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 중증 식품알레르기와 식품 알레르겐
IgE Mediated Food Allergy: Severe Food Allergy and Food Allergen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8 no.1, 2015년, pp.10 - 16  

이수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는 단순 발생 빈도 뿐 아니라 중증도 또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최근에는 연령이 증가하여도 자연소실 되지 않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중증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위험요인 증명과, 원인 항원별 특성 및 임상과의 연관성 규명, 치료와 예방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식품알레르기의 기전과 전반적인 임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고 의학을 전공하지 않은 식품 과학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의 주요 임상 증상, 원인 식품 및 주요 식품 알레르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의 증상은? 이 중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는 원인 식품 섭취 후수 시간 이내에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즉시형 반응으로 식품 섭취 혹은 노출 후 수분에서 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반나절 후에도 증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는 드물 다. 이러한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는 급성 두드러기, 혈관부종, 아토피피부염의 악화 및 유발 등 피부에 국한된 비교적 경한 증상을 가장 많이 유발하지만, 심한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위장관 증상, 기침, 콧물, 천명,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 어지러움, 기절, 경련 등의 신경계 증상 및 다양한 증상이 복합되거나 저혈압 등을 동반하는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알레르기 쇼크)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두 가지 이상 장기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나거나, 신경증상, 저혈압 등이 동반되는 아나필락시스는 급성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식품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가장 흔한 식품은? 식품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흔한 식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식품알레르기의 원인은 지역과 식습관에 따라, 연령 및 섭취 빈도에 따라 다르다. 가장 흔한 원인인 우유, 계란, 어류, 견과류, 콩과 식물(legumes; 땅콩, 대두 등)은 소위 ‘Big 5’ 라고 불리며, 전체 식품알레르기 환자의 약 90% 에서 이들 식품이 원인이다. 또한 개별 식품은 각각 수개-수십 개의 IgE epitope(항원결정부위)를 포함하고 있으며,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의 흔한 원인 식품에 대하여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성분들(components)이 알려져 있고 현재도 계속 새로운 성분들이 밝혀지고 있다.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식품알레르기는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가? IgE 매개성 식품알레르기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급성 두드러기, 혈관부종 등의 피부 증상이지만, 위장관 증상과 호흡기 증상, 그리고 생명을 위협 하는 후두 부종과 아나필락시스 등 중증 식품알레르기도 발생하며, 섭취한 원인 식품의 양이나 환자의 상태, 동반된 위험인자 등에 따라서 가벼운 증상에서 심각한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 날 수 있다.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식품알레르기는 주로 원인 식품을 위장관을 통하여 섭취한후 발생하지만, 일부에서는 식품 항원의 흡입 혹은 접촉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흡입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의 대표적인 예는 제빵사에서 생길 수 있는 밀가루 알레르기와 메밀 베개 사용시 겨에 묻어 있는 소량의 메밀가루에 의한 알레르기 이며, 생선, 갑각류, 계란, 메밀, 견과류 등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분말 흡입, 김이나 연기, 혹은 냄새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위장관 및 식품알레르기. In 천식과 알레르기 질환. 제 2판, p445-71, 여문각, 2012 

  2. 홍수종, 안강모, 이수영, 김규언: 한국 소아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8: 15-25 (2008) 

  3. Ahn KM, Han YS, Nam SY, Park MY, Lee SI: Prevalence of soy protein hypersensitivity in Cow's milk protein-sensitive children in Korea. J Korean Med Sci. 18: 473-7 (2003) 

  4. Lee SY, Lee KS, Hong CH, Lee KY: Three cases of childhood nocturnal asthma due to buckwheat allergy. Allergy. 56: 763-6 (2001) 

  5. Lim DH. Epidemiology of anaphylaxi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Pediatr. 51: 351-354 (2008) 

  6. Lee SY, Kim KW, Lee HH, Lim DH, Chung HL, Kim SW, et al.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visits of children with severe food allergy.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32: 169-75 (2012) 

  7. Berin MC. Chehade M: Mucosal Immunology: An overview. In Leung DYM, Sampson HA, Geha R, Szefler SJ (eds):Pediatric allergy: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p471-6, Saunders, 2010 

  8. Fleischer DM, Leung DYM: Eczema and food hypersensitivity. In Metcalfe DD, Sampson HA, Simon RA (eds): Food Allergy: Adverse Reactions to Foods and Food Additives. 4th ed. p110-23, Blackwell Science, 2008 

  9. Groetch M, Sampson HA: Management of food allergy. In Leung DYM, Sampson HA, Geha R, Szefler SJ (eds):Pediatric allergy: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p540-51, Saunders, 2010 

  10. Hoffmann-Sommergruber K, Mills ENC: Food allergen protein familie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application in component-resolved diagnosis: new data from the Euro Preval project. Anal Bioanal Chem. 395: 25-35 (2009) 

  11. Sampson HA: Anaphylaxis and food allergy. In Metcalfe DD, Sampson HA, Simon RA (eds): Food Allergy: Adverse Reactions to Foods and Food Additives. 4th ed. p157-70, Blackwell Science, 2008 

  12. Wang J, Sampson HA: Food allergy: recent advances in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Allergy Asthma Immunol Res. 1: 19-29 (2009) 

  13. Sampson HA, Munoz-Furlong A, Campbell RL, Adkinson NF Jr, Bock SA, Branum A, et al. Second symposium on the definition and management of anaphylaxis: summary report: Second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Food Allergy and Anaphylaxis Network symposium. J Allergy Clin Immunol. 117: 391-397 (2006) 

  14. Yocum MW, Butterfield JH, Klein JS, Volcheck GW, Schroeder DR, Silverstein MD. Epidemiology of anaphylaxis in Olmsted County: A population-based study. J Allergy Clin Immunol. 104: 452-456 (1999) 

  15. Decker WW, Campbell RL, Manivannan V, Luke A, St. Sauver JL, Weaver A et al. The etiology and incidence of anaphylaxis in Rochester, Minnesota: a report from the Rochester epidemiology project. J allergy Clin Immunol. 122: 1161-1165 (2008) 

  16. Rudders SA, Banerji A, Vassallo MF, Clark S, Camargo CA. Trends in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visit for food-induced anaphylaxis. J Allergy Clin Immunol. 126: 385-388 (2010) 

  17. Koplin JJ, Martin PE, Allen KJ. An update on epidemiology of anaphylaxis in children and adults.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11: 492-496 (2011) 

  18. Arroabarren E, Lasa EM, Olaciregui I, Sarasqueta C, Munoz JA, Perez-Yarza EG. Improving anaphylaxis management in a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Pediatr Allergy Immunol. 22: 708-714 (2011) 

  19. Hardua-Morano L, Simon MR, Watkins S, Blackmore C.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 study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naphylaxis in Florida. J Allergy Clin Immunol. 128: 594-600 (2011) 

  20. Liew WK, Willamson E, Tang MLK. Anaphylaxis fatalities and admissions in Australia. J Allergy Clin Immunol. 123: 434-442 (2009) 

  21. Masilamani M, Commins S, Shreffler W. Determinants of food allergy.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32: 11-3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