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워킹 훈련방법에 따른 복부 중심근육 활성도와 근 두께 변화 비교
Comparison of Core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According to Walking Training Method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9 no.4, 2015년, pp.301 - 308  

이현주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영태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성주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민석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신회 (건양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태기식 (건양대학교 의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복부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을 2주간 집중 시행한 후, 복부중심 근육(배속빗근, 배바깥빗근, 배가로근)의 활성도 및 두께, 그리고 복부 피하지방의 두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를 이용한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의 근활성값은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군 모두에서 훈련 후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노르딕 워킹 훈련군의 경우 파워 워킹 훈련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근활성도의 변화를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배가로근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의 두께는 노르딕 워킹 훈련군과 파워 워킹 훈련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군간 변화 차이는 없었다. 노르딕 워킹은 스틱을 이용하여 균형 안정감을 제공하며 상지와 하지의 큰 움직임을 통해 복부 안정화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훈련방법으로써 다양한 재활운동의 형태로 적용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re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in the abdomen (internal Oblique, IO; External Oblique, EO; Transverse Abdominis, TrA) according to walking training methods. Tests were performed on 20 healthy men who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divided by Nordic wal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상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노르딕 워킹 훈련군과 파워 워킹 훈련군으로 나누어 2주간의 훈련을 실시하고 복부 중심근육의 활성화와 근 두께, 그리고 피하지방층 두께를 비교하고 군간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노르딕 워킹과 파워 워킹으로 2주간의 훈련을 통해 체간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심근육의 근활성도와 근 두께의 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자 하였다.
  • D시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 전 참가자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실험절차와 실험기간, 실험방법에 따른 주의점에 대해서 충분한 설명을 한 후,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들에 대해 참여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조건은 20대 성인 남성, 요통 및 척추 관련 질환이 없는 자, 최근 6개월 이내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에 상해를 입지 않은 자, 신체 비정상적인 정렬(alignment)이 있는 자, 노르딕 워킹을 경험해보지 않은 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과거 또는 현재 근골격계 또는 신경 및 심폐계에 질환이 있는 자, 인지능력에 장애가 있는 자, 최근 통증의 경감을 위한 치료나 어떤 약물을 주기적으로 복용하고 있는 자는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간의 불안정성은 무엇을 유발하는가? 체간의 불안정성은 척추만곡을 변형시켜 목이 앞으로 기우는 거북목(turtle neck), 등뼈의 굽은등(swayback), 허리의 과도한 앞굽움증(lordosis) 또는 매우 심한 옆굽음증(scoliosis)을 유발한다[1]. 어깨 형태의 변형으로 인한 안정성 저하로 효과적인 호흡운동의 감소, 어깨뼈의 들뜸(winging scapula), 허리뼈에 대한 과도한 부하 증가, 하지의 정렬 이상, 골반의 변형 등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2].
표면근전도의 잡음 제거를 위해 사용한 주파수 대역폭은? 무선 전송 된 디지털 신호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Delsys EMG Works Acquistion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료를 수집 처리하였다. 근전도 신호의 표본 추출률(sampling rate)은 1,000 ㎐로 설정하였고, 근전도의 잡음 제거를 위한 주파수 대역폭(bandwidth)은 20㎐∼450㎐를 사용하였다. 측정 시간은 5초 동안 측정하여 기록된 근전도 신호에서 처음과 마지막 1초를 제외한 중간 3초 신호를 수집하였다.
대표적인 중심근육으로는 무엇이 있나? 체간 안정성(trunk stability) 역할을 하는 중심근육(core muscles)은 움직임을 위해 체간의 중심을 잡아주고 근골격계 구조를 적절히 유지시켜 주며, 자세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코르셋 근육(corset muscle)이라고도 불리운다[3-6]. 대표적인 중심근육으로는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배복사근(Obilique abdominis), 부척추근(Paraspinalis), 엉덩근(Gluteus), 뭇갈래근(Multifidus), 골반바닥근(Pelvic floor)과 엉덩관절 주변 근육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간 안정화와 자세조절에 관여하여 균형과 보행에 영향을 미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 Luciano Rde, E. B. Puertas, D. E. Martins, F. Faloppa, D. Del Curto, L. M. Rodrigues, B. Schmidt, A. S. Oliveira, and M. Wajchenberg,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without limb weaknes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coremyopathy?", BMC Musculoskelet Disord, vol. 5, no. 15, pp. 179, 2015. 

