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박물관 탐방활동에서 나타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관찰 유형 분석
Patterns of Observation Type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Visit Activities of the Science Museu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3, 2015년, pp.57 - 67  

김미모아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학과)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학과) ,  김형범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박물관 탐방학습을 실시하여 관찰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영재 학생 10명을 선정하여 탐방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일어나는 관찰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하여 모든 관찰 내용과 대화를 녹음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응답의 빈도가 높았고 자신의 의견을 배제하고 전시물과 관련하여 질문하고 응답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정의적 측면에서는 권유의 빈도수가 가장 많았다. 관찰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단수의 관찰 대상 전체를 시간 독립적으로 관찰하는 빈도가 높고, 시각을 사용하여 조작을 하지 않고 정성적인 방법으로 관찰하는 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질문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관찰의 빈도와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과학박물관 탐방학습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의 다양한 관찰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학습과 같은 특정 전시관이나 전시물을 학생이 직접 선택하여 집중 탐구할 수 있는 시간이나 학습지를 마련하면 더 효과적인 관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patterns of the observation type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the science museum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Ten science-gifted students were includ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nd during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s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람할 전시물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이건 1분 지날 때마다 공이 떨어지는 건데 우리 저쪽 전시물 보다가 시간마다 여기 와서 보자.
  • 이 연구에서는 일반 학생들보다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관찰 결과를 귀납적으로 분류하여 언어적 상호작용과 관찰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관찰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토콜을 코딩한 후, 각 유형에 따른 빈도를 조사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박물관 탐방활동 중 일어나는 초등 과학 영재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에 따른 관찰의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 이는 영재성 발현을 위한 바람직한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형성시켜 주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에 대한 관심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되는가? 그러므로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에 대한 저변의 확대와 이에 대한 관심을 갖는 학생들이 많아야 한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관심은 흥미와 재미에서부터 시작된다. 1998년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1]은 과학박물관이나 대중 매체, 지역사회의 기관 등 탐방활동을 통한 비정규 과학교육 기관이 학교 과학교육을 한층 더 심화할 뿐만 아니라, 학생과 일반인 모두에게 정의적·인지적·사회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하였다.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21세기는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이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에 대한 저변의 확대와 이에 대한 관심을 갖는 학생들이 많아야 한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관심은 흥미와 재미에서부터 시작된다.
1998년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이 언급한 과학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은? 이러한 과학에 대한 관심은 흥미와 재미에서부터 시작된다. 1998년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1]은 과학박물관이나 대중 매체, 지역사회의 기관 등 탐방활동을 통한 비정규 과학교육 기관이 학교 과학교육을 한층 더 심화할 뿐만 아니라, 학생과 일반인 모두에게 정의적·인지적·사회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육과학기술부[2]는 2011년 개정 고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정기 교과 수업 외에 과학박물관 견학과 같은 여러 가지 탐방활동을 통해 과학 활동에 학생들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An NSTA position statement: Informal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Vol.28, No.1, pp.17-18, 1998. 

  2. 교육과학기술부, 개정 고시 과학과 교육과정 No. 2011-361, 교육과학기술부, 2011. 

  3. A. Y. Kolb and D. A. Kolb,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paces: Enhancing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Vol.4, No.2, pp.192-212, 2005. 

  4. J. H. Falk and L. D. Dierking,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Altamira Press, 2000. 

  5. 안성혜, 윤세진, "어린이를 위한 박물관의 체험학습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1호, pp.19-23, 2007. 

  6. D. W. Johnson, R. T. Johnson, E. J. Holubec, and P. Roy, "Circles of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4. 

  7. L. S. Vygotsky,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8. J. Wellington,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the interactive science centres," Physics Education, Vol.25, No.5, pp.247-252, 1990. 

  9. J. S. Renzulli,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Vol.60, No.3, pp.180-184, 1978. 

  10. G. A. Davis and S. B. Rimm,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Pearson Education, 1985. 

  11. 박경빈, 박가영, "초등 영재아의 학습스타일과 학습자 특성 간의 관계 연구", 영재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571-594, 2010. 

  12. N. M. Lambert and B. L. McCombs, "How students learn: Reforming schools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8. 

  13. M. Adam, "Why worry about theory-dependence? Circularity, minimal empiricality and reliability,"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Vol.18, No.2-3, pp.117-132, 2004. 

  14.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박윤복, "생명현상에 대한 초, 중등 과학교사의 관찰에서 나타난 과학적 관찰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5권, 제3호, pp.431-439, 2005. 

  15. L. Ramey-Gassert and H. J. Walberg, "Reexamining connections: Museums as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Science Education, Vol.78, No.4, pp.345-363, 1994. 

  16. B. K. Smith and B. J. Reiser, "Explaining behavior through observational investigation and theory articula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Vol.14, No.3, pp.315-360, 2005. 

  17. P. C. Wason and P. N. Johnson-Laird, Psychology of reasoning: Structure and cont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2. 

  18. 문병찬, 이경학, 김해경, "지층에 대한 탐구 활동에서 초등영재 학생들의 관찰 및 추리 특성", 초등과학교육, 제28권, 제4호, pp.476-486, 2009. 

  19. 송명성,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관찰 유형에 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임재근, "탐구과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초등과학 영재의 관찰방법과 의문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제34권, 제1호, pp.105-112, 2010. 

  21. 이난영, 박물관학 입문, 삼화출판사, 2006. 

  22.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이상권, 강성주, 최병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2권, 제3호, pp.660-670, 2002. 

  23.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8. 

  24. J. Cohen,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20, No.1, pp.37-46, 1960. 

  25. J. R. Landis and G. G. Koch,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Vol.33, No.1, pp.159-174, 1977. 

  26. 강순민,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