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Art Therapy and Hospice & Palliative Car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2, 2015년, pp.85 - 96  

김창곤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현대적 예술치료는 1960~1970년대 국내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의 보조치료인 활동요법(activity program)의 형태에서, 1982년 정신과 의사들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예술학회가 창립되면서, 음악치료(music therapy), 미술치료(art therapy), 무용치료(dance therapy), 시치료(poetry therapy), 정신치료극(Psychodrama) 등의 예술치료가 정신장애환자를 대상으로 발전하였다. 1990년대에는 한국미술치료학회와 한국음악치료학회 등 분야별 전문단체가 본격적으로 출범하였고, 2001년 한국예술치료학회가 창립되었다. 통합예술치료의 예술은 한 개인의 내적인 세계와 연관된 인간자체가 가지는 본연의 능력인 창조적 활동이며, 여기에는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치료, 시치료 등이 포함된다. 통합예술치료는 인간의 체험현상을 그대로 인정하고 자각하게 하는 현상학적 측면에서 신체와 창조성의 회복을 목표로 예술매체를 활용한 심신치료활동이면서 심신의 성장과 발달을 목표로 하는 치료예술활동이다. 최근 국내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통합예술치료를 중심으로 예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신체기능 효과 변인군을 제외한 모든 변인군에서 효과크기가 유의했고, 심리적응 효과, 행동적응 효과 그리고 생리적 효과 변인군 순으로 효과크기가 확인되었다. 2015년 7월, 보건복지부는 완화의료 건강보험수가 급여를 일당정액제로 시행하면서, 국내 56개 호스피스전문기관에서 대부분 시행중인 음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에 대한 수가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것은 1977년 정신과 환자에 대한 예술요법의 수가가 인정된 이후, 호스피스 완화의료 환자에 대한 예술치료의 수가가 인정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예술치료매체와 중재유형, 그리고 치료효과간의 인과관계의 명확한 제시, 즉 치료기전의 문제와 무분별하게 발급되는 자격증 취득자의 교육 수련 수퍼비젼을 통한 전문성과 정체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학회 및 협회 등 전문단체간의 유기적인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odern art therapy was developed in the 1960s and 1970s in the form of supplementary activities for patients in psychiatry. Along with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Art in 1982 by psychiatric doctors, the therapy involved more various arts forms such as music, ar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예술심리치료의 한 분야로서 무용동작치료는 한 개인의 신체와 인지, 정서, 사회의 조화로운 통합을 위해 신체와 움직임을 매개로 하는 심리치료이며, 신체의 움직임을 심리치료적 목적으로 사용하여 개인이 감정과 정신, 신체를 통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2).
  •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해당 사료조사 그리고 일부 실태조사를 근거로 우리나라 예술치료에 대한 약사(略史), 예술치료의 정의, 연구동향과 효과, 그리고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분야에서 예술(심리)치료의 임상적용과 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문적인 표현예술치료는 훈련 받고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치료사가 사람들과 동일한 치유목적을 추구할 때 가능하다. 정신건강 클리닉이건 암치료센터이건 혹은 호스피스나 정서적으로 고통 받는 어린이가 있는 학교이건 신체기능 재활센터이건 특정한 치료환경을 설정하는 본질과 목적은 치료활동의 본질과 목적을 알리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예술치료활동은 이러한 다양한 환경 안에서 전문가인 표현예술치료사가 제공하는 개별적 치료목적과 치료환경의 특별한 기능에도 적용된다(35).

