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결정요인 분석
The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Establishment of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3 no.2, 2015년, pp.131 - 141  

변주수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유재언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factors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LHFSCs). Community factors were population size, community size, local finance independency, number of workplaces per 1,000 people, number of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현황에 이어서 연구대상인 지역사회의 일반적인 특성이 어떠한지 살펴보겠다. 지역사회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에 제시한 Table 2와 같다.
  •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까지 확대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지역사회의 공공서비스 공급 결정요인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에도 적용되는지 탐색적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공공서비스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특성, 영역, 영역별 지표들에 대해 논의하겠다.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결정요인에 대해 수행된 연구가 거의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까지 확대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지역사회의 공공서비스 공급 결정요인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에도 적용되는지 탐색적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공공서비스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특성, 영역, 영역별 지표들에 대해 논의하겠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본 연구는 최초로 센터설치와 지역사회 특성 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므로 밝혀진 사실들을 토대로 세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공급 주체로 대학교를 주목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대학수가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에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적 차원에서 실증분석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 이렇듯 지방자치단체장의 정당이나 정치인의 정당이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쳐 공공서비스 공급에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도 지방자치단체장정당과 지역구 국회의원 정당이라는 정치적 요인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설치 당시의 지역사회 특성이 최신년도와 차이가 나는데도 불구하고 독립변수 기준시점을 최근년도로 통일하여 단일시점의 데이터로 분석을 시행하는 것은 오히려 센터설치 이후의 지역사회 특성이 센터설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어야 하는 ‘인과적 오류’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논리적인 오류를 잡고 타당한 인과적 설명을 위해 일반적이지 않은 다시점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이 연구들은 지역사회 특성을 인구, 사회·경제, 정치의 세 영역으로 나누고 있으며, 다음의 연구들을 통해 각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하위지표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인 건강가정지원센터 지역사회별 설치 현황을 살펴보겠다. 지역사회의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여부 및 지역건강가정지원센터 위치는 Figure 1과 같다.
  • 연구대상인 222개 시군구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지역과 미설치지역으로 나눈 뒤, 각 지방자치단체의 인구, 사회·경제, 정치 요인을 중심으로 센터설치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자 한다.
  • 이 연구는 222개 시군구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설치지역과 미설치지역으로 구분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 공급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의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들이 공공서비스기관 설치와 관련하여 강조한 지역사회 요인들과 건강가정지원센터만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요인들을 함께 적용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 설치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를 행정적·지리적 공간을 공유하는 지방자치단체로 정의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급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지역사회의 인구, 사회·경제, 정치적 요인에 의해 어떤 양상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설치되어왔는지 살펴봄으로써 추후 미설치지역에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설치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a)The reference group is metropolitan. b) The reference group is the ruling conservative political par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가정기본법이 제정된 날은 언제인가? 정부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표현으로 2004년 2월 ‘건강가정기본법’을 제정하였다(법률 제7166호, 시행 2005.1.
건강가정사업을 시행하기 위해 센터가 설치된 곳은? 이에 대한 사회적 실천으로써 건강가정을 저해하는 문제발생을 예방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와, 가족의 부양 · 양육 · 보호 · 교육 등의 가정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인 ‘건강가정사업’을 시행하는 건강 가정지원센터를 지방자치단체마다 설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이 법에 근거하여 2004년 서울시 용산구, 여수시, 김해시 3개의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설치된 이래 현재까지 151개소가 설치되었다[48].
건강가정기본법의 목표는? ). 건강가정기본법은 결혼가치의 변화, 저출산, 고령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돌봄노동의 공백, 다문화 가정 증가 등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가정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을 강구하고 가족구성원의 복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들을 강화함으로써, 가족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가정인 건강가정 구현을 목표로 한다. 또한 가족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건강한 가정생활을 영위하도 록,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책임을 명백히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Bae, I. M. (2000). The case of selfgoverning districts of Seoul: Local autonomy and local welfare expenditure. Korean Journal of Local Finance, 5(1), 143-159. 

