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5 no.6, 2015년, pp.825 - 835  

권현정 (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  윤미숙 (신한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번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과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65세 이하 중년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그리고 자아존중감구강건강 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대상자를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선정한 후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하고 최종 205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 영향지수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p=0.005), 전신질환이 없는 경우(p=0.005), 구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p=0.025), 하루 칫솔질을 3회 이상 하는 여성일수록(p<0.05)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의 차이에 대해 우울은 배우자가 없고(p=0.005), 전신질환이 있고(p=0.016), 지각된 구강상태가 건강하지 않고(p<0.001), 하루 칫솔질을 3회 이상 하는 중년 여성(p=0.005)에서 높았다. 스트레스는 중졸 이하인 경우(p<0.05), 배우자가 없는 경우(p=0.002), 구강상태가 건강하지 않은 중년 여성(p<0.001)이 높았다. 자아존중감은 연령이 낮을수록, 지각한 구강상태가 건강할수록, 하루 칫솔질을 3회 이상 하는 중년 여성에서 높았다.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구강건강 영향지수 간의 관계는 우울(p<0.001)과 스트레스가 낮을수록(p<0.001),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p<0.001)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우울, 스트레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구강건강 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p<0.001)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p=0.009)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stress, self-esteem,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in middle-aged women. Data were 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05 middle-age women. The instruments wer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과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65세 이하 중년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구강건강 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특히 여성은 결혼, 임신과 출산, 폐경 등과 같이 남성과 다른 생활경험을 하게 되고, 직업 및 일상생활에서도 많은 변화와 위기, 스트레스를 경험하여 이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게 된다18). 이번 연구는 중년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구강건강 영향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중년 여성의 신체·심리·사회적 변화를 파악하여 각 관련성을 규명하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이번 연구는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구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율적인 구강보건 사업 체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년기 이후의 삶이 길어지고 이 기간 동안 건강하고 질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중년기는 인간의 성 장 발달 과정에서 행동과 의식의 전환기이며,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긴장 요인과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인 변화의 시기이다1). 중년 여성은 성장발달 과정에서 생물학적 능력의 감소, 사회적 책임이 증가하는 시기이며, 사회학적 발달에 따른 적응과 자아실현을 이루거나 또는 침체와 위기 변화를 겪으면서 노년기에 접근하는 과정이기도 하다2).
자아존중감이란? Park7)은 우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자아존중감이라고 보고하면서,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가 있는 인간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중년기를 기점으로 자아존중감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8). 중년 여성은 가정에서 헌신한 자신의 역할의 결과를 자식과 남편의 성공에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고, 자녀와 남편문제, 경제문제 등이 중년 여성의 가치관과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어 자신에 대한 무가치함과 자존감 저하를 유발하기도 한다9).
중년 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저하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가치가 있는 인간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중년기를 기점으로 자아존중감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다8). 중년 여성은 가정에서 헌신한 자신의 역할의 결과를 자식과 남편의 성공에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고, 자녀와 남편문제, 경제문제 등이 중년 여성의 가치관과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어 자신에 대한 무가치함과 자존감 저하를 유발하기도 한다9). 또한 성인여성은 많은 스트레스원이 존재하는 시기로, 신체적, 정신적 불편감과 사회적응의 어려움을 초래하는데, 특히 중년기는 다양한 생의 변화와 위기를 경험함으로써 스트레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osworth HB, Bastian LA, Kuchibhatla MN, et al.: Depressive symptoms, menopausal status and climacteric symptoms in women at midlife. Psychosom Med 63: 603-608, 2001. 

  2. Park GJ, Lee KH: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8: 69-84, 2002. 

  3. Chao SY, Liu HY, Wu CY, et al.: The effects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on depression,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J Nurs Res 14: 36-45, 2006. 

  4. Jang EY: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depression self-esteem, cognition,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in attendance at lifelong education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2015. 

  5. Kim RB, Park KS, Lee JH, Kim BJ, Chun JH: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 an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ymptom on self-rated health status, outpatient health hervice utilization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8: 81-92, 2011. 

  6. Cho YK: Effect of the voluntary service activity o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the self-identity of middle-aged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2002. 

  7. Park GJ: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9. 

  8. Kim KH, Kim HS, Park KS: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self-esteem, and lonelines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7: 200-207, 2005. 

  9. Trzesniewski KH, Donnellan MB, Robins RW: Stability of self-esteem across the life span. J Pers Soc Psychol 84: 205-220, 2003. 

  10. Naito M, Yuasa H, Nomura Y, Nakayama T, Hamajima N, Hanada 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J Oral Sci 48: 1-7, 2006. 

  11. McGrath C, Bedi R: Public dental health: can dental attendance improve quality of life? Br Dent J 190: 262-265, 2001. 

