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소 모델의 사회적 구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소집단 활동 특징 탐색
Exploring Small Group Features of the Social-Construction Process of Scientific Model in a Combustion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2, 2015년, pp.217 - 229  

심영숙 (서울교육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최승언 (서울대학교) ,  김희백 (서울대학교) ,  유준희 (서울대학교) ,  박현주 (조선대학교) ,  김혜영 (조선대학교) ,  박경미 (서울사대부설중학교) ,  장신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소 모델의 사회적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집단 활동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8개의 소집단으로 나누고, 각 소집단이 3차례의 논의를 통해 연소에 관한 모델 구성을 하도록 MIS과정에 따라 2차시로 수업을 구성하였다. 수업 내용 및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담화 내용은 비디오 촬영 및 녹음을 한 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집단별 모델 생성에서 협력 유형은 비협동형인 나열형과 의존형, 협동형이 있었으며, 모델 생성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2개의 소집단을 제외한 6개의 소집단이 협동형으로 발달하였다. 또한 연소에 관한 모델의 발달을 살펴본 결과, 플로지스톤설에서 산소설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과학자들의 사고와 비슷한 사고 발달이 보였으며, 이를 통해 연소현상에 대한 이해가 발전되고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모델로 발전하는 것이 나타났다. 협동형 소집단 중 구성원간의 존중, 리더의 민주적인 태도가 높을수록 목표 모델 도달 횟수가 높았다. 또한 성공적인 모델 생성을 위해서는 구성한 모델에 대한 소집단 내, 소집단 간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며, 교사의 도움을 모델 수정과 평가에 활용할 줄 아는 능력 또한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 모델의 사회적 구성 과정이 학생들의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과학 탐구의 한 방법으로서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모델링 수업 중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model through the social-construction process on "combustion." Students were 8th graders from one middle school class. Each student engaged in small group discussions three times and made a group model on combustion. Discourses between peer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은 무엇인가? 과학은 지식을 생산하는 과정이며, 과학의 주된 목적은 자연세계에서 관찰된 현상들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Science for All Americans; Rutherford & Ahlgren, 1991). 지식을 생성한다는 것은 제기된 문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고안하는 것을 의미(Anderson & Biddle, 1991)하며, 과학지식을 생성한다는 것은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형태의 지식을 고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Kwon et al.
과학지식을 생성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은 지식을 생산하는 과정이며, 과학의 주된 목적은 자연세계에서 관찰된 현상들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이다(Science for All Americans; Rutherford & Ahlgren, 1991). 지식을 생성한다는 것은 제기된 문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고안하는 것을 의미(Anderson & Biddle, 1991)하며, 과학지식을 생성한다는 것은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형태의 지식을 고안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Kwon et al., 2011).
모델링 수업이 과학자 사회처럼 사고의 발달을 경험할 수 있는 탐구 수업으로 가능함을 보여주는 예는 무엇이 있는가? 모델링 수업을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연소 모델은 과학자 사회의 패러다임이 플로지스톤설에서 라부아지에의 산소설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연소에 대한 과학자들의 사고와 비슷하게 발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델링 수업이 과학자 사회처럼 사고의 발달을 경험할 수 있는 탐구 수업으로 가능함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G., Mamlok-Naaman, R., Hofstein, A., ... & Tuan, H. L.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2. Anderson, D., & Biddle, B. J. (1991). Knowledge for policy: Improving education through research. London: Falmer Pr. 

  3. Bae, D. & Yoo, J. (2012).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Progressions for Scientific Modeling Force and Motion, New Physics: Sae Mulli(The Korean Physical Society), 62(8), 809-825. 

  4. Baek, H., Schwarz, C., Chen, J., Hokayem, H., & Zhan, L. (2011). Engaging elementary students in scientific modeling: The MoDeLS fifth-grade approach and findings. In Models and modeling (pp. 195-218). Springer Netherlands. 

  5. Bailer-Jones, D. (2009). Scientific models in philosophy of scienc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 

  6. Bamberger, Y. M., & Davis, E. A. (2013). Middle-school science students' scientific modelling performances across content areas and within a learning prog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2), 213-238. 

  7. Campbell, T., Oh, P. S., & Neilson, D. (2012). Discursive modes and their pedagogical functions in model-based inquiry (MBI)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5), 2393-2419. 

  8. Choi, J., Lee., S., & Kim, H. B. (2014).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Student's Approach to Learning Science and Their Levels of Scientific Knowledge during Small-Group Argumentation. Biology Education, 42(4), 371-385. 

  9. Clement, J. J. (Ed.). (2008). Creative model construction in scientists and students (pp. 33-64). Springer Netherlands. 

  10.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 Shouse, A. W. (Eds.). (2007).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ies Press. 

