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변천
The Historical Chang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Japanese Schoo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4, 2015년, pp.201 - 219  

김소영 (이화사회과학원 비상임)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학교도서관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밝히고, 역사적 변천을 통해 형성된 최근 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연구, 전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간행물, 학습지도요령 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은 1940년대 후반 이후 도서관 이용지도의 도입기, 1950년대 후반 이후 지도방법의 모색기, 1980년대 이후 정보리터러시교육의 확립기, 2000년대 이후 탐구학습으로의 확대기를 거쳐 발전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Japanese school libraries and in-depth research into recent educational situations. Related literature researches, the publication of School Library Association, The Courses of Study have been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학교교육 및 어린이 독서활동에 관한 동향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하게 요청하고 있다. 다음에서는 학교도서관이 이러한 기대를 소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요건을 갖추고 있는지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본 학교도서관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시대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밝히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활용교육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써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과 관련 단체의 활동을 검토하고 변화 내용을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일본 학교도서관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어떠한 역사적 변천 과정을 거쳐 발전되었는지 알아보고, 특징에 따른 시기 구분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 견해를 수용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정보 교육을 독립된 전문 영역으로 파악하고, 유사 개념 중에서 한국 학교도서관 관련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보활용교육’이라고 통칭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본 학교도서관 대표 단체가 발간한 『학교도서관 50년사』와 『학습지도요령』에 제시된 학교도서관 역할 변화가 거의 동일하므로 두 연구에서 공통된 시기 구분을 바탕으로 각 시기의 전개내용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이용교육이 정보활용교육으로 변천한 과정을 상세히 밝히고, 2000년대 초반 이후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여 선행연구의 결과를 보완하였다.
  • 일본 학교도서관을 둘러싼 법제도와 정책에 대해서는 권은경(2004)과 이원숙(2011)의 연구에서 상세한 조사가 이루어진바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 현황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사항과 위 연구에 포괄하지 못한 내용 및 최근 일어난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연구의 절대적 축적이 부족한 가운데 대부분의 연구는 법제도의 표면적인 현황 조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일본 학교도서관 현장의 진취적인 실천을 포함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일본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것은? 현재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12, ⅳ). 2016년도부터 대한민국의 모든 중학교에 도입되는 자유학기제는 개정교육과정의 특징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학기제란? 자유학기제란 한 학기 동안 중간, 기말고사등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토론과 실습 등 직접 참여하는 수업을 받고 꿈과 끼를 찾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실시하는 제도이다.
일본 학교도서관 및 어린이 독서활동에 관한 정책이 1990년대 어떻게 변화되었나? 학교도서관 및 어린이 독서활동에 관한 정책 적인 관심과 대응은 1990년대에 들어 눈에 띄는 변화가 일어났다. 1993년에 ‘학교도서관 도서 표준’이 설정되었고, 표준의 달성을 위해 같은 해 ‘학교도서관 도서 정비 신 5개년 계획’이 책정되었으며 매년 100억 엔을 넘는 비용이 지방교부세로 조치되었다. 이후 문부과학성은 학교도서관 관련 사업을 계속해서 시행하고 있고, 1997년에는 학교도서관법이 개정되어 2003년도에부터 12학급 이상의 학교에는 사서교사1) 를 반드시 발령하도록 하였다. 1993년에는 ‘어린이와 책을 위한 의원 연맹’이 발족하였다. 그 후 2000년이 ‘어린이 독서의해’가 되어 다음해에는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2002년에는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이 결정되 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31호 [별책1]).(Ministry of Education, Korea. 2012. General Guideline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Curriculum.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 권은경. 2004.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제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95-118.(Kwon, Eun-Kyung. 2004. "The Amend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y Law and The SchoolLibrarianship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38(2): 95-118.) 

  3. 권은경. 2014. 학교도서관 활용교육의 현상에 대한 분석 연구 - 연구학교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4): 139-164.(Kwon, Eun-Kyung.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Through an Analysis of Research Reports of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5(4): 139-164.) 

  4. 김은정, 송기호. 2015. 창의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5-23.(Kim, Eun-jung and Gi-Ho Song. 2015. "The effects of Creative Writing Program on Elementary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2): 5-23.) 

  5. 노진영, 변우열, 이병기. 2009.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에 의한 탐구수업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71-492.(Ro, Jin-Young, Woo-Yeoul Byun, and Byeong-Ki Lee. 2009. "A Study on the Design of InquiryInstruction Model b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Journal of Korean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0(1): 471-492.) 

  6. 박주현, 이명규. 2014.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299-328.(Park, Ju-Hyeon and Myoung-Gyu Lee. 2014. "Political Isuue and Problem of School Library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48(1): 299-328.) 

  7. 백화현. 2015. 자유학기제와 학교도서관. 나비, 2015년 10월 26일. 

  8. 송기호. 2011.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9-50.(Song, Gi-Ho. 2011. "Alternative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formation Literacy as CrossCurricula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ociety, 42(2): 29-50.) 

  9. 이병기. 2007.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443-462.(Lee, Beyeong-Ki. 2007.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LibraryAssisted Instruction Conside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Libraryand Information Society, 38(1): 443-462.) 

  10. 이원숙. 2011. 일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거시적 환경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111-136.(Lee, Won-Sook. 2011. "A Study for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Journal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2(4): 111-136.) 

  11. 이제환. 2011. 한국 도서관계의 이용자교육: 현황과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3-27.(Lee, Jae-Whoan. 2011. "User Education in Korean Librarie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ociety, 42(1): 3-27.) 

