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명칭과 역할에 대한 사회적 담론 분석 - 파주출판도시 '지혜의숲'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
Social Discourse Analysis on Title and Role of Library: Focusing on Controversy over 'The Forest of Wisdom', Paju Bookcit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1, 2015년, pp.171 - 198  

조수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국립중앙도서관 국제교류홍보팀) ,  박성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국회도서관 국회기록보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담론분석을 통해 '지혜의숲'에 대한 '도서관' 명칭 논란을 중심으로 언론 및 소셜 미디어, 인터뷰, 관계자의 일기책 등에 나타난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분석하였다. 하나의 사회적 '담론적 사건'으로 등장하게 한 언론보도, 그리고 그를 둘러싼 소셜 미디어, 도서관계와 출판계 인사들의 담론에 대한 인터뷰를 텍스트 분석, 담론적 실천, 사회적 담론 등 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지혜의숲이 오히려 전통적인 도서관에 대한 담론과 변화를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을 재접합 되는 결과를 낳아 '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다시 이끌어냈고, 도서관과 출판이 다시 본연의 가치를 추구해야 할 자율적 담론을 위한 길을 촉발시킨 계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social discourse analysis and analyzed social discourse on library reflected in media, social media, interview and diary of persons concerned, particularly focusing on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Forest of Wisdom' should be called a 'library'. The study analyzed a three-dimensiona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도서관 법』 제2조 1항에서 정의한 도서관서비스란? 도서관은 이용자들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존재의 의의가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도서관을 “도서 및 기타 자료를 수집․정리․보존하여 독자에게 독서․ 조사․연구․참고․취미 등에 이바지 할 목적으로 조직 운영되는 기관”으로, 우리나라 『도서관법』1) 제2조 1항에서는 도서관서비스를 “도서관이 자료와 시설을 활용하여 국민에게 지원하거나 지원하는 대출․열람․참고서비스, 각종 시설과 정보기기의 이용서비스, 자료 입수 및 정보해독력 강화를 위한 이용자교육, 국민 독서활동 지원 등 일체의 유․무형 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도서관이 제공되는 서비스가 이용자에게 이용되어야 그 존재 의미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기원전 3세기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어떤 장소였는가? 3세기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수행했던 업무도 오늘날의 도서관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곳에 그치지 않고 많은 지식인과 학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지적 제공처였고, 학술적 담론의 장(venue)이었다. 이를 위해 세계 전역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조직하고, 제공하였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에서 정의하는 도서관이란? 도서관은 이용자들을 위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존재의 의의가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도서관을 “도서 및 기타 자료를 수집․정리․보존하여 독자에게 독서․ 조사․연구․참고․취미 등에 이바지 할 목적으로 조직 운영되는 기관”으로, 우리나라 『도서관법』1) 제2조 1항에서는 도서관서비스를 “도서관이 자료와 시설을 활용하여 국민에게 지원하거나 지원하는 대출․열람․참고서비스, 각종 시설과 정보기기의 이용서비스, 자료 입수 및 정보해독력 강화를 위한 이용자교육, 국민 독서활동 지원 등 일체의 유․무형 서비스”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도서관이 제공되는 서비스가 이용자에게 이용되어야 그 존재 의미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은영. 2013. 공공도서관의 자료구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153-182.(Kang, Eun-yeong. 2013. "A Study on the Book Purchas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3): 153-182.) 

  2. 곽동철. 2008. 사서자격제도의 변화 추이 및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339-361.(Kwack, Dong-chul. 2008. "Certification in Korea: History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339-361.) 

  3. 곽동철. 2013. 대학도서관장에게 바란다. 제15차 도서관장 회의. 2013년 4월 18-19일. 제주: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Kwack, Dong-chul. 2013. Expectations to Directors of University Libraries. 15th Conference of Directors of National Libraries. April 18-19. 2013. Jeju: Korean Privat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4. 김소희. 2007.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사람을 만듭니다.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서울: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Kim, So-hee. 2007. A Small Library in Our Town Makes People, A Small Library in Our Town. Seoul: Korean Children's Library Association.) 

