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이 피클의 절임액 온도 차이에 따른 기호도 및 품질특성 연구
Preferenc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ckled Cucumber depending on Pickling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1, 2015년, pp.281 - 296  

김남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유승석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육류 소비의 증가와 외식 빈도의 증가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변화는 피클의 소비량을 증가하게 하였고, 호텔 레스토랑 및 대형 외식업체에서도 오이 피클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곳이 많이 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이 피클의 절임액 온도를 위험 온도구간을 제외한 5가지($95^{\circ}C$, $85^{\circ}C$, $75^{\circ}C$, $65^{\circ}C$, $5^{\circ}C$)로 다르게 제조하여 12일 저장기간 동안 식감과 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이 피클 제조 시 담금 액 온도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오이 피클의 절임액 온도 차이에 따른 기호도와 품질특성으로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pH는 3일째 $95^{\circ}C$ 피클에서 높았으며, 저장기간 처리구 모두 낮아지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산도, 염도, 당도는 담금 초기 높은 온도 절임액에서 빠른 침투를 나타내었다. 피클 외부 백색도와 황색도는 높은 온도 절임액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녹색도는 낮은 온도 절임액에서 낮게 나타났다. 내부 백색도는 높은 온도 절임액에서 낮게 나타났고, 적색도는 낮은 온도 절임액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텍스쳐 측정결과 경도는 12일째 $5^{\circ}C$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경도의 차이는 $5^{\circ}C$를 제외한 처리구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기호도는 높은 절임액 온도에서 높게 나타나, 높은 온도에서 피클을 담을 경우 기호도가 높았다. 전체 기호도(Overall preference)는 담금 초기 3일째 $95^{\circ}C$에서 $5.60{\pm}0.82$로 높게 나타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다음으로 $85^{\circ}C>75^{\circ}C>65^{\circ}C>5^{\circ}C$$5^{\circ}C$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온도에서 피클을 담을 경우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보이며, 담금 초기 색(color)에서 저온처리구에서 높은 기호도가 나타났지만, 저장기간 중에는 높은 절임액 처리구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절임액 온도를 달리한 피클의 품질특성에서 $95^{\circ}C$, $85^{\circ}C$의 경우 날짜별 높은 전체 기호도를 보였으며, 이와 같이 품질특성을 측정한 결과 날짜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95^{\circ}C>85^{\circ}C>75^{\circ}C>65^{\circ}C>5^{\circ}C$ 순서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부터 피클 제조시 $95^{\circ}C{\sim}85^{\circ}C$ 온도의 절임액은 피클의 식감과 맛을 더 좋아지게 하였고, 기호도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to find proper temperature and improve texture and taste of pickle by considering physic-chemical characteristic and sensory evaluation. The basis temperature of the pickle was manufactured by 5 temperatures($95^{\circ}C$, $85^{\circ}C$, $75^{\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육류소비의 증가와 외식 빈도의 증가에 따른 식생활패턴의 변화는 피클의 소비량을 증가하게 하였고, 호텔 양식당 및 대형 외식업체에서도 오이 피클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곳이 많이 늘고 있다 (Park YK et al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이 피클의 절임액 온도를 95℃, 85℃, 75℃, 65℃, 5℃ 로 다르게 제조하여 12일 저장기간 동안 식감과 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이 피클 제조 시 담금액 온도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오이 피클의 절임액 온도 차이에 따른 기호도와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이는 무엇인가? 오이는 박목 박과의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덩굴식물이며, 학명은 쿠쿠미스 사티 무스(Cucumis sativus L.)이다(Yun SS 1991).
오이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cucumis’는 라틴어의 오이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어원인 ‘cucuma’는 식기(食器; 가운데가 빈 그릇)인데, 오이의 과실을 잘라 두 조각을 내면 그 모양이 식기와 비슷하다는 데서 나왔으며, 사티무스(sativus)는 재배종이라는 뜻이다. 원산지는 인도지방 의 북서부 히말라야의 산계이다. 오이를 뜻하는 영어 쿠컴버(cucumber)는 고대 프랑스어인 코콤브레(cocombre)에서 유래한 말이다(Cho HS 1993).
오이의 분류는 재배 형태에 따라 어떻게 나뉘는가?  우리나라에서는 품종을 크게 4가지로 구분하는데, 화남(남아시아)형, 화북(북아시아)형, 유럽형 및 잡종군의 4계통으로 나뉘며, 각 계통에는 많은 품종들이 분화되어 있다(Hong TH et al 2001). 오이의 분류는 학자에 따라 다르나, 세계적인 추세를 살펴보면 재배형태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촉성재배, 반촉성재배, 터널조 숙재배, 노지재배, 노지억제재배, 시설억제재배 오이로 분류하고 있다(Bak CH & Kim DG 2010). 오이는 신선하고 독특한 향기가 있어 봄부터 겨울에 이르기까지 음식점과 가정에서 주로 부식물로 애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Virginia. 918. 

  2. Bak CH, Kim DG (2010).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 Korean cucumber cultivars at the open field of Hanoi in Vietnam. Kor J Hort Sci Technol 28(2):41-41. 

  3. Bell TA, Ethell JL (1961). Influence of salt on pectinolydtic softening of cucumbers. J Food Sci 26(1):84-88. 

  4. Bill Rose, Kim SJ (2007). Artist's Gardens. Eye and Mind. 92-93. Seoul. 

  5. Cho DH, Lee KJ, Han SH (1999).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ushrooms collected from even major sites in Korea. J Korean Soc Food Nutr 88(4):490-497. 

