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다공증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 및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8~2011년) 활용

Gender Difference in Osteoporosis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293 - 305  

김윤미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환 (을지병원 가정의학과) ,  조동숙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ssess and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Methods: Data for 3,071 men and 3,635 women ($age{\qeq}50$)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중에서 골밀도 검사와 관련 설문조사가 이루어진 2008~2011년 자료를 통합하여 우리나라 50세 이상 남성과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과 유병자가 자신의 골다공증을 인식하는 인지율 그리고 현재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치료율 및 각 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중재전략과 관련 정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50대 이상 남성과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과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차 분석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의 골다공증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과 영향요인을 성별로 비교 분석한 첫 번째 연구로 그동안 연구가 부족하였던 남성 골다공증을 심층분석하여 1차, 2차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될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2차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어서 골다공증과 관련된 동반 질환과 투약 약품의 종류와 투약기간 등에 관하여 자세한 정보를 얻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빠르게 진행되는 우리나라 인구고령화와 더불어 노령인구가 취약한 골다공증을 앓는 환자와 의료비 등 사회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노년기 남녀 인구의 사회 인구학적, 건강행위 및 개인적 측면에서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요인과 인지율, 치료율을 파악하여 골다공증 발생을 예방하고, 조기 발견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따라서, 대상자의 성별 차이와 위험요인별 특성에 적합한 골다공증 1차, 2차 예방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면 그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민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 인지율, 치료율과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질환으로, 골 강도가 약화되어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질환이다[1,2]. 골다공증은 50세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급속하게 증가하지만 골절을 야기하기 전까지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어서 ‘조용한 도둑’이라고도 한다[1].
골밀도는 어떠한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골밀도는 연령, 성, 인종, 초경나이, 체형, 가족력과 같은 유전적 요인과 더불어 음주, 흡연, 운동, 식이 및 약물복용 등의 생활습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4]. 우리나라 성인은 20~29세에 대퇴경부 골밀도가 최고치에 이르는데, 여성은 남성보다 최고골밀도 자체가 낮고 폐경 이후 에스트로젠 감소로 골소실량이 많아지는 등의 이유로 노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이 남성보다 약 2.
성별에 따른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환자의 사망률은 어떠한가? 즉, 남성 골다공증 발생요인의 약 절반은 음주, 글루코코티코이드의 장기 사용 등에 의한 이차 성 골다공증으로 여성과 차이가 있으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에 여성보다 취약한 특성이 있어서 골다공증 관련 골절환자의 30%정도가 남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8]. 골다공증으로 인한 대퇴골절 환자의 20~30%가 1년 이내에 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하는데[10], 1년 이내 사망률이 여성은 17%인데 비해 남성이 30%로 여성보다 월등하게 높으며, 골절 1년 이후 사망률도 남성이 더 높다고 한다[11]. 의료 기관에서 골다공증 검진을 받는 비율에서도 여성 골다공증 환자의 수검률이 60%인 반면 남성 골다공증 환자는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eport of a WHO Study Group.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1994;843:1-129. 

  2.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JAMA: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5(6):785-795. 

  3. WHO Scientific Group on the Burden of Musculoskeletal Conditions at the Start of the New Millennium. The burden of musculoskeletal conditions at the start of the new millennium.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2003;919:i-x, 1-218. 

  4. Oh HJ.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life cycle osteoporosis health care.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5. Cawthon PM. Gender differences in osteoporosis and fractures.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011;469(7):1900-1905. http://dx.doi.org/10.1007/s11999-011-1780-7 

  6. Lips P, van Schoor NM.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5;16(5):447-455. http://dx.doi.org/10.1007/s00198-004-1762-7 

  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 dramatic increase of elderly osteoporotic patients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3 February 22].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 HIRAA02004100000&cmsurl/cms/notice/02/1316013_13390. html&subject. 

  8. Alswat K, Adler SM. Gender differences in osteoporosis screening: Retrospective analysis. Archives of Osteoporosis. 2012;7(1-2):311-313. http://dx.doi.org/10.1007/s11657-012-0113-0 

  9. Park EJ, Joo IW, Jang MJ, Kim YT, Oh K, Oh HJ.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Yonsei Medical Journal. 2014;55(4):1049-1057. http://dx.doi.org/10.3349/ymj.2014.55.4.1049 

  10. Lee SR, Kim SR, Chung KH, Ko DO, Cho SH, Ha YC, et al. Mortality and activity after hip fracture: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2005;40(4):423-427. 

