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 컴퓨팅 사고 및 블룸의 텍사노미 활용 평가
The Effects of Scratch Programming on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Utiliz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Bloom's Taxonomy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19 no.2, 2015년, pp.225 - 232  

최형신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김기범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컴퓨팅 사고력블룸의 텍사노미를 활용한 인지적 평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고 예비교사의 객관적인 프로그래밍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인지적 평가 문항을 블룸의 텍사노미를 기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수행, 관점에 초점을 둔 설문을 실시하는 한편 팀프로젝트를 가지고 산출물 기반 인터뷰(Artifact-based Interview)를 실시하고 팀프로그래밍 경험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한 예비교사의 컴퓨팅 사고를 양적 및 질적으로 보다 포괄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블룸의 텍사노미 체계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예비교사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에 대한 평가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Scratch programming classes on preservice teachers by us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gnitive evaluations based on Bloom's taxonomy. To pursue this research goal we measured preservice teachers' programming skills using cognitive evaluation item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객관적인 형태의 평가인 지필 시험지를 블룸의 텍사노미 체제를 활용하여 유목화한 뒤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학생들의 팀프로젝트 프로그래밍 과정 경험을 정성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법론적으로 산출물 기반 인터뷰(Artifact-based Interview)를 수행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예비교사 소프트웨어 교육의 방향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CT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CT 개념, CT 수행, CT 관점 측면을 포괄하는 설문을 구성하고 실시하였다. 또한 객관적인 형태의 평가인 지필 시험지를 블룸의 텍사노미 체제를 활용하여 유목화한 뒤 학생들의 역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학생들의 팀프로젝트 프로그래밍 과정 경험을 정성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코딩 수업을 한 학기 동안 진행하고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CT: Computational Thinking)[10][11]과 프로그래밍 능력을 확인해 보았다. CT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CT 개념, CT 수행, CT 관점 측면을 포괄하는 설문을 구성하고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B. (Fig. 1b)의 두 스크립트는 동일한가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지과정 차원에서 이해하기란? 기억하기(Remembering)는 장기기억에서 관련된 정보를 인출하는 것을 뜻한다. 이해하기(Understanding)는 말이나 글, 그래픽 등을 통해 전달된 교육 메시지로부터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적용하기(Applying)는 특정 상황에서 절차를 실행하거나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불룸의 분류체계를 이용했을 때 장점은? 불룸의 분류체계를 이용하면, 다양한 관점에서 교육 목표 및 학습의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그 목표와 학습을 평가하는 방법 사이의 일관성을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적 차원 네 가지 유형은? 지적 차원은 지식의 일반 유형을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사실적 지식(Factual Knowledge)은 별개의 분리된 내용 요소인 “정보단위”에 대한 지식이다. 개념적 지식(Conceptual Knowledge)은 다소 복잡하고 조직화된 지식 형식을 말한다.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은 어떤 것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다. 그리고 메타인지 지식(Meta-cognitive Knowledge)은 지식의 인지에 대한 인식 및 지식과 인지 전반에 대한 지식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derson, L. W., Krathwohl, D. R., Airasian, P. W., Cruikshank, K. A., Mayer, R. E., Pintrich, P. R., Raths, J., & Wittrock, M. C. (2005).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ment: A Revision of Blooms' s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Pearson Education Korea Ltd, and Academy Press Publishing Co. 

  2. Bloom, B. S., Engelhart, M. D., Furst, E. J., Hill, W. H., & Krathwohl, D. R.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I: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Company. 

  3.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edings of the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meeting, Vancouver, BC, Canada. 

  4. Choi, H. (2014). Developing Lessons and Rubrics to Promote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1), 57-64. 

  5. Choi, H. (2014). Computational Thinking Framework-based Analysis of Afterschool Scratch Team Project Experien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8(4), 549-558. 

  6. Ettimes (2015.5.17). Cornerstone for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software education. 

  7. Kim, S., & Han, S. (2012). Design-Based Learn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3), 319-326. 

  8. Lee, E. (2013). Creative Programming Learning with Scratch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1), 1-9. 

  9. Song, J., Cho, S., & Lee, T. (2008). The Effect of Learning Scratch Programming on Students'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2(3), 323-332. 

  10.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19(3), 33-35. 

  11. Wing, J. M. (2011). Computational thinking-What and Why?. CMU Research Notebook. Retrieved from http://link.cs.cmu.edu/article.php?a600 

  12. Yonhap News (2014.7.22). Mandatory SW education starting from the first-yea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next year. 

  13. Zur-Bargury, I., Parv, B., & Lanzberg, D. (2013). A National Exam as a Tool for Improving a New Curriculum. Proceedings of ITiCSE Conference, 267-2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