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2, 2015년, pp.203 - 211  

안민권 (대자인병원) ,  이명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김현경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석희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May, 2013 and a total of 150 male hospital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주요 조직성과 변인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대해 조사하고 관련 특성을 확인하였다.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근무 지역이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거나 대상자 수가 적거나 혹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조직성과 변인 중 하나 혹은 두 개의 변인을 다루고 있었다[9-12,19].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증대 및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인력 관리 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조직몰입과 이직의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증대 및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 임상현장에서의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자간호사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은? 여성의 직업으로 여겨지던 간호직이 근래에 들어서 남성들도 진출할 수 있는 전문직으로 인식이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청년 실업률 증가, 다양해진 의료서비스 영역에 대한 고용확대와 높은 취업률로 간호학과에 지원하는 남학생 수의 증가와 더불어 간호직에 진출하는 남자간호사의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2014년도 현재 국내의 남자간호사 수는 총 7,443명으로 2004년 829명에 비해 약 9배 증가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 사이에 면허를 취득한 남자간호사 수는 4,056명으로 전체 남자간호사의 54%에 해당하는 인력이다[1].
남자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저하시키는 것은? 일부 환자들은 남자간호사의 간호를 거부하였고, 일부 의사들은 남자간호사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부 여자간호사들은 간호를 여성만의 영역으로 간주하여 남자간호사를 차별 하였다[2]. 또한 남자간호사는 여자간호사와의 관계 형성과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느꼈고[3], 이러한 문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저하 시킬 수 있다.
간호사의 이직이 재정적 손실을 초래하는 이유는? 간호사의 이직은 재직 간호사의 업무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간호 업무의 연속성과 전문성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신규 간호사를 채용하기 위해 소요되는 많은 비용은 병원에 재정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한다[6]. 대만의 남자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남자간호사의 이직률은 근무 시작 후 1년 이내에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n Nurses Association. Current Status of male nurse emissions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cited 2014 May 8]. Available from: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3&articleKey1347 

  2. Fisher MJ. Being a chameleon: Labour processes of male nurses performing body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 65(12):2668-2677. 

  3. Poliafico JK. Nursing's gender gap. RN. 1998;61(10):39-42. 

  4. Lim JY, Park ES, Park YJ.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in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2):185-193. 

  5. Kang KH, Park SA.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for appraisal of perioperative nurses and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89-19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89 

  6. Peltier J, Nill A, Schibrowsky JA. Internal marketing, nurse loyalty and relationship marketing: An exploratory study of German nurses. Health Marketing Quarterly. 2003;20(4):63-82. http://dx.doi.org/10.1300/J026v20n04_05 

  7. Chen SH, Fu CM, Li RH, Lou JH, Yu HY.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rofessional empowerment, and nursing career development of male nurs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2;34(7):862-882. http://dx.doi.org/10.1177/0193945910384603 

  8. Lou JH, Yu HY, Hsu HY, Dai HD. A study of role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quit among male nurses in Southern Taiw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7; 15(1):43-53. http://dx.doi.org/10.1097/01.JNR.0000387598.40156.d2 

  9. An ES, Chu SK.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1):14-21.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1.14 

  10. Lee KJ.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3. 

  11. Lee SY.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turnover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4. 

  12. Lee SS. The effects of male nurses of hospital organization culture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0. 

  13. McCloskey JC, McCain BE. Satisfaction,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of newly employed nurses.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7;19(1):20-24. http://dx.doi.org/10.1111/j.1547-5069.1987.tb00581.x 

  14. Taylor JC, Bowers DG. The survey of organizations: Toward a machine-scored standardized questionnaire instrument. Ann Arbor, Mich.: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Center for Research on Utiliz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1970. 

  15. Lee M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8;4(2):363-385. 

  16.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4-2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17. Lawler E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Hackman JR, Lawler EE, editors. Perspectives on behavior in organizations. New York: McGraw-Hill; 1983:78-97. 

  18. Park H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ursing care role orientation, job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among nurs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19. Choi JH. Related factors the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12. 

  20. Oh EH, Chung BY.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391-401.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391 

  21. Boughn S. Why women and men choose nursing. Nursing & Health Care Perspectives. 2001;22(1):14-19. http://dx.doi.org/10.1043/1094-2831.2001.022 

  22. Kang KH, Han YH, Kang SJ.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1):13-22.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1.13 

  23. Lee MA. Effect of nurses' perception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434-443. 

  24. Park GJ, Kim YN.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250-258. 

  25. Yoon GS, Kim SY.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507-516. 

  26. Kim JK, Kim MJ. A review of research on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538-550. 

  27. Oh IS, Kim KH, Hwang JO, Yoo TY, Park YA, Park LH.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ith Korean samples.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2007;15(4):43-86. 

  28.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 41(5):633-6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