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을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Association with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hildcare Facilities and Hom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2, 2015년, pp.372 - 385  

조채영 (동의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지현 (부산진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한진숙 (동의과학대학교 식품과학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association with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hildcare facilities and home in order to provide nutritional knowledge and change food attitudes in children. The program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유아교육기관, 가정에서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센터 · 시설 · 가정 연계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교육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센터 · 시설 · 가정 연계 영양교육 프로그램모델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 또한 교육내용이 일관성이 있고, 일상생활 내에서 구체적인 본보기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육에 전문성을 갖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영양사들이 학부모와 시설장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하여 동일 교육 주제에 대한 교구, 교재 및 활동지를 개발하여 센터의 방문교육, 가정 활동지 교육과 시설의 자체 반복교육을 통하여 유아들이 생활하는 모든 환경에서 일관된 교육내용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유아의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의 유아 급식시설의 급식에 대한 관심도는 Table 2와 같다. 센터에서는 유아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하여 유아 대상 교육의 진행과 더불어 매월 식단과 가정통신문을 시설에 제공하고 있으며, 이 정보가 가정에 전달되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하여 학부모들의 시설 급식에 대한 관심과 인식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자녀가 등원하는 시설의 급식실 방문 여부는 사전 · 사후에 각각 26.
  •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유아교육기관, 가정을 연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유아의 올바른 영양 · 위생 지식의 습득 및 식태도 변화와 유아대상의 교육으로 인한 학부모의 식생활 지도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교육이란 무엇인가? 영양교육은 영양과 식생활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교육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기 영양 교육의 목적은 영양에 대한 개념과 지식을 습득하고, 음식에 대한 태도, 식사예절과 위생 등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유아의 현재와 미래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있다(Cho & Lee 2005).
유아기의 영양 상태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따라서 동양의학에서는 ‘약식동원’이라 하여 음식을 약이라 생각하며, 식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Kim SB 2013). 유아기는 인간의 생애발달 주기 중 어느 시기보다 급속한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Chang et al 2008), 유아기의 영양 상태는 유아의 신체, 뇌, 인지, 사회 및 정서 발달을 이룰 수 있는 기초가 될 뿐 아니라, 평생의 건강과 질에도 큰 영향을 준다(Stang & Bayerl 2003). 따라서 유아기에는 적절한 영양 공급이 필수적이다.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에게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는 무엇인가? 한편, 유치원 교사 및 어린이집 교사는 유아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영양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으로 영양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 내용의 전문성 확보가 어려워 교육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갖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방안으로 보건소나 보육정보센터 등과 같은 보다 전문적인 외부기관으로부터 교육지원을 받는 경우가 있으나(ShinDJ 1997; Park & Lee 2000; Choi KS 2010; Hong et al 2010),보건소 영양사가 유아교육기관에 일시적으로 방문하여 진행되는 현재의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일상생활과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영양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ang HJ, Park YJ, Ko ES (2008) Current and future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in child-cate centers. J Korean Diet Assoc 14: 229-242. 

  2. Chang SY (200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pp 5-20. 

  3. Cho KJ, Lee HS (2005) Early Childhood Health Education. Hakjisa, Korea, pp 45-58. 

  4. Choi KS (2010)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education needs among child-care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 137-148. 

  5. Colemen G, Horodynski MA, Contreras D, Hoerr SM (2005)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toddlers(NEAT) curriculum. J of Nutr Edu and Behavior 37: 96-97. 

  6. Hong YH (2013) Development of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its effect focusing on cooking activities-focusing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s. Ph D Thesis Paichai University, Daejeon, pp10-53. 

  7. Hong MA, Choi MS, Han YH, Hyun TS (2010) Effect of nutri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Korean J Community Nutr 15: 593-602. 

  8. Hong ME (2009) Effec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nd the parents' dietary attitudes.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pp 11-17. 

  9. Jang SY (200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pp2-3. 

  10. Kang HJ, Kim KM, Kim KI, Ryu ES (2001)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in kindergarten. J Korean Nutr Soc 34: 230-240. 

  11. Kim EJ (2007)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 of young childre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pp 58-63. 

  12. Kim EY (2002) A study of the berkeley food systems project. J Korean Soc Eco Eearly Childhood Edu 1: 75-101. 

  13. Kim HS (2004) The influence of story and cooking activity on the solution to an unbalanced diet of preschool children. MS Thesis Woosuk University, Wanju, pp.18-50. 

  14. Kim HY, Seo MH, Lee YS, Kim IO, Kreisel K (2003) A study of health and nutrition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olicy Report 2003-42, pp 1-16. 

  15. Kim JA (2010) The effects of the home connected nutrient educational program on the knowledge in nutrients and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pp 16-17. 

  16. Kim SB (2013) The Story of Korean Food Culture. Bookmarujigi, Korea, pp 32-36. 

  17. Ku PJ, Lee KA (2000) A survey on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knowledg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utritional education. J Korean Soc Food Culture 15: 201-213. 

  18. Lee JH, Kang EJ, Kim CI (2011)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nutritional problems and food intakes,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realities of nutrition education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 teachers. Korean J Community Nutr 16: 636-646. 

  19. Lee JH, Kim CI (2006) Effect of mothers' wean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food habits and development. Korean J Community Nutr 11: 551-561. 

  20. Lee KW, Man HW, Myung CO, Park YS (2005) Nutrition knowledge and guidance activities during meal time of day care center teacher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5: 623-631.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Annual Re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p 21-27.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http://www.mfds.go.kr/index.do?x38 Accessed November 2, 2014. 

  23. Mo SM, Woo MK (1984) Dietary behaviors of young children in day care center regarding the family and dietary environments. J Korean Home Econ Assoc 22: 51-62. 

  24. Oh YJ, Chang YK (2006) Children's unbalanced diet and parent's attitudes. Korean J Nutr 39: 184-191. 

  25. Park GA, Lee JH (2000)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nutrition for infants, toddlers & young children.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5: 51-65. 

  26. Park JS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onnected with families and communities. Ph D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6-38. 

  27. Shin DJ (1997) Preschool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ttitude to nutri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nutrition knowledge-centered on the Kyongnam area. Korean J Food & Nutr 10: 219-227. 

  28. Shin EK, Lee YK (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belief model 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ay care center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1: 488-501. 

  29. Sin EK, Lee YK (2005)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Culture 20: 1-14. 

  30. Song MY (2005) A study of differences in early-childhood daily life between parent and child generation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pp. 52-56. 

  31. Stang J, Bayerl CT (2003)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Child and adolescent food and nutrition program. J American Diet Assoc 103: 887-893. 

  32. Yang IS, Gwak DK, Han KS, Kim EK (1993) Needs assessment: Nutrition education & training program for day care children. J Korean Soc Food Culture 8: 103-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