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케어 비만관리에서 자가 측정 빈도 수준의 효과
The effect of the self-measurement frequency levels on SmartCare obesity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1972 - 1980  

이창희 (LG전자) ,  장병윤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2011년 3월 9일 부터 2013년 4월 3일 사이에 수행된 스마트케어 비만 관리 시범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등록된 212명 참여자 중에서 6개월 동안의 스마트케어 서비스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자가 체중 측정을 모두 완료한 147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평가를 위한 자가 측정 그룹은 6개월 기간의 월 평균자가 측정 빈도를 균등하게 나누어 3그룹(Low, Middle, High)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평가 대상 지표는 스마트케어 시스템으로 전송된 체중과 BMI(Body Mass Index)로 하였다. 체중과 BMI의 월별 평균은 High 그룹이 Middle 과 Low 그룹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으며(M5: High>Middle>Low)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결론적으로, 체중과 BMI의 개선 효과 분석은 자가 측정 빈도 수준이 높을 때 더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s purpose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martCare obesity management pilot project, which was conducted between 09 March 2011 and 03 April 2013 in Korea (South). Of 212 subjects who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47 subjects who completed their we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약 자가 측정 빈도의 평가군의 분류가 정확하지 않다면 그에 따른 질환 개선효과 또한 정확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스마트케어 서비스를 받는 기간 동안에 자동으로 전송된 자가 측정 빈도와 체중, BMI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스마트케어 서비스를 이용한 비만환자의 자가 측정 빈도 수준에 따라서 질환 개선 효과로 체중과 BMI 변화량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결과 참가자들의 자가 측정 빈도 수준에 따라서 체중과 BMI 변화량 분석에서는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 이 연구는 지식경제부에서 주관한 스마트케어 서비스시범 사업에 참여한 비만 대상자들의 자가 측정 빈도 수준에 따른 질환 개선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케어 서비스 시범사업에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은 비만 대상자들의 자가 측정 빈도 수준에 따른 체중과 BMI의 변화량에 대한 개선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체중 측정 빈도 수준에 따른 3군은 체중과 BMI의 개선에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가정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의 비만관리 연구 트렌드는 어떠합니까? 최근의 비만관리 연구 트렌드를 보면 Tele-health를이용한 신체활동, 식이 섭취, 자가 측정 모니터링 등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치료를 받은 사람들 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25]. 또한 미국에서 비만, 과체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에 의하면 자가 측정 빈도가 높을수록 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
비만은 다양한 질병과 연관되는데 그 질병의 종류는 어떠합니까? 비만은 그 자체의 문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연관되는 질병은 심혈관 질환인 고혈압이며 정상인 보다 비만에서5배 더 높고 제 2형 당뇨의 경우는 10배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가 되었다 [8-10]. 기타 질병으로는 유방암, 대장암, 식도암 등이 있으며 호흡기 질병으로 호흡곤란, 수면 무호흡 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11-13].
비만은 무엇을 지표로 사용합니까?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여러 가지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대체로 비만은 체중,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와 엉덩이의 비율 등을 지표로 사용하며 이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는 체중과 BMI이다 [4]. 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비만의 기준은 WHO에서 아시아 성인들을 기준으로 구분한 BMI25 kg/m2 이상을 비만, 23 kg/m2 이상을 과체중으로 구분하고 있다 [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ang YC, McPherson K, Marsh T, et al. "Health and economic burden of the projected obesity trends in the USA and the UK", Lancet, Vol. 378, No. 9793, pp. 815-825, August, 2011.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11)60814-3 

  2. Jolly K, Lewis A, Beach J, et al. "Comparison of range of commercial or primary care led weight reduction programmes with minimal intervention control for weight loss in obesity: Lighten Up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J, Vol. 343, pp. 1035, 2011. DOI http://dx.doi.org/10.1136/bmj.d6500 

  3. Ogden CL, Yanovski SZ, Carroll MD, et al. "The epidemiology of obesity", Gastroenterology, Vol. 132, No. 6, pp. 2087-102, May, 2007. DOI http://dx.doi.org/10.1053/j.gastro.2007.03.052 

  4. Stein CJ, Colditz GA, "The epidemic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Vol. 89, No. 6, pp. 2522-5, Jun, 2004. DOI http://dx.doi.org/10.1210/jc.2004-0288 

  5.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n-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Geneva: WHO Western Pacific Region, 2000. 

  6. Korean Endocrine Socie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 Metab, Vol. 25, pp. 301-304, 2010. DOI http://dx.doi.org/10.3803/EnM.2010.25.4.301 

  7. S. W. Oh, S. A. Shin, et al. "Cut-off point of BMI and obesity-related comorbidities and mortality in middle-aged Koreans", Obes Res, Vol. 12, No. 12, pp. 2031-40, Dec, 2004. DOI http://dx.doi.org/10.1038/oby.2004.254 

  8. Haslam DW, James WP, "Obesity", Lancet, Vol. 366, No. 9492, pp. 1197-1209, Oct, 2005.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5)67483-1 

  9. Kastarinen MJ, Nissinen AM, Vartiainen EA, et al., "Blood pressure levels and obesity trends in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Finnish population from 1982 to 1997", Journal of Hypertension, Vol. 18, pp. 255-262, Mar, 2000. DOI http://dx.doi.org/10.1097/00004872-200018030-00003 