  12.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2: 381-399, 1993. 

  13. Frank SH, Zyzanski SJ: Stress in the clinical setting: the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J Fam Pract 26: 533-539, 1988. 

  14. Yim JH, Bae JM, Choi SS, Kim SW, Hwang HS, Huh BY: The validity of modified Korean translated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s instrument of stress measurement in outpatient clinic. J Korean Acad Fam Med 17: 42-53, 1996. 

  15.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965. 

  16. Je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9-129, 1974. 

  17.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1: 3-11, 1994. 

  18. Kim JS, Shin KR: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an. J Korean Acad Nurs 34: 352-361, 2004. 

  19. Shin SJ, Jung SH: A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elderly populations: validity and reliability. J Korean Acad Oral Health 35: 187-195, 2011. 

  20. Yu SH, Kim YI, Lee H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J Korean Acad Oral Health 32: 575-586, 2008. 

  21. Yum SK, Kim T: Gaps in menopause knowledge. J Menopausal Med 20: 47-51, 2014. 

  22. Han J: The roles of self and soc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ealth, self-perception of aging,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Ohio, 2011. 

  23. Kim JS: The relationship of QOL and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women in middle age. J Dent Hyg Sci 14: 1-6, 2008. 

  24. Park ES, Choi JS: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J Dent Hyg Sci 12: 624-633, 2012. 

  25. Yoon MH: Subjectiv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who visited dental clinic. J Korean Acad Dent Hyg 12: 327-337, 2010. 

  26. Shin DS, Jung YM: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QoL) and 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women. J Korean Acad Fundam Nurs 15: 332-341, 2008. 

  27. Kim HS: The affecting factors of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for the menopausal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2015. 

  28. Elavsky S, McAuley E: Physical activity, symptoms,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menopause. Maturitas 52: 374-385, 2005. 

  29. Kang JK, Lee SM: Relationship between 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ttempts to improve oral health. J Korean Acad Dent Health 34: 354-361, 2010. 

  30. Han EJ: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JeollaBuk-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2014. 

  31. Gallicchio L, Schilling C, Miller SR, Zacur H, Flaws JA: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women undergo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J Psychosom Res 63: 263-268, 2007. 

  32. Bromberger JT, Harlow S, Avis N, Kravitz HM, Cordal A: Racial/ethnic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middle-aged women: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SWAN). Am J Public Health 94: 1378-1385, 2004. 

  33. Park YR, Wee H, Kim SJ: Lifestyle, depress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in Jeju provinc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1: 148-155, 2010. 

  34. Kim SH, Lee SM: Effect of obesity and psychological stress on oral health. J Dent Hyg Sci 15: 119-128, 2015. 

  35. Lee IS: Depression and husband's support in marri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8: 482-493, 2002. 

  36. Ferraro FR, Nuehlenkamp JJ, Paintner A, Wasson K, Hager T, Hoverson F: Aging body image, and body shape. J Gen Psychol 135: 379-392, 2008. 

  37. Park GJ, Lee JH, Kim MO, Bang BK, Youn SJ, Choi EJ: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life str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Community Nurs 13: 354-362, 2002. 

  38. Kim MR: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endenc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6. 

  39. Park YR, Son YJ: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 Korean Acad Fundam Nurs 16: 353-361, 2009. 

  40. Lee HK, Kim NS: Dental fear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mediating variable model (self-esteem & selfregulation. J Korean Soc Dent Hyg 14: 577-584, 2014. 

  41. Ingram SS, Seo PH, Sloane R, et al.: The 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male cancer patients. J Am Geriatr Soc 53: 1504-1509, 2005. 

  42. Hassel AJ, Danner D, Freier K, Hofele C, Becker-Bikowski K, Engel M: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anxiety in long-term recurrence-free patients after treatment for advanced oral squamous cell cancer. J Craniomaxillofac Surg 40: 99-102, 2012. 

  43. Ko YM: Xerostomia, mood state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out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13. 

  44. Oh MJ, Han KS: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frequency of stress symptoms in the orofacial region. J Wonkwang Dent Res Inst 8: 73-88, 1998. 

  45. Willits FK, Crider DM: Transition to adulthood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morality: A tow-panel study. Youth Soc 20: 88-105, 1998. 

  46. Hong MH: Impact of physical stress symptoms and psychoemotional stress symptoms on oral health in adul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15: 1663-1670, 2014. 

  47.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40: 747-755, 2010. 

  48. Kim KH, Kim HS, Park KS: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self-esteem, and lonelines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Adult Nurs 17: 200-207, 2005. 

  49. Kim SA, Kim SY: The impa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 women. J Welf Aged 52: 109-13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