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Adults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5 no.6, 2015년, pp.775 - 785  

최은실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정수라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 ,  조한아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인문사회치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 4,83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차분석 결과 구강위생용품의 사용(하루 칫솔질 빈도, 치실 사용 여부, 치간칫솔 사용 여부, 구강양치용액 사용 여부)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치과의료 이용, 치과검진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변수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 교육수준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용품에서 모두 공통되지는 않았지만 구강건강상태와 치과의료 이용, 최근 1년간 치과검진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치과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는 구강위생용품을 세분화하여 각 영향 요인을 인식하고 개인의 특성 및 구강상태를 반영한 구강보건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민구강보건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dental hygiene care products in adults. The study us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ged 19 years over (n=4,839). Dependent variable was frequency of t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강위생용품 중 하루 칫솔질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자에 비해 남자는 0.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국가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과위생사를 통해 환자의 적절한 구강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장려할 수 있는 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일상생활에서 치면세균막 감소를 통해 구강질환의 원인요소인 환경요인을 제거하여 구강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살펴보기 위해서 성인의 구강위생용품의 사용22)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보다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일 수 있다.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사용현황을 파악하고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구강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 4,83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차후에 이루어지는 대규모 역학 연구에서 치주상태뿐만 아니라 구강위생지수를 사용하여 구강위생 척도 측정을 통한 진행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구강위생용품을 세분화하여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우선적으로 치과의료기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전문가를 통한 환자의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국가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과위생사를 통해 환자의 적절한 구강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장려할 수 있는 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37배 치실을 더 사용할 경향을 나타냈다. 치간칫솔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자보다 남자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특징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대표적인 구강질병으로 한 번 발생된 후 지속적인 악화과정을 겪는 전형적인 만성질환이다1). 효과적인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발생요인인 치면 세균막의 제거가 필요하며 이 때 필요한 방법으로 칫솔질이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다1-4).
올바른 칫솔질 습관은 왜 중요한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대표적인 구강질병으로 한 번 발생된 후 지속적인 악화과정을 겪는 전형적인 만성질환이다1). 효과적인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발생요인인 치면 세균막의 제거가 필요하며 이 때 필요한 방법으로 칫솔질이 중요하게 언급되고 있다1-4). 올바른 칫솔질 습관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함께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건강증진행동으로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년)5)에서 지향하고 있는 부분 중 하나이다. 이에 따르면 국민의 10% 가량은 하루에 두 번 미만의 칫솔질을 하고 있으며 90% 가량은 치실 또는 치간칫솔 등의 구강위생용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따르면 국민의 치아 관리 현황은 어떠한가? 올바른 칫솔질 습관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함께 관리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건강증진행동으로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년)5)에서 지향하고 있는 부분 중 하나이다. 이에 따르면 국민의 10% 가량은 하루에 두 번 미만의 칫솔질을 하고 있으며 90% 가량은 치실 또는 치간칫솔 등의 구강위생용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3년 국민건강통계6)에서는 19세 이상 국민의 일일 평균 칫솔질 횟수는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m SM: A study on the practice application of oral hygiene auxiliary supplies and oral health status of patients in ‘S' university dental clinic. J Korean Soc Dent Hyg 11: 373-381, 2011. 

  2. Park CS, Kim YI, Jang SH: A study on the status of recognition,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in dental clinics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9: 685-698, 2009. 

  3. Seo EJ, Shin SC, Seo HS, Kim EJ, Chang YS: A survey on Koreans' behavior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J Korean Acad Dent Health 27: 177-193, 2003. 

  4. Jung GO: A survey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 and awareness some of the middle age people. J Korean Soc Dent Hyg 9: 580-592, 200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Plan 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301-331, 2011.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Sejong, 685-686, 2014.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34-35, 2010. 

  8. Yoon HS: A study on knowledge and use of oral hygiene devices among adults. J Dent Hyg Sci 9: 339-344, 2009. 

  9. Lee KH, Jung ES: Effects of education about dental hygiene devices on their use. J Digi Converg 13: 245-256, 2015. 

  10. Park SY, Lee HS: Use and educational needs of auxiliary oral care products in a large enterprise employees. J Korean Soc Dent Hyg 14: 223-230, 2014. 