  10. Stevens J, Couper D, et 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nthropometrics for the prediction of diabetes in a biracial cohort", Obes Res, Vol. 9, No. 11, pp. 696-705, Nov, 2001. DOI http://dx.doi.org/10.1038/oby.2001.94 

  11. Vainio H, Bianchini F, Weight control and physical activity. IARC Handbook of Cancer Prevention, Vol. 6, 2002. 

  12. Young T, Palta M, Dempsey J, et al.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Vol. 328, No. 17, pp. 1230-1235, Apr, 1993. DOI http://dx.doi.org/10.1056/NEJM199304293281704 

  13. Partinen M, Jamieson A, Guilleminault C., "Long-term outcome for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mortality", Chest, Vol. 94, No. 6, pp. 1200-1204, Dec, 1988. DOI http://dx.doi.org/10.1378/chest.94.6.1200 

  14. Lakka TA, Laaksonen DE, "Physical activity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ppl Physiol Nutr Metab, Vol. 32, No. 1, pp. 76-88, 2007. DOI http://dx.doi.org/10.1139/h06-113 

  15. Kumanyika SK, Obarzanek E, Stettler N, et al. "Population-based prevention of obesity: the need for comprehensive promotion of healthful eating,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balanc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Interdisciplinary Committee for Prevention (formerly the expert panel on population and prevention science)", Circulation, Vol. 118, No. 4, pp. 428-64, 2008.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8.189702 

  16. Stone NJ, Saxon D, "Approach to treatment of the patient with metabolic syndrome: lifestyle therapy" Tz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Vol. 96, No. 4a, pp. 15e-21e, 2005. DOI http://dx.doi.org/10.1016/j.amjcard.2005.05.010 

  17. Luley C1, Blaik A, Gotz A, et al. "Weight Loss by Telemonitoring of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for 1 year", J Am Coll Nutr, Vol. 33, No. 5, pp. 363-74, 2014. DOI http://dx.doi.org/10.1080/07315724.2013.875437 

  18. Rena R, Deborah F, et al. "A Self-Regulation Program for Maintenance of Weight Loss", N Engl J Med, Vol. 355, No. 15, pp. 1563-71, Oct, 2006. DOI http://dx.doi.org/10.1056/NEJMoa061883 

  19. Klasnja P, Pratt W, "Healthcare in the pocket: mapping the space of mobile-phone health interventions", J Biomed Inform, Vol. 45, No. 1, pp. 184-98, 2012. DOI http://dx.doi.org/10.1016/j.jbi.2011.08.017 

  20. Consolvo S, Klasnja P, McDonald DW, et al. "Flowers or a robot army: Encouraging awareness & activity with personal, mobile displays", In: Proc UbiComp 2008, ACM, pp. 54-63, 2008. 

  21. Mohan P, Marin D, Sultan S, Deen A, "MediNet: personalizing the self-care process for patients with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mobile telephony", In: Conf proc IEEE eng med biol soc, pp. 755-758, 2008. DOI http://dx.doi.org/10.1109/IEMBS.2008.4649262 

  22. JIA, Huanguang, et al. "Long-term effect of home telehealth services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 use", J Rehabil Res Dev, Vol. 46, No. 5, pp. 557-566, 2009. DOI http://dx.doi.org/10.1682/JRRD.2008.09.0133 

  23. Rimmer JH, Wang E, Pellegrini CA, et al. "Telehealth weight management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Phys Med Rehabil, Vol. 92, No. 12, pp. 1084-94, Dec, 2013. DOI http://dx.doi.org/10.1097/PHM.0b013e31829e780e 

  24. Baker RC, Kirschenbaum DS, "Self-monitoring may be necessary for successful weight control", Behav Ther, Vol. 24, No. 3, pp. 377-394, 1993. DOI http://dx.doi.org/10.1016/S0005-7894(05)80212-6 

  25. Shay LE, Seibert D, Watts D, et al. "Adherence and weight loss outcomes associated with food-exercise diary preference in a military weight management program", Eat Behav, Vol. 10, No. 4, pp. 220-227, Dec, 2009. DOI http://dx.doi.org/10.1016/j.eatbeh.2009.07.004 

  26. Jeffrey J. VanWormer, Jennifer A. Linde, et al. "Self-weighing Frequency is Associated with Weight Gain Prevention over Two Years among Working Adults", Int J Behav Med, Vol. 19, No. 3, pp. 351-358, Sep, 2012. DOI http://dx.doi.org/10.1007/s12529-011-9178-1 

  27. Farkhod Alisherov1, et al.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Management Based on Agent Platform with Application of PLD",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Vol. 4, No. 4, pp. 49-54, Dec, 2012. 

  28. Y. S. Chung, M. K. Moon, C. H. Lee, "The effect of Smart Care ubiquitous health service on hypertension management",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3, pp. 1213-122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3.1213 

  29. J. A. Kim, I. S. Cho, C. H. Lee, et al. "Knowledge Modeling Guideline for Reentrant Features in SAG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cience (ITCS 2012). Porto, pp. 76-8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