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활용의 경제성 분석
An Economic Feasibility Study for Construction and Use of Korea Ocean Research St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38 no.1, 2015년, pp.52 - 64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신광섭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  김재곤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정진용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ocean research stations manage the weather and environmental data collected from coastal and ocean areas to provide short-term and long-term ocean forecas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quantify economic benefits of the ocean research stations with sensors to observe phys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반도 주변 해수온 및 해수면 상승 추세는 전 세계평균에 비해 두 배 이상 빠르며[2], 한반도 주변해의 해양산성화, 해양 생태계 변동이 진행되고 있어[4] 국가적으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 예측을 수행하여야 하며 지구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전지구 규모의 모니터링 및 연구 협력에 동참하여야 한다. 둘째, 해양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실시간 해양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수년간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폭풍해일, 너울성 고파, 쓰나미 등의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 운송, 수산업, 해양레저 등 해양활동 빈도 증가로 대규모 해양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 그러나 도로, 철도 등 경제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진 분야에서의 투자와 달리 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운영은 공공재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경제적 편익 분석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행된 해외 선진 해양과학기지 경제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데이터를 활용한 경제적 편익 분석을 실시하였다.
  • 기존 연구들은 주로 해양과학기지 건설 및 운영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정성적 분석을 통해 주관적으로 기술하는 측면이 있으며, 관련된 분야에서의 간접적 영향 및 파급 효과, 해양과학기지 건설에 따른 산업 및 국가 전체에의 영향을 더욱 세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운영에 의한 이익을 경제적 편익 분석과 산업연관분석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운영에 따른 직접적 경제적 편익뿐만 아니라 거시적 측면에서 산업 전반에의 파급효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 해양과학기지의 구축 및 운영에 따라 경제적 편익이 발생 가능한 분야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분야 중 국내 상황에 맞는 분야를 선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해상 조난사고 예방 및 대응, 해양오염사고 예방 및 대응, 황사 피해 감소, 항만 대기/지체 감소, 자연 재난 피해 및 복구비용, 어업생산성 향상을 고려하였다. 이중 해양오염사고, 황사피해, 항만 대기/지체, 어업생산성은 직접적 영향을 받는 분야로, 해상 조난사고 및 자연 재난 피해는 간접적 영향을 받는 분야로 가정하였다.
  • 해양과학기지의 구축과 운영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최초 해양과학기지를 구축하는 데 따른 파급효과와 이후 해양과학기지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해당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해양과학기지의 구축에 따라 관련 분야에 1%의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해양과학기지의 성공적 구축에 따라 관련 분야에 1%의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가정하되, 직접적 영향의 경우 1%, 간접적 영향의 경우 0.1%의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보수적 평가를 위하여 가급적 보수적 추정치를 활용하였으며, 2012년 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2년 기준 원화 가치로 연간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본 사업을 통해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산업의 최종수요 증가를 [Table 14]와 같이 가정하였다. 관련 산업의 최종수요증가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으므로 매우 보수적으로 설정하였다.
  • 관련 산업의 최종수요증가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으므로 매우 보수적으로 설정하였다. 수산물, 수상 및 항공운수, 연구기관은 본 사업의 수행 공간인 바다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므로 본 사업을 통해 많은 편익을 얻을 수 있어 0.1%의 최종수요 증가를 가정하였으며, 공공행정 및 국방과 의료 및 보건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관련성을 가지므로 0.01%의 최종수요 증가를 가정하였다. [Table 14]에서 최종수요의 값은 국산 및 수입을 모두 합친 총 거래표 값 기준이며, 최종수요(외생적 투입) 증가액의 총합은 702.
  • 7억 원 수준이다. 위에 언급된 5개 이외의 73개의 산업부문은 본 사업과 직접적 관련성이 미미하므로 최종수요 증가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 즉, 본 사업의 효과로 경제적 편익이 예상되는 산업에 대해 최종수요가 증가한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산업연관분석에서 일종의 공공투자 사업에 의한 외생적인 수요창출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본 사업이 계획대로 성공적으로 수행된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졌다.
  • 해양과학기지의 구축 및 운영에 따라 경제적 편익이 발생 가능한 분야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분야 중 국내 상황에 맞는 분야를 선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해상 조난사고 예방 및 대응, 해양오염사고 예방 및 대응, 황사 피해 감소, 항만 대기/지체 감소, 자연 재난 피해 및 복구비용, 어업생산성 향상을 고려하였다. 이중 해양오염사고, 황사피해, 항만 대기/지체, 어업생산성은 직접적 영향을 받는 분야로, 해상 조난사고 및 자연 재난 피해는 간접적 영향을 받는 분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합해양과학기지 구축 및 활용 연구 사업 시행 전에 경제성평가를 통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증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예산의 항목별 비중은 과학기지 구축비 75%, 관측장비 구입 및 제작 10%, 기지 현장 관측 및 연구비 15%, 연구선 임차 5%이며, 2015년부터 2018년까지는 차기 해양과학기지 구축비가 예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2019년부터 2년간은 완공된 해양과학기지의 안정화와 기구축된 해양과학기지들을 활용한 연구에 예산이 소요된다. 본 사업은 100% 국가예산으로 수행되는 사업이므로 국가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 사업 시행 전에 경제성평가를 통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 경제성 평가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경제적 편익분석, 산업 연관분석, 가상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등이 있다.
해양과학기지란 무엇인가? 해양과학기지는 최첨단 해양, 기상, 환경 관측체계를 갖추고, 해양 및 기상예보, 어장예보, 지구환경문제 및 해상교통안전, 연안재해방지와 기후변화예측에 필요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 제공할 수 있도록 건설된 최첨단 종합 해양연구 인프라를 의미한다[12]. 2014년 현재 이어도와 가거초에 해양과학기지가 구축되어 있으며, 서해와 동해에 추가 해양과학기지가 구축될 예정이다.
해양과학기지의 구축 및 운영, 그리고 활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해양과학기지의 구축 및 운영, 그리고 활용이 필요한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이다. 첫째, 세계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 해에 대한 해양 관측 및 연구의 필요성 때문이다. 한반도 주변 해수온 및 해수면 상승 추세는 전 세계평균에 비해 두 배 이상 빠르며[2], 한반도 주변해의 해양산성화, 해양 생태계 변동이 진행되고 있어[4] 국가적으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 예측을 수행하여야 하며 지구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전지구 규모의 모니터링 및 연구 협력에 동참하여야 한다. 둘째, 해양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실시간 해양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수년간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폭풍해일, 너울성 고파, 쓰나미 등의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양 운송, 수산업, 해양레저 등 해양활동 빈도 증가로 대규모 해양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셋째, 주변국으로부터의 월경 오염물질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 및 일본으로부터의 오염물질 국내 유입 위험성 증가에 따른 오염물질 해상 모니터링 필요성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중국발 황사, 미세먼지, 그리고 오존, 블랙카본 등 오염기체의 양과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양자강 저염수 및 오염수의 서해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8]. 또한 동일본해의 방사성 오염에 따른 방사능물질의 한반도 해역 유입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해양과학기지의 적극적 활용을 통한 국내산업 경제적 이익 증대의 필요성 때문이다. 해양과학기지 관측 데이터는 어업, 해양운송, 해상 레져 등의 산업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국방, 의료, 미용, 에너지 등의 산업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dams, R., Brown, M., Colgan, C., Flemming, N., Kite-Powell, H., McCarl, B., Mjelde, J., Solow, A., Teisberg, T., and Weiher, R., The Economics of Sustained Ocean Observation : Benefits and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and Office of Naval Research, Washington, DC, 2000. 