  5. 김언호. 2014. 책들의 숲이여 음향이여. 경기 파주: (주)도서출판 한길사.(Kim, Eon-ho. 2014. Forest of Book. Gyeonggi Paju: Publishing Co. Hangilsa.) 

  6. 김영심. 2000. 도서관 명칭변경에 대한 일고찰.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Kim, Young-shim. 2000.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Names of Libraries."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 of Hanyang.) 

  7.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Kim, Young-cheon.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Academy Press.) 

  8. 김유승. 2014.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381-410.(Kim, You-seung. 2014.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384-388.) 

  9. 김재환. 2013.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책여론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구제역 관련 트위터 리트윗(RT)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Kim, Jae-hwan. 2013. A Study on Policy Opinion Information Process by the Social Media: Focused on the Twitter Retweet Related on the "Foot and Mouse Diseas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 Communication of Seoul.) 

  10. 김정근, 김영기. 2000. 한국 언론학의 탈식민성 담론에 관한 서지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1): 63-86.(Kim, Jung-geun and Young-ki Kim. 2000. "A Bibliographic Study on Postcolonial Discourse of Korea Journalism."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1(1): 63-86.) 

  11. 남태우. 2002. 알렉산드리아 대 도서관 성립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259-296.(Nam, Tae-woo. 2002. "A Study on the Foundation of the Great Library of Alexandria."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formation, 36(1): 259-296.) 

  12. 미셸 푸코 지음, 이정우 해설. 2011. 담론의 질서. 서울: 도서출판 새길.(Foucault, Translator: Lee, Jung-woo. 2011. The Order of Discourse. Seoul: Saegil Publishing.) 

  13. 박명진. 2012. 두꺼운 언어와 얇은 언어. 서울: 문학과 지성사.(Park, Myung-jin. 2012. Thick Language and Thin Language. Seoul: Moonji Publishing.) 

  14. 서덕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교육인류학연구, 6(2): 55-89.(Seo, Deok-hui. 2003.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Classroom Collapse' reports: Focusing on the Chosun Ilbo's." Anthropology of Education, 6(2): 55-89.) 

  15. 신동일. 2012. 토플대란에 관한 신문기사 분석 - 비판적 담론분석을 기반으로. Foreign Language Education, 19(1): 187-194.(Shin, Dong-il. 2012. "An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 on TOFLE Craze - Focusing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eign Language Education, 19(1): 187-194.) 

  16. 윤희윤. 1999. 한국 공공도서관의 진로-명칭변경 음모를 중심으로. 1999년도 동계 학술발표회. 1999년 1월.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4-28.(Yoon, Hee-yoon. 1999. "Future Direction of Korean Public Libraries - Focusing on Changing the Titl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4-28.) 

  17. 윤희윤. 2009.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의 정론과 역설.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5-22.(Yoon, Hee-yoon. 2009. "Agenda and Paradox of Collection Development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5-22.) 

  18. 이종문. 2003.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75-98.(Lee, Jong-moon. 2003. "Analysis on Identity and Operation of Toy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3): 75-98.) 

  19. 이진우, 박일우, 김종환. 1996. 담론이란 무엇인가? - 담론개념에 관한 학제간 연구 -. 대한철학회논문집, 철학연구, 56: 257-290.(Lee, Jin-woo, Il-woo Park, and Jong-hwan Kim. 1996. "What is Discourse? - Analysis as a New Cross-Discipline." Korea Philosophy Committee collection of dissertations, 'Study on Philosophy', 56: 257-290.) 

  20. 임태섭. 1993. 텔레비전 뉴스의 공정성에 대한 담론분석. 언론과 사회, 창간호: 67-109.(Im, Tae-sub. 1993. "Discourse Analysis on Fairness of Television News." Media and Society, 1st issue: 67-109.) 

  21. 장덕현. 2000.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담론분석의 응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2): 269-288.(Chang, Durk-hyun. 2000. "Discourse 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2): 269-288.) 

  22. 장덕현, 강은영. 2011. 공공도서관 자료구입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270-288.(Chang, Durk-hyun and Eun-young Kang. 2011. "A Study on the Laws and Regulations Affecting the Public Library Acquisitio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270-288.) 