가설 설정

  • 외래의 경우, 주 1회, 입원의 경우 주 5회 이내만 산정한다. 3. 각종 소모재료비용은 별도 산정하지 아니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범패란? 범패는 장단과 화성이 없는 단성선율(單聲旋律)이며, 재를 올릴 때 쓰는 의식음악(儀式音樂)이고 발생연대가 8∼9세기라는 점에서, 기독교의 전통적인 무반주의 종교 음악으로 원래 유럽 지역에 구전되던 음악들을 집대성한 서양음악의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와 비슷하다(2).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팔영루(八泳樓)는 불교음악인 범패의 창시자인 진감선사가 840년에 세워, 섬진강에 뛰노는 물고기를 보고 여덟 음률로 구성된 범패인 어산을 작곡하고 가르친 곳이다(Figure 1)
해외학자들의 초청강의에는 무엇이 있는가? 해외학자들의 초청강의로는 일본예술요법학회장 도꾸다 료진(德田良仁) 박사의 예술요법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특강(1987), 프랑스 국제 언어멜로디 치료학회장비달(Anne-Marie Ferand-Vidal) 여사의 음악요법에 대한 강의(1989. 4), 뉴욕대학교 음악치료학과 바바라 헤쎄 (Barbara Hesser) 교수(1990. 10)의 음악요법에 관한 Workshop, 모스크바 정신건강연구소장 정신과 전문의 나즈 로얀(Gagih Nazloyan) 박사의 조각과 초상을 이용한 예술 치료 특강(1990. 7) 등이 있었다(6).
국내 예술 심리치료의 효과는? 표현활동과 예술치료를 통하여 희로애락, 걱정, 불안, 고뇌 등 인간의 끊임없는 심적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는 예술치료사들이 증가하고 있고, 예술을 매체로 한 예술 심리치료의 효과가 임상현장과 연구를 통하여 보고되고 있다. 최근 국내 예술심리치료는 임종직전에 있는 사람들에게까지 치료범위가 확대되어 이들이 자신을 잘 통합하게 하여 죽음을 맞이하는데 도움을 주고, 예술심리치료에 따른 활동을 통한 표현활동과 그것을 통한 교류에 의해 보다 쉽게 자신을 통찰하여 자기를 발견하게 되며, 이때 ‘보호해주는 사람’, ‘함께 느끼는 사람’으로서의 치료자의 존재는 품어 안는 것과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Chung YC. Psychiatric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Korean Bull Clin Art 1990;5:7-19. 

  2. Han MY. A study of Korean Buddhist Chant. 2nd ed. Seoul:Seoul University Press;1990. p. 1. 

  3. Wadeson H. Art psychotherapy. 2nd ed. Hoboken (N.J):John Wiley & Sons;2010. p. 313-7. 

  4. Chung GJ, Lee KM, Choi AN, Won SH. Arts therapy. Seoul: Sigma Press;2009. 

  5. Lee KM.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Korean J Art Psychother 2011;7:59-81. 

  6. Lee BY. Review 10 yea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Art. Proceedings of the 10th Anniversary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Art; 1992 Oct 3-4; Seoul, Korea. Seoul: KAAT; 1992. 

  7. Won SH. Trend of German arts psychotherapy and suggestion for development of Korean arts psychotherapy. J Arts Psychother 2009;5:1-21. 

  8. Kim GS. Current status of art therapists in Korea. Korean J Art Ther 2011;11:230-9. 

  9.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Textbook of neuropsychiatry. Seoul:Joongangcopy;1998. 

  10. Rogers N. 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s as healing. Palo Alto, Calif.:Science & Behavior Books;1993. p. 2. 

  11. Cho DY. Behavioral science and general hospital psychiatry. Seoul:Ilchokak;1985. p. 404-8. 

  12. Lyou BS.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practice of dance and movement therapy. J Dance Movement Ther 2008;9:3-25. 

  13. Park JH, Kim CK. Effect of simsang-poetry therapy on the symptoms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Korean J Literatherapy 2011;2:59-83. 

  14. Peters JS. Music therapy : an introduction. Springfield, Illinois: C.C.Thomas;1987. p. 5. 

  15. Choi BC. Inter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rapy and dance/ movement therapy. J Dance Movement Ther 2003;4:86-96. 

  16.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Daegu:Dongwhamoonwhasa;2001. 

  17. Choi HJ. Psychodrama: theory and practice. Seoul:Hakjisa;2003. p. 23-7. 

  18. Kim CG. Calligraphy therapy in Korea. Proceedings of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Conference; 1998 May 1-2; Incheon, Korea. 

  19. Kim EG, Lim SI.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gulations of Korean art therapist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mparison with American Art Therapist Qualification System. J Arts Ther 2012;2;67-102. 

  20. Jeong DH. The comparative study of curriculum in arts therapy field between Korea and America. Korean J Arts Ther 2004; 4:1-48. 

  21. Song SK. A study on the 10 years' research trend of art therapies for youth. The Korean J Art Psychother 2014;10: 155-79. 