  11. Hawkes WG, Wehren L, Orwig D, Hebel JR, Magaziner J. Gender differences in functioning after hip fractur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6;61(5):495-499. 

  12. Lee K. Evidence-based management for osteoporosi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3):294-302. http://dx.doi.org/10.5124/jkma.2011.54.3.294 

  13. Kweon S, Kim Y, Jang MJ, Kim Y, Kim K, Choi S, et al.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14;43(1):69-77. http://dx.doi.org/10.1093/ije/dyt228 

  14. Kim KH, Lee K, Ko YJ, Kim SJ, Oh SI, Durrance DY, et al.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ong Korean wome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one. 2012;50(5):1039-1047. http://dx.doi.org/10.1016/j.bone.2012.02.007 

  15. Kim JY, Kim SH, Cho YJ. Socioeconomic status in associ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3;34(2):131-138. http://dx.doi.org/10.4082/kjfm.2013.34.2.131 

  16.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and long forms [Internet]. Huddinge, SE: Author; 2005 [cited 2014 June 20]. Available from: https://sites.google.com/site/ theipaq/scoring-protocol/scoring_protocol.pdf. 

  1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Author; 2010.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Paper presented at: The 5th Data Analysis Conference; 2014 July 2; aT Center Conference Room (L). Seoul. 

  19. Lee J, Lee S, Jang S, Ryu OH.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3;28(3):180-191. http://dx.doi.org/10.3803/EnM.2013.28.3.180 

  20. Cosman F, de Beur SJ, LeBoff MS, Lewiecki EM, Tanner B, Randall S, et al.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14;25(10):2359-2381. http://dx.doi.org/10.1007/s00198-014-2794-2 

  21. Kao CH, Chen CC, Wang SJ. Normal data for lumbar spine bone mineral content in healthy elderly Chinese: Influences of sex, age, obesity and ethnicity. Nuclear Medicine Communications. 1994;15(11):916-920. 

  22. Russell-Aulet M, Wang J, Thornton JC, Colt EW, Pierson RN, Jr. Bone mineral density and mass in a cross-sectional study of white and Asian women.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993;8(5):575-582. http://dx.doi.org/10.1002/jbmr.5650080508 

  23. Haaland DA, Cohen DR, Kennedy CC, Khalidi NA, Adachi JD, Papaioannou A. Closing the osteoporosis care gap: Increased osteoporosis awareness among geriatrics and rehabilitation teams. BMC Geriatrics. 2009;9:28. http://dx.doi.org/10.1186/1471-2318-9-28 

  24. Seo SY, Lee JS. Influence of knowled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industrial worke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2;19(3):340-349. http://dx.doi.org/10.5953/JMJH.2012.19.3.340 

  25. Jennings LA, Auerbach AD, Maselli J, Pekow PS, Lindenauer PK, Lee SJ. Missed opportunities for osteoporosis treatment in patients hospitalized for hip fra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0;58(4):650-657.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2769.x 

  26. Kiebzak GM, Beinart GA, Perser K, Ambrose CG, Siff SJ, Heggeness MH. Undertreatment of osteoporosis in men with hip fractur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2;162(19):2217-2222. 

  27. Majumdar SR, Beaupre LA, Harley CH, Hanley DA, Lier DA, Juby AG, et al. Use of a case manager to improve osteoporosis treatment after hip fracture: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7;167(19):2110-2115. http://dx.doi.org/10.1001/archinte.167.19.2110 

  28. Song MS, Yoo YK, Choi CH, Kim NC. Effects of Nordic walking on body composition, muscle strength, and lipid profile in elderly women. Asian Nursing Research. 2013;7(1):1-7. http://dx.doi.org/10.1016/j.anr.2012.11.001 

  29. Yoo YW, Lee E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ompliance level with therapeutic regimen after the bone mineral densitomet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1):63-71. 

  30. Lee HY, Kim SY. The effect of education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patients with bone frac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2):194-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