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파트 단지 내 조경수목의 생장특성 분석 -대구광역시 메트로팔레스단지를 대상으로-
Analysi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Trees in Apartment Complex -Focusing on Metropalace Complex, Daegu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1, 2015년, pp.35 - 42  

정문화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최철현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신재윤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생존율, 형태별 및 지반별 생장률을 객관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아파트 단지의 조경식재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수목생존율에 있어 상록교목의 경우 소나무가 가장 생존율이 높았으며, 구상나무가 가장 낮았다. 낙엽교목의 경우 감나무, 느티나무, 매실나무, 배롱나무, 은행나무가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생존율이 낮은 수종은 마가목, 모과나무 등으로 나타났다. 형태별 수목생장의 경우 상록교목 중 스트로브잣나무가 가장 높았으며, 둥근소나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엽교목의 경우 느티나무의 생장률이 가장 높았으며, 생장률이 낮은 수목은 배롱나무, 백목련, 산수유 등으로 나타났다. 자연지반에서 스트로브잣나무, 산딸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및 단풍나무가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느티나무, 살구나무는 인공지반에서 생육이 좋았다. 향후, 다양한 지역의 조경수목의 생장특성과 본 연구에서 제외된 관목에 대해 연구한다면 객관적인 자료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improving the method of landscape planting in apartment complex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growth ratio by type and ground planted in landscape tree.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survival ratio of tree, Pinus densiflora wa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내에서 아파트 단지의 외부 환경에 대해 조경과 관련된 변화가 시작된 시점이라 할 수 있는 90년대 후반 이후 준공된 아파트를 선정하였으며, 장기간의 수목 생장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최소 10년 이상 경과된 단지를 1차 대상지로 하였다. 또한 500세대 이상 아파트 중 승인도면과 준공도면이 확 보된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조경시설 과 관리상태가 양호하여 훼손이 심하지 않고 준공 시 식재된 수목의 수종 변화가 크게 이루어지지 않은 곳을 대상지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준공 당시와 10년이 경과된 후 형태별 생존율, 생장률을 수종별로 조사 및 분석하여 아파트 내 식재된 조경수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파트에서 수목의 생육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이유는? 특히 아파트 단지에서 수목관리 부족은 생육저하로 인한 수목고사가 발생되는데 이는 아파트 경관을 불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입주민들의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아파트는 대부분 자연지반보다는 인공지반 에 입지하는 경우가 많아 수목식재 시 수종별 생육 및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수종의 다양화에만 치중한 나머지 수목의 생육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다수이다. 또한 대형목 식재, 과도한 식재밀도, 단순 반복식재 및 군식과 같은 식재패턴으로 인해 수목의 고사, 고밀도의 식재환경과 이에 따른 수목 생장저하 등과 같은 생육 및 조경수 관리의 고비용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외부 조경공간 아파트 단지 조경설계가 다양화된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2000년 이후의 아파트단지는 생태환경을 고려한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최근 대부분의 아파트 단지 조경설계를 살펴보면, 대형소나무 군락, 대경목의 교 목류 식재, 산림수종의 군락조성, 잔디식재의 최소화, 야생초화류 도입 등 외부 조경공간의 식재설계가 다양화되었다. 그러나 조경공간의 확대와 다양화는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관리대상이 증가하여 조경관리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조경관리의 문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조경관리의 부족에 따른 문제점은 시설물 파손, 답압에 의한 잔디밭 훼손 등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수목 관리이다. 특히 아파트 단지에서 수목관리 부족은 생육저하로 인한 수목고사가 발생되는데 이는 아파트 경관을 불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입주민들의 민원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K.Y. and Kim, N.C. 1984.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s in the maintenance of the landscape plants in apartment housing area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66: 8-15. 

  2. Cho, S.H. 2010. Comparative Study on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Woody Plants According to the Ground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 Incheon, Korea. MS thesis,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pp. 87. 

  3. Choi, Y.S. and Shim, K.K. 1995. A study on the damaged tree by the inferior drainage in a prepared housing sit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2): 195-204. 

