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층구조형 아크릴 점착제의 분자량 및 피착재 종류에 따른 접착특성
Adhesion Properties on the Molecular Weight and Various Substrates of Multi-layered Structural Acrylic Adhesiv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9 no.3, 2015년, pp.514 - 521  

김동복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동차, 건축, 디스플레이 부품 접합 등에 사용되는 다층구조형 양면 점착테이프에 대한 것으로 UV 경화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폼 기재에 용제 건조형 점착제(AD)를 양면에 붙이고 피착제 종류에 따른 박리강도와 전단접착강도를 고찰하였다. AD 종류와 기재 조성에 따른 접착력 변화 및 피착재로 사용한 플라스틱에 대한 접착력을 고찰한 결과, AD의 분자량(MW)이 증가할수록 박리강도 및 전단접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약 65만 이상의 MW를 가진 AD는 접착력이 감소하는 거동을 보였다. 양면 점착테이프에 사용된 AD층 두께가 얇을수록 온도감소와 함께 높은 물성 값을 보였다. 기재와 AD와의 계면접합 특성은 MW 615000(AD-4)을 사용한 것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MW가 615000보다 낮으면 기재인 아크릴 폼과의 계면이 분리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한 다층구조형 양면 점착테이프는 표면에너지가 낮은 플라스틱 부품 및 곡면 부위에 적용가능한 산업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escribe peel strength and dynamic shear property on various substrates of multi-layered structural double-sided adhesive tape with or without adhesive (AD) prepared by UV curing for an automobile, construction, and display junction. According to adapt the adhesive, t...

주제어

참고문헌 (19)

  1. H. J. Choi, I. S. Park, and L. Jang, Korean Patent 100852887 (2008). 

  2. I. H. Cho, Korean Patent 1020080109275 (2008). 

  3. 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i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89. 

  4. I. W. Levine, U.S. Patent 1,537 (1926). 

  5. I. Be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pplications, 2nd edition, Marcel Dekker, New York, 2004. 

  6. S. S. Baek, S. J. Jang, J. H. Lee, D. H. Kho, S. H. Lee, and S. H. Hwang, Polym. Korea, 38, 199 (2014). 

  7. S. J. Lee, J. Y. So, C. Park, T. G. Ban, and L. S. Park, J. Appl. Sci., 10, 1104 (2010). 

  8. J. W. Park, S. W. Lee, H. J. Kim, D. B. Won, D. B. Kim, K. S. Lee, H. S. Woo, and, E. A. Kim, J. Adhes. Interf., 12, 81 (2011). 

  9. D. B. Kim, Polym. Korea, 37, 184 (2013). 

  10. S. M. Ellerstein, S. A. Lee, and T. K. Palit. Radiation Curing in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J. P. Fouassier and J. F. Rabek, Editors,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Vol. 4 (1993). 

  11. B. Goss, Int. J. Adhes. Adhes., 22, 405 (2002). 

  12. H. S. Do, D. J. Kim, and H. J. Kim, J. Adhes. Interf., 4, 41 (2003). 

  13. Y. W. Song, H. S. Do, H. S. Joo, D. H. Lim, S. Kim, and H. J. Kim, J. Adhes. Sci. Technol., 20, 1357 (2006). 

  14. V. Kale and M. Moukwa, J. Electrostat., 38, 239 (1996). 

  15. G. Leftheriotis and S. Papaefthimiou, Solid State Ionics, 136, 655 (2000). 

  16. J. Piglowski and M. Kozlowski, Rheol. Acta, 24, 519 (1985). 

  17. Z. Czech, Int. J. Adhes. Adhes., 24, 503 (2004). 

  18. D. B. Kim, Polym. Korea, 38, 397 (2014). 

  19. F. Sosson, A. Chateauminois, and C. Creton,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3, 3316 (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