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체중조절행동 :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nalysi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by Body Image Perception among Korean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Using the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0 no.2, 2015년, pp.141 - 150  

임영숙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나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수빈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소연 (용인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조나스트세렌데지드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혜련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elf perceived body image among women is drawing a lot of attention in Korea due to their unhealthy weight control behavior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body image and dietary behaviors among Korean women, the discrepancy between actual body size and body im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자신을 정상 또는 비만이라고 인식한 경우에 체중조절 행동으로 체중감소를 가장 많이 시도한 연령군은 30~39세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모두 질환 대상자를 제외했음을 고려해 볼 때 젊은 여성이 청소년이나 중년여성보다 저체중을 인식함에도 체중감소를 더 시도한 것은 저체중체형에 대한 호감이 크고 외모 가꾸기를 위한 목적으로 체중조절을 시도한 것으로 보여진다. Kim과 Chang(2009)의 연구에 따르면 전 연령대에서 체중감량은 매우 관심이 많다했으며, 체중감량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외모(52.
  • 건강한 체중조절을 위한 바람직한 영양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연령에 따른 체형인식 실태와 체중조절 행동을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표본조사 자료인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0대부터 40대까지의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체중조절 행동유형을 분석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Set to zero because this parameter is redundant. Model: BMI=(Intercept)+Body image perception+ag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리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는 여고생들에게 어떠한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보고되는가? 체중감소를 위한 다양한 시도는 여대생을 비롯한 젊은 성인 여성뿐 아니라 청소년기 여성들에게서도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Her 등 2003) 대부분의 여성들이 그들의 현재 체형이 적절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체중을 줄여야 한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yu & Park 2002). 여러 소규모 연구에서도 대다수의 청소년과 여대생들이 자신의 체중에 대한 불만족으로 무분별한 체중조절 및 잦은 다이어트를 시도함에 따라 오히려 영양결핍의 위험을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Kim & Kim 2000), 무리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는 여고생들 중에는 빈혈, 골다공증, 월경의 불규칙, 무월경과 섭식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보고되고 있다(Lee등 2005).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무분별한 체중조절로 인한 영양문제는 청소년기뿐 아니라 대학생이 되어서도 지속되며(Kim & Lee 2000),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일수록 체중감량 시도의 비율이 높다는 점(James 2003)을 고려할 때, 체형과 외모에 관심이 높은 청소년기부터 올바른 체형인식과 정상체중의 중요성, 적절한 체중조절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마른 체형이 아름다운 체형이라는 그릇된 인식이 특정 연령이나 성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마른 체형을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어린 시절부터 마른 체형이 아름다운 체형이라는 그릇된 인식이 청소년을 비롯한 젊은 계층에서 만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정 연령이나 성에서 두드러지는데, 특히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며 청소년이나 젊은 여성에 더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 Kang 2007). 젊은 여성들은 마른 체형을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체형이 실제로는 저체중이거나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비만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Chin & Chang 2005) 더 날씬해지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체중조절을 시도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한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은 현대인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알려진 당뇨병, 심근경색, 뇌졸중, 암 등의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기능을 저해하고 합병증들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한 바 있다. 2008년 제 4기 2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1998년도에 26%에서 2008년도 31%로 10년동안 5%나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고, 이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어 건강체중 유지를 통한 건강증진의 중요성이 사회적 관심의 대상으로 대두되고 있고 관련 정책의 수립 또한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Y, Kim HM, Kim KW (2006): A study on weight control,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among high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2): 205-217 

  2. Chin JH, Chang KJ (2005):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 1559-1565 

  3. Cho YJ (2003): The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omatotype of university woman students. J Korean Home Econ Assoc 41(11): 73-80 

  4. Choi IS, Ro HK (2010): A comparison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of Gwangju and Jeonnam in terms of dietary behavior, body perception and weight control concerns according to BM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 383-391 

  5. Chung SK (2001): Weight control practices and body ima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18(3): 163-175 

  6. Her ES, Kang HJ, Lee KH (2003):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 Based on selfesteem, body-cathexis, attitudes toward the body,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body shape -. Korean J Community Nutr 8(5): 658-666 

  7. Hong EK, Park SB, Shin YS, Park HS (1997): Body image perception and self-reported weight control activities in adolescent girls. J Korean Acad Fam Med 18(7): 714-721 

  8. Hong MS, Pak HO, Sohn CY (2011):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body image recogni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Incheon. Korean J Food Nutr 24(3): 386-395 

  9. Im ES, Myeong SJ, Kang HY (2013): Body image, weight-control self-efficacy, body mass index, and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J Korean Soc School Health 26(3): 195-204 

  10. James DC (2003): Gender differences in body mass index and weight loss strategies among african americans. J Am Diet Assoc 103(10): 1360-1362 

  11. Janssen I, Katzmarzyk PT, Ross R (2002):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health risk: evidence in support of current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guidelines. Arch Intern Med 162(18): 2074-2079 

  12. Kim BS, Lee YE (2000): The relationship of food behaviors with body image and BMI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Korean J Hum Ecol 9(2): 231-243 

  13. Kim GS, Kang YJ (2007):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 bodyrelated variables,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n eating disorder behavior. J Korean Home Manag Assoc 25(3): 77-87 

  14. Kim MO, Chang U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Korean J Food Nutr 22(1): 110-122 

  15. Kim OS, Kim KH (2000): Weigh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high school and college females. J Korean Acad Adult Nurs 12(3): 396-406 

  16. Kim YK, Shin WS (2008):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Nutr 13(2): 153-163 

  17. Koo JO, Park SY (2011): Analysis of BMI, body composition, weight control, dietary behaviors of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6(4): 454-465 

  18. Lee HJ, Choi MR, Koo JO (2005): A study of body image,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with different BM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6): 805-813 

  19. Lee JS, Ha BJ (2003): A study of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ices in Gyeo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8(2): 171-180 

  20. Lee JS, Yun JW (2003):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2): 295-301 

  21. Lim ET, Kim YN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beverage intak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8(6): 856-866 

  22. Lobstein T, Baur L, Uauy R (2004): Obesity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crisis in public health. J Obes Rev 5(s1): 4-85 

  23. Oh DN, Kim EM, Kim SH (2013): Weight control behaviors and correlates in Korean adolescents. J Korea Contents Assoc 13(3): 218-228 

  24. Ryu HK, Park JA (2002): Perception of body image, eating disorder, eating behavi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3(3): 69-80 

  25. Suh YS, Kang HJ, Chung YJ (2011): Difference in weight control status and eating behavior between dissatisfied and satisfie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ir own body shape. J Korean Soc Food Cult 26(4): 354-363 

  26. Won HS, Han SS, Oh SY, Kim HY, Kim WK, Lee HS, Jang YA, Cho SS, Kim SH (2000): Guidelines of body mass index in Korean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and relationship with physical strength. Korean J Nutr 33(3): 279-288 

  27. Yeon JY, Hong SH, Bae YJ (2012):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 17(5): 543-554 

  28. Yoo WS, Kim YN (2004): A study on eating disorders and it's related factors in high school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 9(3): 274-2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