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2, 2015년, pp.333 - 342  

김명희 (경북대학교) ,  김영신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 탐구 활동은 학습자들 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방법이다.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한 과학 탐구 활동을 구조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5인 1조 31개 조로 구성된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과학 탐구실험 활동에서 나타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양상을 수치적 특성을 바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영재들의 상호작용 유형은 모두 여덟 가지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많은 상호작용 유형은 전체 31개 조 중 모두 9개 조에서 나타나 29%를 차지한 유형 1로 세 명의 구성원이 상호작용 하는 경우였다. 이들 유형은 다시 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나머지 구성원들이 모두 연결 관계를 형성하는 참여형과 중심적 역할을 하는 구성원이 없이 소외된 구성원이 존재하는 소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참여형은 유형 4, 유형 6, 유형 7, 유형 8로 모두 9개(29%) 조에서, 소외형은 유형 1, 유형 2, 유형 3, 유형 5로 모두 22개(71%) 조에서 나타났다. 즉, 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모든 구성원이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형태보다는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 없이 일부 소외된 구성원이 존재하는 가운데 나머지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활동에 적절한 집단의 크기는 무임승차효과나 소외된 학생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는 3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심 구성원의 유무에 따라서는 있는 경우가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used in a social network activity analysis that appeared in a science inquiry activity of 31 small groups of science-gifted students consisting of 5 members e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nteraction patterns showed eight typ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어디에 초점을 두고있는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과학 개념의 통합적 이해 및 과학 탐구 능력 향상을 목표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소통하여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창의‧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이에 따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은 물론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소집단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어떠한 활동이 강조되고있나?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과학 개념의 통합적 이해 및 과학 탐구 능력 향상을 목표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소통하여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창의‧인성을 갖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이에 따라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은 물론 자신의 의견을 명확히 표현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소집단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과학 탐구 활동이란? 과학 탐구 활동은 소집단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의견 교환과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으로 협력적인 상호작용이 전제되는 학습자 중심의 활동이다. 특히, 탐구 실험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일련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소집단 구성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과학 개념의 이해(Park, Nam, & Yoo, 2000), 과학 탐구 능력(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J., & Ok, S. (2009).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on the metacognition,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519-527. 

  2. Chang, H. (1997). Social network analysis: Historical development, principles and method. Language information, 1, 62-106. 

  3. Choi, M., & Jhun, Y. (2010). Discourse analysis for deriv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1), 369-388. 

  4. Chung, D., & Yoo, D. (2013). A communication structure of science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1), 81-92. 

  5. Emirbayer, M. (1997). Manifesto for a relational sociolog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3, 281-317. 

  6. Fox, R. (1995). Teaching through discussion. In C. Desforges (Ed.), An introduction to teaching: Psychological Perspectives(pp. 132-149). Oxford: Blackwell Publishers Ltd. 

  7. Han, K., Park, H., & Ryu, J. (2011).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jeonnam province -focused on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1), 51-60. 

  8. Hogan, K. (1999). Discourse patterns and collaborative scientific reasoning in peer and teacher-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9. Hwang, H., & Kang, J. (2004). The effects of scaffolding instruction by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on motiv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6(1), 35-49. 

  10. Jhun, Y., & Hwang, H. (2010). Analysis on student-to-student verbal interaction during small group open inquiry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227-246. 

  11. Johnson, D. W., & Johnson, R. T. (1985). Oral interaction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Speaking, listening, and the nature of statements made by high-medium, and low-achieving students. Journal of Psychology, 119(2), 303-321. 

  12. Kang, E., Kim, C., Choe, S., Yoo, J., Park, H., Lee, S., & Kim, H. (2012). Small group interaction and norm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for blood flow in the hear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2), 372-397. 

  13. Kang, S., Kim, C., & Noh, T. (2000).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3), 353-363. 

  14. Kim, H., & Choi, B. (2009).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odel emphasizing discuss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during its implementation in a science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4), 359-372. 

  15. Kim, H., Lee, E., & Kang, S. (2006). Analysis of approachs to learning based on student-student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inquiry experiments using everyday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1), 16-24. 

  16. Kim, J., Seong, S., Park, J., & Choi, B. (2002).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4), 757-767. 

  17. Kim, J., Shin, A., Park, K., & Choi, B. (2001). The effects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and the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s by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5(5), 470-480. 

  18. Krackhardt, D. (1992). The strength of strong ties: The importance of Philos. in organizations. In N. Nohrea & R. G. Eccles (eda.), Networks and organizations: Structure, form and action (pp. 2160239). Massachusetts: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19. Lee, H., Chang, S., Seong, S., Lee, S., Kang, S., & Choi, B. (2002). Analysis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3), 660-670. 

  20. Lee, S., Kim, C., Chor, S., Yoo, J., Park, H., Kang, E., & Kim, H.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805-822. 

  21.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The fu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creative human resources,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y report in 2011. 

  2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Seoul: MEST. 

  23. O'Donnel, A. M., & King, A. (1999). Cognitive perspectives on peer learn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Park, J. & Kim, H. (2012).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analytical framework design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group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4), 604-624. 

  25. Park, J., Nam, J., & Yoo, H. (2000). The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3), 468-478. 

  26. Russell, D. (1993). Vygotsky, Dewey, and Externalism: Beyond the student/discourse dichotomy. Journal of advanced Composition, 13(1), 173-197. 

  27. Savery, R. E., & Duffy, T. M. (2001).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5), 31-38. 

  28. Seong, S. (2005).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9. Seong, S., & Choi, B. (2007).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in a heterogeneous group i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9), 870-880. 

  30. Settlage, J., & Southerland, S. A. (2007). Teaching science to every child: Using culture as a starting point. New York: Routledge. 

  31. Sla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2. Sohn, D. (2010).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Kyungmoonsa. 

  33. Storberg-Waller, J., & Gubbins, C. (2007). Social networks as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ol to understand and "Do" HRD.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9(3), 291-311. 

  34.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5. Yang, I., Jeong, J., Kim, Y., Kim, M., & Cho, H. (2006). Analyses of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y, interaction, and inquiry process within laboratory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5), 509-520. 

  36. Yoo, M. (2012). A case study on the science-gifted students' verbal interaction in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according to grouping method considering MBTI personality typ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4(1), 43-64. 

  37. You, J., & Noh, T. (2012). An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among science-gifted students in inquiry learning based on analogical experimental design strategy emphasizing understanding and checking sta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4), 671-6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