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편육류(片肉類)의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Pyeonyuk in the Royal Palace of Joseon Dynas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1 no.1, 2015년, pp.1 - 14  

오순덕 ((주)오순덕식품외식산업연구소) ,  유영준 ((주)이연에프엔씨)

초록

조선왕조 궁중의궤 15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편육류(片肉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편육류에서 '편육(片肉)'이 20%로 가장 많이 소개되었고, '저육숙편(猪肉熟片)' 18.6%, '우육숙편(牛肉熟片)' 17.1%, '양육숙편(羊肉熟片)' 15.7%, '계육숙편(鷄肉熟片)' 8.6%, '양숙편(月羊熟片)' 7.2%, '우설우낭숙편(牛舌牛囊熟片)'과 '우태율편육(牛胎栗片肉)'이 각각 5.7%, '생선숙편(生鮮熟片)'이 1.4% 순으로 나타났다. 의궤에 기록된 구성요소를 토대로 편육 개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Pyeonyuk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Pyeonyu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20% for Pyeonyuk(片肉), 18.6% for Jeyuksukpyeon(猪肉熟片), 17.1% for Uyuksukpyeon(牛肉熟片),...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육류소비의 증가와 함께 서양화 되고 있는 시점에 우리의 음식인 ‘편육’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왕조 궁중음식에 소개된 편육류의 종류별 비중을 설명하시오. 조선왕조 궁중의궤 15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편육류(片肉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편육류에서 '편육(片肉)'이 20%로 가장 많이 소개되었고, '저육숙편(猪肉熟片)' 18.6%, '우육숙편(牛肉熟片)' 17.1%, '양육숙편(羊肉熟片)' 15.7%, '계육숙편(鷄肉熟片)' 8.6%, '양숙편(月羊熟片)' 7.2%, '우설우낭숙편(牛舌牛囊熟片)'과 '우태율편육(牛胎栗片肉)'이 각각 5.7%, '생선숙편(生鮮熟片)'이 1.4% 순으로 나타났다. 의궤에 기록된 구성요소를 토대로 편육 개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우리 민족이 상고시대부터 육류 음식을 잘 다뤘을 것으로 추측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 민족은 상고시대(上古時代)부터 수렵에 능하고 육류 음식을 잘 다루었다(1). 이는 우리 민족의 주류를 이루는 맥족(貊族)이 유라시아 대륙에서 유목생활를 하고 있던 퉁구스족의 일파가 동쪽으로 이동하여 만주 남부지방으로 빠져 나온 민족(2)으로 본디 유목계였던 맥족은 화북의 농경민족에 비해 생활을 가축에 의지하는 비중이 크고 고기를 다루는 솜씨도 보다 익숙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3). 우리나라에서 원시시대부터 짐승 사냥과 가축 기르기를 해온 조건에서 고기를 주원료로 한 편육의 역사도 오래되었다고 보아진다(4).
이조궁정요리통고에서 편육의 정의는? 편육은 고기를 삶아서 얇게 편으로 썬 요리로서 ‘편육(片肉)’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이조궁정요리통고(5)에서는 ‘편육은 소고기를 물만 붓고 삶아서 엷게 저며, 초장이나 겨자에 먹는 것’, 한국요리문화사(6)에서는 ‘고기를 푹 삶아 내어 물기를 뺀 것이 숙육(熟肉)이고 이것을 얇게 저미면 편육(片肉) 혹은 숙편(熟片)이 된다’, 한국의 음식 용어(7)에서는 ‘소의 양지머리, 사태 등을 삶아 익혀서 차게 눌렀다가 얇게 저며쓰는 고기 요리’. 조선향토대백과(8)에서는 ‘편육은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삶아서 식힌 다음 얇게 편으로 썬 찬 음식’, 조선료리(9)에서는 ‘고기를 맹물에 삶았다 하여 백숙이라고 하며 편으로 썰어 낸다 하여 편육이라고 부른다’ 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Rue KR, Kim TH, 1992, Historical Review of Beef Recipes I. Beef recipes around gukryu, Journal of Korean culture 7(3) 

  2. Lee SW, 1984, Hankuksilpummunhwasa, Gyomunsa 

  3. Rue KR, Kim TH, 1992, Historical Review of Beef Recipes I. Beef recipes around gukryu, Journal of Korean culture 7(3) 

  4. Sin YS. 2005.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5. Han HS, Hwang HS, Lee HK. 1957. Leejogungjeongyoritonggo. Hakchongsa(學叢社) 