  11. Lee KH: Influential factors for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in metropolit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13: 951-959, 2013. 

  12. Zimmer S, Kolbe C, Kaiser G, Krage T, Ommerborn M, Barthel C: Clinical efficacy of flossing versus use of antimicrobial rinses. J Periodontol 77: 1380-1385, 2006. 

  13. Goyal CR, Lyle DM, Qaqish JG, Schuller R: Evaluation of the plaque removal efficacy of a water flosser compared to string floss in adults after a single use. J Clin Dent 24: 37-42, 2013. 

  14. Salas ML, McClellan AC, MacNeill SR, Satheesh KM, Cobb CM: Interproximal cervical lesions caused by incorrect flossing technique. Int J Dent Hyg 10: 83-85, 2012. 

  15. Arora V, Tangade P, Ravishankar TL, Tirth A, Pal S, Tandon V: Efficacy of dental floss and chlorhexidine mouth rinse as an adjunct to tooth brushing in removing plaque and gingival inflammation-a three way cross over trial. J Clin Diagn Res 8: ZC01-4, 2014. 

  16. Rosing CK, Daudt FA, Festugatto FE, Oppermann RV: Efficacy of interdental plaque control aids in periodontal maintenance patients: A comparative study. Oral Health Prev Dent 4: 99-103, 2006. 

  17. Imai PH, Yu X, MacDonald D: Comparison of interdental brush to dental floss for reduction of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Can J Dental Hygiene 46: 63-78, 2012. 

  18. Chapple IL, Van der Weijden F, Doerfer C, et al.: Primary prevention of periodontitis: managing gingivitis. J Clin Periodontol 42: S71-S76, 2015. 

  19. Atabek D, Alacam A, Cakilci B, Berkkan A: A comparative study of fluoride containing chlorhexidine and non-chlorhexidine mouth rinses in a teenage group. Int Dent Res 2: 1-7, 2012. 

  20. Mythri H, Ananda SR, Prashant GM, Reddy VS, Chandu GN: The efficacy of antiseptic mouth rinses in comparison with dental floss in controlling interproximal gingivitis. J Int Soc Prev Community Dent 1: 31-35, 2011. 

  21. Hill KB, Chadwick B, Freeman R, O'Sullivan I, Murray JJ: Adult dental health survey 2009: relationships between dental attendance patterns, oral health behaviour and the current barriers to dental care. Br Dent J 214: 25-32, 2013. 

  22. Dental Prevention Study Group: Preventive dentistry. 2nd ed. Koonja Media, Seoul, 2008. 

  23. Lee YH, Moon HS, Paik DI, Kim JB: A survey on family dental health behavior in Seoul capital c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4: 239-257, 2000. 

  24. Lim MH: A study on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on gingivitis affect.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2011. 

  25. Moon HJ: State of education on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among dental prosthesis mounted. J Korea Acad-Ind Coop Soc 12: 5648-5654, 2011. 

  26. Lim SH, Hwang JM: Relationship of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o plaque index systems. J Dent Hyg Sci 15: 159-165, 2015. 

  27. Asaadoorian J: Canadian dental hygienists'association position statement: Flossing. Can J Dent Hyg 40: 1-10, 2006. 

  28. Sharma N, Charles CH, Lynch MC, et al.: Adjunctive benefit of an essential oil-containing mouth rinse in reducing plaque and gingivitis in patients who brush and floss regularly: a six-month study. J Am Dent Assoc 135: 496-504, 2004. 

  29. Lee SR, Kim JH, Huh SY: Comparative study of dental plaque reduction according to various mouthwashes using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digital. J Dent Hyg Sci 13: 434-439, 2013. 

  30. Jang KA, Seong MG, Kang HK, Choi JO, Kim YS: Availability of oral hygiene devices for the patients with smoking in some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8: 7-1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