  2. Cho, K.-W., National Assessment on Sea Level Rise Impact of Korean Coast in the Socioeconomic Contex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1. 

  3. Dumas, C.F. and Whitehead, J.C., The Potential Economic Benefits of Integrated Sustainable Ocean Observation Systems : The Southeast Atlantic Ocean. Coastal Management Journal, 2008, Vol. 36, No. 2, pp. 146-164. 

  4. Gim, B.-M., Choi, T.S., Lee, J.-S, Park, Y.-G., Kang, S-G., and Jeon, E.-C., Effect Assessment and Derivation of Ecological Effect Guideline on $CO_2$ -Induced Acidification for Marine Organis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2014, Vol. 17, No. 2, pp. 153-165. 

  5. Kaiser M.J. and Pulsipher, A.G., The Potential Value of Improved Ocean Observation Systems in the Gulf of Mexico. Marine Policy, 2004, Vol. 28, No. 6, pp. 469-489. 

  6. Kite-Powell, H.L., Economic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Ocean Observing Systems. Oceanography, 2009, Vol. 22, No. 2, pp. 44-49. 

  7. Kite-Powell, H.L. and Colgan, C., The Potential Economic Benefits of Coastal Ocean Observing Systems : The Gulf of Main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Office of Naval Research and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Washington, 2001. 

  8. Lee, D.-I. and Kim, J.-K., Numerical Simulation of Residual Currents and Low Salinity Dispersions by Changjiang Discharge i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2007, Vol. 10, No. 3, pp. 67-85. 

  9. Lee, J.-H. and Noh, Y.-H., A Note on the Economic Rationa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Operational Oceanographic System. Ocean and Polar Research, 2010, Vol. 32, No. 3, pp. 255-265. 

  10. Park, B.-I., Bae, J.-W., and Park, S.-J., Evaluating the Levels of Port Services by the Average Waiting Cost of Ships.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2009, Vol. 25, No. 4, pp. 185-205. 

  11. Shin, Y.-C., Socioeconomic Effects and Damage Costs of Yellow Dus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006, Vol. 35, No. 4, pp. 26-30. 

  12. Shim, J.S. and Chun, I.,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eodo Ocean Research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4, Vol. 52, No. 4, pp. 28-36. 

  13. Stel, J.H. and Mannix, B.F., A Benefit-Cost Analysis of a Regional Global Ocean Observing System : Seawatch Europe. Marine Policy, 1996, Vol. 20, No. 5, pp. 357-3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