할 경우 조용하고 안정된 곳을 찾는 설치류의 특성을 이용하는 실험 방법이다. 실험에 사용된 장비는 흰색의 포맥스로 제작된 높이 50 cm의 십자형(+) 미로로서 각각 두개의 open arm(길이 30 cm, 폭 3 cm)와 closed arm(길이 30 cm, 폭 3 cm, 높이 20 cm) 그리고 중앙에 platform(가로 5 cm, 세로 5 cm)로 구성되어 있다.
  • 현대인들은 서구화된 식생활에 의한 MSG의 과다 섭취에 노출될 가능성이 충분하며 이에 따른 직간접적인 영향에 사람들의 관심이 고조되고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SG의 섭취 용량의 따른 행동실험을 통해 인지능력 및 기억력 미치는 영향과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 MSG를 투여한 어린랫드의 체중, 혈액학적검사,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MSG의 독성유무를 판단하였고 간과 신장에 미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levated-plus-maze를 통하여 MSG가 Rat의 불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무엇인가? 결과적으로 저용량군과 대조군에서는 Open arm에 출입 시 높은 곳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불안감을 느끼는 반면 고용량군에서 대조군과 저용량군에 비해 Open arm에서 불안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량 MSG의 반복적인 투여에 의해 Rat의 불안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Monosodium glutamate란 무엇인가? Monosodium glutamate (MSG)는 glutamic acid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조된 식품첨가물의 대표적인 화학조미료 성분으로서, 1908년 일본의 Ikeda Kikunae에 의해 다시마 추출물에서 발견된 물질로, 맛의 증강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 후 가공식품업체, 외식업체, 일반 음식점및 가정에 이르기까지 맛을 내기 위한 조미료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1). MSG에 대한 유해성과 관련해서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등이 공공기관에서 계속해서 추가실험을 한 결과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양으로 인간에게는 해로운 정도가 경미하며, MSG자체가 중화 요리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증거는 확보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렸다.
MSG에 대한 유해성은? Monosodium glutamate (MSG)는 glutamic acid의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조된 식품첨가물의 대표적인 화학조미료 성분으로서, 1908년 일본의 Ikeda Kikunae에 의해 다시마 추출물에서 발견된 물질로, 맛의 증강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 후 가공식품업체, 외식업체, 일반 음식점및 가정에 이르기까지 맛을 내기 위한 조미료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1). MSG에 대한 유해성과 관련해서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등이 공공기관에서 계속해서 추가실험을 한 결과 일상생활에서 섭취하는 양으로 인간에게는 해로운 정도가 경미하며, MSG자체가 중화 요리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이라는 증거는 확보되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후, MSG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했으며2) 최근까지도 저용량의 MSG는 안전하다고 주장해오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B Kauffman : The monosodium glutamate story:the commercial production of MSG and other amino acids. J. Chem. Educ, 81(3), 347 (2004). 

  2. Walker R and Lupien JR : The safety evaluation of monosodium glutamate. The Journal of nutrition, 130.4, 1049S-1052S (2000). 

  3. Freeman M : Reconsidering the effects of monosodium glutamate: a literature review. J Am Acad Nurse Pract, 18(10), 482-486 (2006). 

  4. Beyreuther K, Biesalski HK, Fernstrom JD, Grimm P, Hammes WP, Heinemann U, Kempski O, Stehle P, Steinhart H, Walker R : Consensus meeting: monosodium glutamate-an update. Eur Jclin Nutr, 61(3), 304-313 (2007). 

  5. Blaycock R : Excitotoxins-the taste that kills, Health Press, p8 (1996). 

  6. Nagata M, Suzuki W, Iizuka S, Tabuchi M, Maruyama H, Takeda S, Aburada M, Miyamoto K : Type 2 diabetes mellitus in obese mouse model induced by monosodium glutamate. Exp Anim, 55(2), 109-115 (2006). 

  7. Vorob'ev VV : Effects of food supplements on the safety and quality of seafoods. Gig Sanit, 1, 51-54 (2007). 

  8. Olney JW : Brain lesions, obesity, and other disturbances in mice treated with monosodium glutamate. Science, 164(3880), 719-721 (1969). 

  9. Olney JW, Sharpe LG : Brain lesions in an infant rhesus monkey treated with monosodium glutamate. Science, 166(3903), 386-388 (1969). 

  10. Trentini GP, Botticelli A, Botticelli CS :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on the endocrine glands and on the reproductive function of the rat. Fertil Steril, 25(6), 478-83 (1974). 

  11. Allen DH, Delohery J, Baker G : Monosodium L-glutamateinduced asthma. Joum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80(4), 530-537 (1987). 

  12. Jacobson LH, Bettler B, Kaupmann K, Cryan JF : Behavioral evaluation of mice deficient in GABAB (1) receptor isoforms in tests of unconditioned anxiety. Psychopharmacology, 190, 541-553 (2007). 

  13. DH Kim, KH Yang : Effects of Monosodium Glutamate on unscheduled DNA synthesis and DNA Single-Strand breaks in primary cultures of rat hepatocytes, Korean Environmental Mutagen Society, 7(2), 65-71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