  2. Cameron, D. R. (1978). The expansion of the public economy: A comparative analysi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2(4), 1243-1261. 

  3. Chamlin, M. B. (1987). General assistance among cities: An examination of the need, economic threat, and benign neglect hypotheses. Social Science Quarterly, 68(4), 834-846. 

  4. Chang, J. K., Oh, J. E., Han, E. J., Ryu, J. A., & Won, S. Y. (2006). A study for developing operational framework for a distric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t's role and organiz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1(1), 151-177. 

  5. Chin, M. J., & Yoo, J. E. (2012). Geographic proximity and program participation at a local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7), 13-20. http://dx.doi.org/10.6115/khea.2012.50.7.013 

  6. Cho, Y. H. (2001). Decentralization and the regional inequalities in social welfare provision in Korea.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17(2), 1-19. 

  7. Choi, J. N. (2005). Financial ability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9(4), 451-474. 

  8. Choi, Y. H. (2003). Analysis on gap of social welfare by communities .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Seoul, Korea. 

  9. Choi, Y. S., Cho, E. S., Nam, Y. J., Song, M. S., & Kwon, H. K. (2012). Family images and healthy family images perceived by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6(4), 3-28. 

  10. Fabricant, S., & Lipsey, R. E. (1952). The trend of government activity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00(pp. 12-39).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1. Ha, N. S., & Koo, C. D. (2012). The impact of increase in social welfare spending on local finance. Korean Journal of Local Finance, 17(3), 1-34. 

  12. Han, W. T., & Jeong, H. Y. (1994). The change of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and its course due to local autonomy.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6(2), 5-27. 

  13.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2014). Retrieved May 5, 2014, from http://www.familynet.or.kr/ 

  14. Jang, D. H. (2007). A framework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local social policy in the post-industrial er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3), 229-252. 

  15. Jeong, Y. J., & Lee, G. S. (2013).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healthy family specialis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8(4), 461-484. http://dx.doi.org/10.13049/kfwa.2013.18.4.461 

  16. Kang, K. J. (2007). An exploratory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ctionlearning strategy to the healthy family specialist education program.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1(3), 67-79. 

  17. Kang, Y. H. (2002). Policy preferences and their determinants in Korea local government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6(4), 227-241. 

  18. Kelly, A. C. (1976). Demographic change and the size of the government sector. Southern Economic Journal, 43(2), 1056-1066. 

  19. Kim, B. H. (1995). A study of determinants of the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4(1), 147-171. 

  20. Kim, H. Y. (2014).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education program enhancing the capability training of a healthy family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1), 101-115. http://dx.doi.org/10.7466/JKHMA.2014.32.1.101 

  21. Kim, J. H. (2008). The development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in Kyungnam area.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2), 25-37. 

  22. Kim, M. H., Park, E. J., & Kim, M. K. (2009). A study of the determinants on the change in the social welfare budget of local governments since fiscal decentralization. Social Welfare Policy, 36(4), 189-213. 

  23. Kim, M. J., Kye, S. J., Park, M. S., Jang, J. K., Kim, Y. H., Han, E. J., et al. (2005).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effect of Healthy Families Center.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1), 25-49. 

  24. Kim, T. I. (1998). Local autonomy and welfare expenditure.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7(1), 317-338. 

  25. Kim, Y. H., Kim, Y. R., Park, J. Y., & Han, E. J. (2005). An analysis of the desires of community residents for the activation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s: On the residents of Dongjak-gu, Seoul.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22 , 15-29. 

  26. Koh, S. K. (2005). A remodification of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curriculum for the healthy family specialist program.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9(4), 133-144. 

  27.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2014). Retrieved May 5, 2014, from http://www.krivet.re.kr/ 

  2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2). A workplace statistics 2012. Retrieved June 20, 2014,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index.do?orgId118&confmNo11821&kosisYnY 

  2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The total population by community. Retrieved May 5, 2014,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A3&vw_cdMT_ZTITLE&list_idA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30. Lee, H. S., & Lee, D. Y. (2004).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8(2), 152-173. 