  6. Cho HS (1993). Food Materials. Monwundang. Seoul Korea. 162. Seoul. 

  7. Choi HS, Kim JG, Kim WJ (1989).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1(6):845-850. 

  8. Choi J, Tak JW (2010). Delicious cuisine and exciting science. Walking Jr. 65. Seoul. 

  9. Daeschel MA, Henry P, Fleming HP (1984).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or use in vegetable fermentations. Food Microbiology. Academic Press Inc. 306-308. 

  10. Douglas M, Considine PE (1982). Foods and Food Production Encyclopedia. Van Nostrand Reinhold Co. 524-528. 

  11. Hong TH, Kim KY, Choi OS, Kim DH, Jung YS, & Kim SH (2001). Modern Food Material. Ji-gu munwhasa, 346-347. Seoul. 

  12. Howard LR, Burma P, Wagner AB (1994). Firmness and cell wall character as tics of pasteurized jalapen opepperring saffected by calcium chloride and acetic acid. J Food Sci 59(6):1184-1186. 

  13. Huh YJ, Lee HS (1990). Effets of preheating and salt concentration on texture of cucumber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2):1-6. 

  14. Hwang JM, Chung KM (1998). Evaluation of dried fruit quality and some characteristics of localred pepper(Capsicum annuum L.) cultvars. J Kor Soc Hort Sci 39(6):666-669. 

  15. Jeong CS (1998). World Food Cooking Dictionary. Earth Cultural History. 237. Seoul. 

  16. Jeong CS, Lee BW, Hwang YM (2003). Culinary Science and Technology Dictionary. Publisher CGS. 578. Seoul. 

  17. Jeong YJ, Seo KI, Lee GD, Youn KS, Kang MH, Kim KS (1998). Monitoring for the fermentation conditions of sweer persimmon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East Asian Dietary Life 8(1):57-65. 

  18. Jun HJ, Lee HJ (1996). Western Food. Gyomunsa. 296. Seoul. 

  19. Jung HJ (2001). The Dictionary of Culinary Arts. 370. Seoul. 

  20. Jung ST, Lee HY, Park HJ (1995). The acidity pH salt content and sensory scores change in Oyijangachi manufacturing. J Korean Soc Food Nutr 24(4):606-612. 

  21. Jung WK (1997). Korea Food Safety Advance. Korea Dictionary Researcher. 564. Seoul. 

  22. Kang KO, Kim JG, Kim WJ (1991).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salts addition on Dongchim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0(6):565-571. 

  23. Kim BC, Hwang JY, Wu HJ, Lee SM, Cho HY, Yoo YM, Shin HH, Cho EK (2012). Quality changes of vegetabl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1):40-53. 

  24. Kim JE (2001).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cucumber pickles (Doctoral dissertation, MS Thesi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ju, Korea. 1-46. 

  25.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Technol 21(6):838-844. 

  26. Kook MC (2012). Properti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J Korean Soc Food Nutr 25(1):77-82. 

  27. Jeong CS (1998). World Food Preparation Beforehand. Ji-Gu Cultural History. 237. 

  28. Lee HJ, Kim JK, Go JM, Hur MJ (2002). The Properties of cucumber Kimchi of different specie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Food & Nutr 15(3):241-249. 

  29. Luh BS, Woodroof JG (1988). Commercial Vegetable Processing. AVI. 475-476. New York. 

  30. Maruvada R, McFeeters RF (2009). Evaluation of enzymatic and non-enzymatic softening in low salt cucumber fermentations. J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4(6):1108-1117. 

  31. McFeeters RF, Senter MM, Fleming HP (1989). Softening effect of monovalent cations in acidified cucumber mesocarp tissue. J Food Sci 54(2):366-370. 

  32. MeFeeters RF, Fleming HP, Thompson RL (1985). Pectinesterase activity, pectin methylation and texture changes during storage of blanched cucumber slices. J Food Sci 50:201-205. 

  33. Oh SH, Oh Yk, Park HH,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le prepared with different pickling spices during storage. Korean J of Food Preservation 10(4):347-353. 

  34. Oh YA, Lee MJ, Kim SD (1990). Changes in the pectic substances during ripening of salted cucumber pickle. J Korean Soc Food Nutr 19(2):143-150. 

  35. Park BH, Jeon ER, Kim SD, Cho1 HS (2009).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pickle with beet extract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8):1124-1129 

  36. Park BR, Park IJ, Hwang IG, Han HM, Shin MS, Shin DS, Yoo SM (2014).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tea leaf pickles with different vinegar contents. J Korean Food Cook Sci 30(4):401-410. 

  37. Park HS, Park WS,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iji. Korea cucumber pickle. J Korean Soc Food Nutr 36(3):385-392. 

  38. Park KS (2002). Knowing the Fundamentals Look Healthy. Phoenix. 24. 

  39. Park ML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ine-tree mushroom(Tricholoma matsutake Sing.) pickle for the standard recipe.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4(4):55-56. 

  40. Schwimmer S (1981). Enzymeaction and Plant Food Texture in Source Book of Food Enzymology. The AVl Pub Co. Inc. Westport Connecticut. USA. 512-523. 

  41. Park YK, Park MW, Choi LW, Choi HD (2003).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J Korean Soc Food Nutr 32(4):556-530. 

  42. Song MR, Kim MJ, Gwon OG, Kim HR, Kim MR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rlic pickles prepared with persimmon vinegar and Maesil (Japanese Apricot)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6):981-986. 

  43. Ute Rosenberg, Wernel Bogl (1987). Microwave pasteurization, sterilization, blanching and pest control in the food industry. Food Technology (USA). 41(6):92. 

  44. Weon MK, Lee YJ (2013). Consumer's perceptio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Jangachi (Korean pickle) by age for developing low salt Jangachi.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5):249-263. 

  45. Yun SS (1991). Historical review of Korea Kimchi. J Korean Dietary Culture 6(4):467-4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