  12. 정진수. 2014.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1): 153-171.(Chung, Jin Soo. 2014. "A Study on the Levels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by Korean Teacher-Libraria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25(1): 153-171.) 

  13. 工藤 文三. 2002. 調べ學習. 現代學校敎育大事典 第4卷, 安彦忠彦 編. pp. 140-141. 東京:ぎょうせい. 

  14. 國立敎育政策硏究所 編. 2002. 生きるための知識と技能: OECD生徒の學習到達度調査(PISA) 2000年調査國際結果報告書. 東京: ぎょうせい. 

  15. 堀川 照代. 2012. 學校圖書館を活用した敎育/學習の意義. 明治大學圖書館情報學硏究會紀要, (3): 2-11. 

  16. 堀川 照代. 2014. 學校圖書館と敎育課程の展開. 兒童サ?ビス論, 堀川 照代 編. pp. 229-232.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17. 堀川 照代, 中村 百合子. 2003. インタ?ネット時代の學校圖書館. 東京: 東京電機大學出版局. 

  18. 金澤 みどり. 2007. PISA型讀解力と情報活用能力の育成. 學校圖書館, (680): 15-17. 

  19. 圖書館用語辭典編集委員會 編. 2004. 最新圖書館用語大辭典. 東京: 柏書房. 

  20. 渡邊 重夫. 2003. 司書敎諭のための學校經營と學校圖書館. 東京: 學文社. 

  21. 文部科學省. 2008. 小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 總合的な學習の時間編. 東京: 東洋館出版. 

  22. 文部科學省國立敎育政策硏究所. 2009. 平成21年度全國學力.學習狀況調査 [小學校] 報告書. 東京: 文部科學省國立敎育政策硏究所. 

  23. 文部科學省兒童生徒課. 2015. 平成26年度 學校圖書館の現狀に關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東京: 文部科學省. 

  24. 尾原 淳夫. 1968. 敎育課程の改定と學校圖書館の志向. 圖書館界, 20(1): 23-26. 

  25. 米谷 優子. 2011. 日本における讀書敎育と讀書推進策: 情報リテラシ?敎育との關連から. 園田學園女子大學論文集, (45): 19-39. 

  26. 北嶋 武彦. 2004. 第二部分野.事項にみる學校圖書館の五O年 學校圖書館の行政. 學校圖書館五O年史,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學校圖書館五O年史編集委員會 編. pp. 201-211. 東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27. 山崎 哲男. 2004. 第二部分野.事項にみる學校圖書館の五O年史學校圖書館の利用指導. 學校圖書館五O年史,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學校圖書館五十年史編集委員會 編. pp. 162-173. 東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28. 山本 德夫. 1980. 現代敎育と學校圖書館: 敎育課程における學校圖書館の認識. 圖書館學 [西日本圖書館學會], (37): 8-13. 

  29. 三輪 眞木子, 河西 由美子. 2013. 情報利用者と利用行動. 圖書館情報學基礎, 根本 彰 編. pp. 95-151.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30. 野口 久美子. 2009. 情報リテラシ?育成における讀書指導の位置づけ: 兩者の關連性に關する一考察. 圖書館綜合硏究, (8): 21-32. 

  31. 野末 俊比古. 2003. 圖書館利用敎育とは何か. 圖書館利用敎育ハンドブック: 大學圖書館版, 日本圖書館協會圖書館利用敎育委員會 編. pp. 10-13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32. 野末 俊比古. 2010. 圖書館サ?ビス 利用敎育. 圖書館ハンドブック, 第6版補訂版, 日本圖書館協會圖書館ハンドブック編集委員會 編. pp. 92-97.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33. 日本圖書館協會圖書館利用敎育委員會 編. 2001. 圖書館利用敎育ガイドライン合冊版: 圖書館における情報リテラシ?支援サ?ビスのために.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34.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編. 2008. 情報を學習につなぐ:情報.メディアを活用する學び方の指導?系表解說. 東京: 全國學校圖書館協議會. 

  35. 中村 百合子. 2009. 占領下日本の學校圖書館改革: アメリカの學校圖書館の受容. 東京: 慶應義塾大學出版社. 

  36. 中村 百合子. 2013. 學校における情報資源經營. 情報資源の社會制度と經營, 根本 彰編. pp. 192-214.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37. ?川 雅子. 2004. 第3章學校敎育と學校圖書館の機能. 敎育改革の中の學校圖書館: 生きる力.情報化.開かれた學校, 坂田 仰 編. p. 33-47. 東京: 八千代出版. 

  38. 興侶 照. 1969. 新學習指導要領における利用指導. 學校圖書館, (228): 36-38. 

  39. Alberta. Alberta Learning. Learning and Teaching Resources Branch. 2004. Focus on Inquiry: A Teacher's Guide to Implementing Inquiry-Based Learning. Edmonton, AB, Canada: Alberta Learning. 

  40. Callison, Daniel. 2009. "Instructional Trends from AASL Journals: 1972-2007--Part 1: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25(8): 22-26. 

  41. Craver, Kathleen. 1986. "The Changing Instructional Role of the High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1950-84: A Survey of Professional Literature, Standards, and Research Studie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14(4). 

  42. Kim, So-Young. 2011. "School Libraries as Old but New Support for Education in Japan: A Review of Japan's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Libri, 61(2): 143-153. 

  43. Kuhlthau, Carol C., Leslie K. Maniotes and Ann K. Caspari. 2007. Guided Inquiry: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