  22. Ko MH. An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music therapy research reports 1987-2008: Journal s and Doctoral studies. Korean J Music Ther 2010;12:1-15. 

  23. Cho HA. Analysis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professional journals in Korea. Korean J Music Ther Educ 2013;10:55-77. 

  24. Ki JH, Lee SM, Kim CK, Jeong JJ, Choi WY. Research trends of art therapy in Korea: focusing on articles (1994-2010)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 Art Therapy Association. Korean J Art Ther 2011;18:463-83. 

  25. Kim MJ, Kang YJ. An analysis on the study trend of ar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J Arts Psychother 2014;10: 87-109. 

  26. Kim HJ. An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field of Korean art therapy studies - centering on author co-citation analysis. Korean J Art Ther 2012;19:1523-42. 

  27. Lee KM.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art psychotherapy. Korean J Art Psychother 2011;7:59-81. 

  28. Hilliard RE. Music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 review of the empirical data.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5;2:173-8. 

  29. Kim JA. Psychoanalytically informed music therapy. Korean J Arts Ther 2005;5:137-57. 

  30. Kim HJ, Park SO. A meta-analysis of music therapy variables: with focus on age variables such as adults and seminar citizens. J Arts Psychother 2014;10:210-39. 

  31. Lee MY. A study on therapeutic dimension of aesthetic experience in arts psychotherapy: focusing on therapeutic aesthetic discussion. J Arts Psychother 2010;6:81-104. 

  32. Cho YT.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to scholastic identity of art therapy (or Studies) in Korea. Korean J Art Ther 2014;21: 1168-79. 

  33. Kim CG, Chae JH. A development of calligraphy therapy program for psychiatric in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an experience in Korea (1987-1998). Proceedings of World Psychiatric Association Regional Meeting; 2007 Apr 18-21; Seoul, Korea. 

  34. Kwak HJ, Kim YH. A meta analysis of art therapy effectiveness: focused on music therapy, art therapy, dance movement therapy and integrative arts therapy. J Arts Psychother 2013;9:185-203. 

  35. McNiff S. Integrating the arts in therapy: history, theory, and practice. Springfield: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2009. p. 11-4. 

  36. Moon JY. Music therapy in hospic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67-73. 

  37. Jung HJ.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2nd ed. Seoul:Ewha University Press;2015. 

  38. Melzack R, Wall PD. The challenge of pain. New York:Basic Books;1983. p.170-89. 

  39. Kim CG.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pain management of patient diagnosed with terminal cancer: a case study. Proceedings of the 6th Asia Pacific Hospice Conference; 2005 Mar 16-19; Seoul, Korea. 

  40. Kim GJ, Yoon SH. A study on gestalt music therapy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end of life. Korean J Music Ther 2007;6:1-13. 

  41. Lee MS.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 Music Ther 2008;7:1-25. 

  42. Hong JR. The effects of the Gestalt musical psycho therapy on spiritual well-being and aesthetic emotion of the dying patient. Korean J Art Ther 2013;8:91-117. 

  43. Lee EH, Choi S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by self-selected music listening on terminal cancer patients' affect and stress by pain level.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77-87. 

  44. Kim EJ, Kim KS. Research o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mood state of cancer patients. Korean J Music Ther 2014; 16:1-20. 

  45. Kim EH. The effects of singing activity with single-song on pain and mood in terminal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Incheon: Gachon Univ.; 2015. Korean. 

  46. Kim JH. Art therapy for pediatric patients with childhood with childhood cancer. J Korea Child Art Assoc 2010;9:83-103. 

  47. Suh YJ.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decreasing anxiety and improving self-efficacy for mothers of children suffering from pediatric cancer. Korean J Art Ther 2009;9:57-78. 

  48. Kim HJ, Bang JH. An effect of individual art therapy on pediatric cancer infants' ego-resilience. Korean J Art Ther 2012; 2:143-68. 

  49. Kim SH, Jung JY, Choi SJ, Choi YS. A case of clinical art therapy to reduce pain for hospice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Clin Art Ther 2010;5:95-9. 

  50. Chung YJ. Art therapy with pediatric cancer patients in hospice care. Korean J Art Ther 2007;14:227-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