  31. Lee, J. W., & Kim, K. S. (2007). Determinants of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local government: 1995-2005. Social Welfare Policy, 31 , 105-124. 

  32. Lee, S. J., & Kang, C. G. (2006). The association policy decision maker of local government with party, political regime, and preference to polic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0(4), 117-135. 

  33. Lee, S. Y., & Lee, H. (2008). Policy proposals for the settlement of program budgeting in local governments .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34. Lee, Y. J. (2008). A study for the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educational work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2(4), 79-100. 

  35. Mo, J. H., & Lee, J. S. (2010).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welfare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government. Social Welfare Policy, 37(4) , 49-73. 

  36. Moon, S. Y., & Sung, K. D. (2010).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lthy family welfare service using SERVQUAL: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and privat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8(4), 357-383. 

  37. Musgrave, R. A. (1969). Fiscal system.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38. Park, G. W., & Park, B. H. (2007). Factors of determination on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of local government. Social Welfare Policy, 31 , 423-451. 

  39. Park, H. B., Lee, H. C., & Jung, W. I. (2001). A study on the dispar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of Kyonggi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5(2), 53-79. 

  40. Park, J. Y., & Yoon, S. Y.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activity of family voluntary service group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2), 59-77. 

  41. Park, S. B. (1997). The measurement of regional development and regional inequality.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1(3), 3165-3185. 

  42. Park, S. J. (2006).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n supply type of social welfare service.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20(1), 118-135. 

  43. Park, S. K., Lee, J. E., Shin, S. M., & Yang, N. J. (2013). Analysis of supply and demand of social service by community level.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44.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14). Retrieved May 5, 2014, from http://www.nec.go.kr 

  45. Seo, S. B., & Hong, S. J. (2010). A study of determinants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Korean local government: Focused on the decentralized revenue sharing system of participatory government. Social Welfare Policy, 37(2), 151-177. 

  46. Shin, J. K., & Lim, J. H. (2013). The determinants of welfare budget in local government: Political election and welfare budget change in municipal government.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3), 225-251. 

  47.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May 5, 2014, from http://sgis.kostat.go.kr/ 

  48. Statistics Korea. e-National index. Retrieved May 5, 2014, from http://www.index.go.kr/ 

  49. So, S. C., & Kim, J. W. (1999). Process and outcome analysis of public expenditure decision of local government in South Korea.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3(3), 363-381. 

  50. Son, H. J. (1999). Factors affecting on local financial expenditure since a local self-governing.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3(1), 81-97. 

  51. Song, H. R. (2004).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Healthy Families Center.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5), 303-318. 

  52. Song, H. R.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ls for housewives' educational program tn the Healthy Families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9(1), 17-39. 

  53. Song, H. R. (2009).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institutional household: To the application for job analysis of Healthy Families Center work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1), 23-39. 

  54. Song, H. R. (2010).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y Families Center: Focused on the working-married women.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4(1), 1-17. 

  55. Song, H. R., Kwon, H. J., Ki, E. K., Kim, S. W., Kim, S. Y., & Chae, H. Y. (2004). A study on the workshop program for the specialists of healthy famil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8(3), 65-93. 

  56. Sung, M. A. (2004). The roles, qualification, and fostering system of healthy families specialis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5), 345-355. 

  57. Sung, M. A., Chin, M. J., Lee, J. R., & Choi, S. E. (2012). Certified healthy family specialists' job and working conditions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3), 453-468. 

  58. Won, D. J., & Kim, T. R. (2013). Effect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on social capital: The case of Hoengseong county.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 13(4), 93-111. 

  59. Won, S. Y., & Chang, J. K. (2005). A fundamental survey study for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evaluation strategies of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7), 129-14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