  23. 장우권. 2002. 공공도서관 지식경영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4): 209-240.(Chang, Woo-kwon. 2002. "A Study on the Knowledge Management Model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3(4): 209-240.) 

  24. 정동열, 조찬식. 2010. 문헌정보학총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Jeong, Dong-youl and Chan-sik Cho. 2010. Introduc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25. 정미정, 백선기. 2011. 한국신문의 영화에 관한 보도담론의 특징과 의미: 산업담론과 문화담론의 대립적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3): 28-53.(Jung, Mi-jeong and Sun-ki Baek. 2011. "Media Discourses on Korean Films in Korean Newspapers, and their Specific Perspectives and Meaning: A Discourse Analysis on Conflicts, between Industry Discourse and Culture Discourse." Journal of the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3): 28-53.) 

  26. 정현태, 조미아, 이진우, 박영애. 2010.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Joung, Hyun-tae, Mi-ah Cho, Jin-woo Lee, and Young-ae Park. 2010. A Study on Activation Plan for Private Small Library.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7. 최윤선. 2014. 비판적담화분석. 서울: 한국문화사.(Choi, Yoon-sun. 2014.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 Seoul: Korea Munhwa Publishing.) 

  28. 경향신문. 2014. 우리가 일하고 있는 도서관은 그럼 가짜인가. 7월 1일.(Is the Library We Work at Fake?. 2014. Kyunghyang Shinmun, July, 1.) 

  29. 도서관계.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3월.(Understanding of Small Library. 2006. The Library Community, March.) 

  30. 서울경제. 2014. 책 읽는 대한민국 실천하려면. 7월 2일.(To Achieve Korea Where the Public Reads. 2014. Seoul Economy, July, 2.) 

  31. 아시아경제. 2014. 박원경 사서협회장, 도서관 행정 난맥, 사서의 힘 모아 혁신하겠다. 4월 18일.(Chairman of Association of Librarians Park, Won-kyung, Librarians Pull Their Wisdom to Innovate the Chaos of Library Administration. 2014. The Asia Economy Daily, April 18.) 

  32. 한겨레. 2014. 번지수 틀린 '지혜의 숲' 논란. 7월 16일.(Controversy over Wrong 'Forest of Wisdom'. 2014. The Hankyoreh, July, 16.) 

  33. 한겨레. 2014. 권독사와 이용자들 어울리는 정보.담소공간 되길. 7월 30일.(Hoping a Place Where Book Recommenders and Users can Enjoy and Share Information. 2014. The Hankyoreh, July, 30.) 

  34. 한국일보. 2014. 숲과 늪. 7월 12일.(Forest and Swamp. 2014. Hankook Ilbo, July, 12.) 

  35.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4.10.3]. .(Korea Law. 2014. [online]. [cited 2014.10.3]. .) 

  3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online]. [cited 2014.10.10]. .(President's Committee on and Policy [online]. [cited 2014.10.10]. .) 

  37. 문화셈터 [online]. [cited 2014.10.10]. .(Culture Saemter e-book [online]. [cited 2014.10.3]. .) 

  38. 투명사회를위한정보공개센터 [online]. [cited 2014.10.20]. .(The Center for Freedom of Information and Transparent Society [online]. [cited 2014.10.20]. .) 

  39. 파주출판도시 [online]. [cited 2014.10.10]. .(Paju Bookcity [online]. [cited 2014.10.10]. .) 

  40. 출판문화산업진흥원 [online]. [cited 2014.10.11]. .(Public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of Korea [online]. [cited 2014.10.11]. .) 

  41. SBS. 2014. '지혜의 숲'을 걷다 ${\cdots}$ 책 권하는 진짜 도서관. 6월 20일. [online]. [cited 2015.3.8]. .(Walking on the 'Wisdom of Forest', A Genuine Library that Recommends a Book. Seoul Broadcasting Service. 20 June 2014. [online]. [cited 2015.3.8]. .) 

  42. A. McHoul. Discourse. in Encyclopedis of Language and Linguistics, Vol. 2, eds, R. E. Asher. (Oxford: Pergamon Press, 1994). 

  43. Fairclough. 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1995). Longm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