  2. F.P. Kendall, E.K. McCreary, P.G. Provance, M.M. Rodgers, and W.A. Romani, "Muscles: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Lippincott Williams&Wilkins, 5th ed., 2005. 

  3. C. Kisner, and L.A. Colby,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2nd ed., F.A. Davis Company, 1996. 

  4. P.W. Marshall, and B.A. Murphy, "Core Stability Exercises On and Off a Swiss Ball", Arch. Phys. Med. Rehabil., vol. 86, pp. 242-249, 2005. 

  5. V. Akuthota, and S.F. Nadler,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vol. 85, no. 1, pp. 86-92, 2004. 

  6. C. Richardson, H. Paul, and J. Hides, "Therapeutic exercise for lumbopelvic stabilization", Churchill livingstone, 2nd ed., 2005. 

  7. G. Verhryden, L. Vereeck, and S. Truijen,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vol. 20, pp. 451-458, 2006. 

  8. R.P. Hubble, G.A. Naughton, P.A. Silburn, and M.H. Cole, "Trunk muscle exercises as a means of improving postural stability in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a protocol fo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vol. 4, no. 12, pp. 1-9, 2014. 

  9. W. McNeil, "Core stability is a subset of motor control", J. bodyw. Mov. Ther., vol. 14, no. 1, pp. 80-83, 2010. 

  10. B, Zazulak, J, Cholewicki, and N.P. Reeves, "Neuromuscular control of trunk stability: clinical implications for sports injury prevention", J. Am. Acad. Orthop. Surg., vol. 16, no. 9, pp. 497-505, 2008. 

  11. Z. Turk, S. Vidensek, and D. Micetic Turk, "Nordic Walking: a new form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Acta. Med. Croatica., vol. 61, no. 1, pp. 33-36, 2008. 

  12. 성기홍, "파워 워킹", 서울, 21세기북스, 2004. 

  13. S.K. Park, D.J. Yang, Y.H. Kang, J.H. Kim, and Y.S. Lee, "Effects of Nordic walking and walking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and ground reaction force", J. Phys. Ther. Sci., vol. 27, no. 9, pp. 2891-2893, 2015. 

  14. L. Cugusi, P. Solla, R. Serpe, T. Carzedda, L. Piras, M. Oggianu, S. Gabba, A. Blasio, M. Bergamin, A. Cannas, F. Marrosu, and G. Mercuro, "Effects of nordic walking program on motor and non-motor symptoms, function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uroRehabilitation, 2015. 

  15. J. Freiwald, C. Baumgart, and P. Konrad, "Introduction to Electromyography", Balingen, Spitta Verlag, 2007. 

  16. J.R. Cram, G.S. Kasman, and J. Holtz,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Aspen Pub., 1998. 

  17. A.E. Perotto, "Anatomical Guide for the Electromyographer: The Limbs and Trunk", 3th ed., Illinois: Thomas Books, 1996. 

  18. G.O. Lee, "Walking", Daekyung Books Press, 2006. 

  19. M.L. Keast, "Nordic walking: Introduction an new low-impact exercise system for cardiac rehabilitation patients", Minto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center, university of ottawa heart institute, pp. 13-14. 2009. 

  20. H.S. Park, S.N. Lee, D.H. Sung, H.S. Choi, T.D. Kwon, and G.D. Park, "The Effect of Power Nordic Walking on Spine Deformation and Visual Analog Pain Scale in Elderly Women with Low Back Pain", J. Phys. Ther. Sci., vol. 26, no. 11, pp. 1809-1812, 2014. 

  21. K. Piotr, and W. Malgorzata, "Nordic Walkin g-a new form of exercise in rehabilitation", Medical Rehabilitation, vol. 10, no. 2, pp. 1-8, 2006. 

  22. J. E. Song, "The effect of 12 weeks Nordic walking on the gait capacity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elderly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