  11. Ford, M. (2008). Disciplinary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n scientific practice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92(3), 404-423. 

  12. Gilbert, S. W. (1991). Model building and a definition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1), 73-79. 

  13. Gilbert, J. K., Pietrocola, M., Zylbersztajn, A., & Franco, C. (2000). Science and education: Notions of reality, theory and model. In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pp. 19-40). Springer Netherlands. 

  14. Gillies, R. M. (2004).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on teachers' and students' verbal behaviour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3), 257-279. 

  15. Hardwicke, A. J. (1995) Using molecular models to teach chemistry: part 2, using models, School Science Review, 77(279), 47-56. 

  16. Harrison, A. G., & Treagust, D. F. (2000). Learning about atoms, molecules, and chemical bonds: A case study of multiple-model use in grade 11 chemistry. Science Education, 84(3), 352-381. 

  17. Hogan, K. (1999). Sociocognitive roles in science group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8), 855-882. 

  18. Justi, R. S., & Gilbert, J. K. (2002). Science teacher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models and modelling in learning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2), 1273-1292. 

  19. Kang, E., Kim, C. J., Choe, S. U., Yoo, J., Park, H. J., Lee, S., & Kim, H. B. (2012). Small Group Interaction and Norm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for Blood Flow in the Hear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372-397. 

  20. Kang, S., & Noh, T. (2000). Effect of Concept Learning Strategy Emphasizing Social Consensus during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2), 250-251. 

  21. Kim, M. S. (2013). Understanding th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ing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Focusing on situation definition and inter subje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2. Kim, S. (2012).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appeared in development and performance'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clas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3. Kumpulainen, K., & Wray, D. (2012). Classroom interactions and social learning: From theory to practice. Routledge. 

  24. Kwak, Y.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 an school education (II)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ood Science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 Seoul, Korea: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5. Kwon, Y. J., Jeong, J. S., Shin, D., Lee, J. K., Lee, I. S. & Byeon, J. H. (2011). Science-Knowledge Generation and Evaluation. Seoul, Korea: Hakjisa Publishing Company. 

  26. Latour, B. (1990). Drawing things together, In Lynch M., Woolgar S. (Eds.). Representation in scientific practice, 19-68. Cambridge, MA: MIT Press. 

  27. Lee, J., Kim, M., Kim, S. Kim, Y., Song, U., Lee, M., Lee, W., Cho, Y., Jo, Y., Choi, S., & Choi, S. (2008). Cooperative Learning and Research. Seoul, Korea: Kyoukgwahaksa Publishing Company. 

  28. Lee, S., Kim, C. J., Choe, S. U., Yoo, J., Park, H. J., Kang, E., & Kim, H. B.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05-822. 

  29. Lemke, J. L. (2001). Articulating communities: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3), 296-316. 

  30. Lehrer, R., & Schauble, L. (2006). Cultivating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ce education.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371-388. 

  31. Lee, T. H. (2013). Cultural Fea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 Inquiry Pract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 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3. Noh, T., Yun, J., Kang, H., & Kang, S. (2006). A Comparison of Scientists and Students' Responses to Discrepant Event and Alternative Hypothesis i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from the Phlogiston Theory to the Oxygen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798-804. 

  34. Oh, P. S., Lee, S. K., & Kim, C. J. (2007). Case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Sha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4), 297-308. 

  35. Park, Y. S.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401-415. 

  36. Poirier, J. P. (1998). Lavoisier: chemist, biologist, economist.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7. Radinsky, J., Oliva, S., & Alamar, K. (2010). Camila, the earth, and the sun: Constructing an idea as shared intellectual proper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6), 619-642. 

  38. Rutherford, F. J., & Ahlgren, A. (1991).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9.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40. Sfard, A., & McClain, K. (2002). Guest editor's introduction: Analyzing tools: Perspectives on the role of designed artifacts in mathematics learning.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1(2-3), 153-161. 

  41. Stake, R. E. (1978). Cas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Volume I: The Case Reports.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42. Tucker, R., & Reynolds, C. (2006). The impact of teaching models, group structures and assessment modes on cooperative learning in the student design studio. Journal for Education in the Built Environment, 1(2), 39-56. 

  43. Trentin, G. (2000). The Quality-Interactivity Relationship in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1), 17-27. 

  44. Vrasidas, C., & McIsaac, M. S. (1999). Factors influencing interaction in an online cours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3(3), 22-36. 

  45.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Guavain & Cole(Eds.)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books, 34-40. 

  46.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47. Yu, H. W., Cha, H. J., Kim, M. S., Ham, D. C., Kim, H. B., Yoo, J., Park, H. J., Kim, C. J. & Choe, S. U. (2012).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Interacting Role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ocial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Clas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65-2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