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기 지연시간을 고려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연간용량 산정

Estimation of Annual Runway Capacity for Jeju International Airport Considering Aircraft Delays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3 no.2, 2015년, pp.214 - 222  

박지숙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  윤석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  이영종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  백호종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계속되는 항공수요 증가와 국지적인 기상요인으로 제주국제공항은 우리나라 공항가운데 가장 높은 항공기 지연율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항공수요 증가추세를 감안할 때 이러한 제주국제공항의 항공기 지연현상은 앞으로 더욱 악화되어 공항의 처리능력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공항의 처리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활주로의 연간용량 산정은 장래 공항계획 수립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다. 하지만 현재 실무에서는 FAA에서 제시한 산정식을 적용하여 연간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해석에 따라 상이한 결과값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기의 지연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무적 제약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무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시적 항공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활주로를 이용하는 항공기의 평균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의 일일용량을 분석, 최종적으로 연간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형구축 및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분석과정과 검증결과를 설명하였다. 제주국제공항의 일일용량 및 연간용량 분석 결과, 각각 약 460회, 약 169,000회로 산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eju International Airport has become the most delayed airport in Korea, due to increased demand in air passengers and unexpected local weather condition. Observing the demands continuously grow for a decade, the airport is expected to be saturated in the near future. As a part of effort to prep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검증을 거친 시뮬레이션 모형, TAAM을 활용한 레벨 5 수준의 분석방법을 통해 지연시간을 고려한 제주국제공항의 실용용량을 산정하고자 한다13). 이 때, Branko B.
  • 이러한 실무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시적 항공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항공기의 평균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의 연간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제주국제공항은 교차활주로(07-25, 13-31)로 구성된 2본의 활주로를 운영하고 있지만, 기초자료 분석결과 전체 운항항공기 95% 이상이 07-25 활주로를 이용하여 이·착륙하고 있으며, 특히 전체 항공기의 72%가 활주로 07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기초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국제공항의 대표 활주로 사용방향인 활주로 07만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정상적인 기상여건17) 하에서의 활주로 운영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 따르면, 항공기 운항 수요의 급증은 제주지역 특유의 국지적 기상여건과 맞물려 무엇의 원인이 되고 있는가? 이와 같은 항공기 운항 수요의 급증은 제주지역 특유의 국지적 기상여건과 맞물려 빈번한 항공기 지연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그 결과 제주공항(2012년 기준)은 항공기 운항 지연율 5.6%로 우리나라 공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1).
활주로의 용량 산정은 어떤 면에서 필수적인 작업인가? 공항의 처리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활주로의 용량 산정은 장래 공항계획 수립 뿐 아니라 현 공항시설의 효율적인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작업이다2). 현재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는 FAA의 연간용량 산정방식(FAA(1983))은 수식에 포함된 각 항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지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해석에 따라 상이한 결과 값이 도출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공항의 처리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활주로의 연간 용량 산정에 대하여, 실무에서는 FAA에서 제시한 산정식을 적용하여 연간 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해석에 따라 상이한 결과값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기의 지연이 고려되지 않는 '실무적 제약'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은? 하지만 현재 실무에서는 FAA에서 제시한 산정식을 적용하여 연간용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변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용자의 해석에 따라 상이한 결과값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항공기의 지연이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무적 제약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실무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시적 항공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을 활용하여 활주로를 이용하는 항공기의 평균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의 일일용량을 분석, 최종적으로 연간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형구축 및 검증을 위한 자료수집, 분석과정과 검증결과를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ranko B., Joachim R. D. (2011), Airport Capacity and Demand Calculations by Simulation - The Case of Berlin-Brandenburg International Airport, NETNOMICS, 12(3), 161-181. 

  2. FAA (1983), Airport Capacity and Delay, AC 150/5060-5, 16-17. 

  3. FAA (2002), National Plan of Integrated Airport System (2001-2005), Chapter 2: Condition and Performance. 

  4. Lee K. S., Ko S. H. (2013), A Study on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Capacity Limit Point, Journal of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1(5), 41-63. 

  5. MOLIT (2011), The 4th Airport Master Plan (2011-2015),22-64. 

  6. MOLIT (2012), Guide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AirportCapacity, 2-7. 

  7. Neufville R. D., Odoni A. (2013), Airport Systems: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2nd Edition,McGraw-Hill, Chapter 10: Airfield Capacity. 

  8. Norman J. A., Saleh M., Paul H. W. (2011), Airport Engineering: Planning, Design and Development of 21st Century Airports,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Chapter 15: Airport Modeling and Simulation. 

  9. Polak F. R. (1997), Airport Modelling: Capacity Analysisof Schiphol Airport in 2015, 1st Air Traffic Management R&D Seminar, France. 

  10. Posco Engineering Consortium,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13), Enforcement Design of Airside Facility in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3rd Phase) - Airfield Simulation (인천국제공항 3단계 Airside시설 실시설계용역 - Airfield 시뮬레이션 분석), 75-92. 

  11. Simmons B., Boan L., Massimini P. (2000), Simulation Analysis of Dual CRDA Arrival Streams to Runways 27 and 33L at Boston Logan International Airport, Report MTR 00W0000128. 

  12. Subramanian P. (2002), A Simulation Study to Investigate Runway Capacity Using TAAM, Proceedings of The 2002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2, IEEE, 1235-1243. 

  13.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2), Evaluating Airfield Capacity, ACRP Report 79, Chapter 3: Existing Airfield Capacity Evaluation Tools. 

  14. Airportal System Homepage, http://www.airportal.go.kr, Aviation Statistics, 2014.0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