  4. Jang, H.K., Ahn, G.Y., and Lee, E.H. 2007. A study o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1): 1-8. 

  5. Kim, H.J., Joo, N.R., and Lee, J.S. 2008. Effect of different shading on the growth and leaf color of variegated Arundinaria munsuensis and Carex cilato-marginata for. variegata. Flower Research Journal 16(4): 284-290. 

  6. Kim, H.S., Bae, S.W., Lee, S.T., and Hwang, J.H. 2010.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aboveground car-bon storage for Zelkova serrata artificial forests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144-152. 

  7. Kim, S.H., Jang, Y.S., Chung, H.G., and Choi, Y.C. 2003. Meteorological elements and vegetative structure for Sorbus commixta Hedl. natural populations at Ulleung Islan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3): 158-165. 

  8. Kwon, S.D. and Chung, J.S. 2004. Development of individual- tree distance-independent simulation model for growth prediction of Pinus koraiensis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1): 43-49. 

  9. Lee, C.H. 2000. A study on landscape tree species planted within apartment complex of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1): 146-156. 

  10. Lee, D.W., Lee, K.J., Han, B.H., Jang, J.H., and Kim, J.Y. 2012.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and planting structures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4): 1-17. 

  11. Lee, J.B. and Shim, K.K. 1998. A study on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of urban public park in Seoul-in case of the Munjung-family ap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19-228. 

  12. Lee, J.S., Han, S.W., and Kim, H.J. 2007. Effects of different light intensities on the growth of floricultural plants native to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1): 16-22. 

  13. Lee, K.J., Han, B.H., and Cho, W. 1997. The appropriate mounding height and selection of ornamental trees on the considering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apartment complex.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2): 137-148. 

  14. Lee, K.J., Han, B.H., and Lee, S.D. 2004. Improvement plant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with ornamental trees in apartment complex,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236-248. 

  15. Lee, K.S. and Seo, B.K. 200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landscape trees at the small scale apartment sit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1): 140-145. 

  16. Lee, Y.J. 2009. A Study on Changes for 10 Years of Planting Structure of Madu Park in Ilsan New Town, Goyang City. MS thesis,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pp. 92. 

  17. Lim, J.H., Woo, S.Y., Kwon, M.J., Chun, J.H., and Shin, J.H.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 fir in Mt. Hall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6): 705-710. 

  18. Lim, W.H. and Kim, Y.S. 2001. Defects of planting in landscape plants i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2): 61-67. 

  19. Oh, C.H., Jeong, W.J., Lee, I.K., Kim, M.K., and Park, E.H. 2012. A study on optimum tree planting density for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140-147. 

  20. Park, J.Y. and Cho, S.H. 2014. An analysis of the types of planting design orders and on its feasibility cognition in the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focused on the planting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 practiced by Ahousing corp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18-26. 

  21. Park, W.K. and Im, S.H. 2009.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level of applic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elements on the outdoor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5): 13-27. 

  22. Park, Y.J., Kang, H.K., Park, I.H., Baek, J.S., You, J.H., Lee, J.S. and Joo, M.C. 2013. Landscape Dendrology. Hyangmunsa. Seoul, Korea, pp. 462. 

  23. Rho, S.G. 2009. A Study on the Value Perception about Pinus densiflora on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MS thesis,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75. 

  24. Seo, B.K. 2005. A study on features of landscape trees & shrubs on a planting plan in Noeun apartment complex in Daejeon. Journal of Natural Sciences Pai Chai University 16(1): 77-86. 

  25. Shin, M.Y., Lee, S.M., and Lee, D.K. 2005. Forest management using growth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site typ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1): 26-33. 

  26. Shin, S.S. 1999. The basic study on the landscape planting design of residential sit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ment 2(1): 53-63. 

  27. Sim, W.K. and Lee, D.I. 2001. An analysis of status quo on the multi-layer planting at the landscape planting area in apartments and neighborhood pa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1): 140-151. 

  28. Song, J.H. and Jang, K.H. 2013. Variation of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6 natural population of Sorbus commixta Hedl.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1): 1-6. 

  29. Song, K.M., Kim, C.S., Koh, J.G., Kang, C.H., and Kim, M.H.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4): 415-425. 

  30. Yoon, K.Y. and Ahn, K.Y. 1998. The growth patterns of major landscaping trees by site conditions in two apartment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2): 207-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