  6. Lee SW, 1984, Hankuksilpummunhwasa, Gyomunsa, pp. 119-120 

  7. Yoon SS, 1991, Hankuk Eumsik Yongeo, Mineumsa, p. 239 

  8. Sin YS. 2005.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9. Kim CY. 1994.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10. Sin YS. 2005.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11. Yoon SS, 1991, Hankuk Eumsik Yongeo, Mineumsa, p. 239 

  12. Sin YS. 2005.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13. Kim TH. 1995.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IV. boiled beef and sliced of boiled beef. Korean J. Dietary Culture. 9(5):499-507 

  14. Lee HG, Yoon SS. 1986. An analytical Studies on Side Dishe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2):101-115 

  15. Lee YJ, Lee HG. 1987. A Bibliographical Study of Moist Cooking Method of Korean Side Dishes. Korean Living Science Research. 23(5):201-222 

  16. Chung RW, Cho Sh,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7.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731-748 

  17. Kim US, Han MJ. 2008.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the Side Dishes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I)-Tang(guk), Changguk, Gigimi, Chigye, Chim, Chorim.Cho, Baeksuk, Hoei, Pyunyook. Korean J. Food Culture. 23(4):427-437 

  18. Kim SB, 2000, Joseon Dynasty Royal Eugwe Food Culture, Suhaksa 

  19. Song BS, Park CR. 2001, SukjongjoGihaeJinyeoneuigwe(肅宗朝己亥進宴儀軌), Minsokwon(Co.), Seoul 

  20. Wonhaengelmyojungrieuigwe(園行乙卯整理儀軌), 1795, Kyujanggak 

  21. Chunghae Chungraeeuigwe(丁亥 整術儀軌), 1827, Kyujanggak 

  22. Muja Jinjakeuigwe(戊子 進爵儀軌), 1828, Kyujanggak 

  23. Gichuk Jinchaneuigwe(己丑 進饌儀軌), 1829, Kyujanggak 

  24. Musin Jinchaneuigwe(戊申 進饌儀軌), 1848, Kyujanggak 

  25. Mujin Jinchaneuigwe(戊辰 進饌儀軌), 1868, Kyujanggak 

  26. Kyeyu Jinjakeuigwe(癸酉 進爵儀軌), 1873, Kyujanggak 

  27. Chungchuk Jinchaneuigwe(丁丑 進饌儀軌), 1877, Kyujanggak 

  28. Chunghae Jinchaneuigwe(丁亥 進饌儀軌), 1887, Kyujanggak 

  29. Imjin Jinchaneuigwe(壬辰 進饌儀軌), 1892, Kyujanggak 

  30. Sinchuk Jinchaneuigwe(辛丑 進饌儀軌), 1901년 5월, Kyujanggak 

  31. Sinchuk Jinyeoneuigwe(辛丑 進宴儀軌), 1901년 7월, Kyujanggak 

  32. Imin Jinchaneuigwe(壬寅 進饌儀軌), 1902년 4월, Kyujanggak 

  33. Imin Jinyeoneuigwe(壬寅 進宴儀軌), 1902년 11월, Kyujanggak 

  34. Han HS, Hwang HS, Lee HK. 1957. Leejogungjeongyoritonggo. Hakchongsa(學叢社) 

  35. Kim CY. 1994.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36. Kim CY. 1994.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37. Sin YS. 2005. Joseonhwangtodaebaekgwa(朝鮮鄕土大百科). Singeung P&P(Co.). Seoul 

  38. Kim CY. 1994.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39. Jeong YY, 1819, Aungakbi(雅言覺非), translated by Kim CK, 1976, Iljisa, Seoul, p. 203 

  40. Andong Jang si(氏), 1670, Gyugonsieuibang(閨?是議方), translated by Hwang HS, 1980, Hangukinseoculpansa, Seoul 

  41. Kim CY. 1994. Joseonyori(朝鮮料理). Yegukmunjonghapculpansa 

  42. Kim SB. 2013. Uri Eumsik Munhwa Iyagi. Bookmarugi. Seoul 

  43. Kim SB. 2013. Uri Eumsik Munhwa Iyagi. Bookmarugi.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