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에서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 and Survival in Terminally III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2, 2015년, pp.120 - 127  

최선영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  최윤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  황인철 (가천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  이준영 (고려대학교 의학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국내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vitamin D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확인해 본다. 방법: 2012년 5월부터 15개월 동안, 국내 일개 병원의 말기암환자 9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시행하였다. Vitamin D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vitamin D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수 분석으로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7.06{\pm}13.77$세였고, 모든 대상자가 ECOG PS 3점 이상이었으며 혈중25(OH)D 농도는 평균 $8.60{\pm}7.16ng/ml$였다. 3명(3.1%)만이 vitamin D 충분상태(혈중 25(OH)D 농도${\geq}30ng/ml$)였으며, 5명은 vitamin D 상대적결핍상태(혈중 25(OH) 농도 20~30 ng/ml)였고, 13명(13.5%)은 vitamin D 결핍(혈중 25(OH)D 농도 10~20 ng/ml), 75명(78.1%)은 vitamin D 중증결핍상태(혈중 25(OH)D<10 ng/ml) 였다.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1.2 mg/dl 이상인 경우 vitamin D 중증결핍과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5.041; P=0.039).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높을수록 혈중 vitamin D 농도가 낮았으며, 고빌리루빈혈증인 환자는 vitamin D 중증결핍에 속할 위험이 더 크고(OR=18.476, P<0.05), 중앙생존기간도 유의하게 짧았다. Vitamin D 중증결핍인 경우 추정된 중앙생존기간은 짧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다변량 분석결과에서 vitamin D 중증결핍은 사망의 위험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말기암환자에서 혈중 vitamin D 결핍은 매우 심각하였으나, vitamin D 중증결핍이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aimed to investigate how serum vitamin D levels are related to survival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From May 2012 through June 2013,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96 hospice patient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말기암환자가 vitamin D 부족 상태일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11)는 것과 말기암환자에서 vitamin D가 예후인자 일 수 있다는 개연성(18,19)에 근거하여 국내 일개 병원의 말기암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vitamin D 농도를 측정하고, vitamin D 농도와 관련이 있는 인자들을 파악해 보며 나아가 생존기간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환자가 비 암환자에 비해 vitamin D 부족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높은 까닭은 무엇인가? 노인에서 vitamin D 부족과 그에 동반되는 이차적인 부갑상선기능항진증(secondaryhyperparathyroidism)이 발생하게 되면, 단백질 분해가 촉진(2,5)되고 2종 근섬유들이 감소되며(2), 근육의 약화(2,5,9,10), 낙상위험 증가(1,3), 골흡수의 증가로 인한 골밀도 감소 및 골절 위험 증가(7,8) 등이 발생하게 된다. 암환자의 경우에도 동일 연령, 동일 지역의 비암환자에비해 vitamin D 부족상태에 놓일 가능성이 더 높다(11)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암환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악액질(cachexia)(12), 항암화학요법(13), vitamin D 합성을 제한하는 약물(14)의 사용, 간기능(6,7) 저하, 신장 기능(1,15)저하 또는 구역, 구토(12,13) 등이 일광노출과 vitamin D 식이를 더욱 제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11,12).
Vitamin D가 암종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까닭은 무엇인가? Vitamin D는 암종 자체와도 어느 정도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유방암(16), 대장암(17), 전립선암(1) 등에서는 암세포가 vitamin D 수용체를 발현하고 있으며, vitamin D는 이러한 수용체들을 통해 암세포를 억제할 수 있다(17)는 사실이 수 차례 보고 되었다. 특정 암종에서는 vitamin D가 나쁜 예후를 암시하는 독립적인 예후인자라는 것이 확인된 경우도 있다.
고령자에서 vitamin D 부족 상태가 자주 발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Vitamin D 부족 상태는 이미 전세계적인 현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2) 심지어는 건강한 어린 아이에서 젊은 성인에 이르기까지 vitamin D 부족 상태에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3). 특히 고령자의 경우에는 젊은 사람에 비해 vitamin D 부족 상태에 있기 쉬운데, 이것은 퇴축성 피부변화로 피부에 존재하는 vitamin D3의 전구 물질이 감소하여 동일한 일광노출에도 불구하고 합성능력이 제한되며(1,3-5), 간기능(6,7) 및 신장 기능(1)이 저하되어 저장형 및 활성형 vitamin D로 변화시키는 능력이 제한되기 때문이다(1,3,8). 노인에서 vitamin D 부족과 그에 동반되는 이차적인 부갑상선기능항진증(secondaryhyperparathyroidism)이 발생하게 되면, 단백질 분해가 촉진(2,5)되고 2종 근섬유들이 감소되며(2), 근육의 약화(2,5,9,10), 낙상위험 증가(1,3), 골흡수의 증가로 인한 골밀도 감소 및 골절 위험 증가(7,8) 등이 발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osekilde L. Vitamin D and the elderly. Clin Endocrinol (Oxf) 2005;62:265-81. 

  2. Stone CA, Kenny RA, Healy M, Walsh JB, Lawlor PG. Vitamin D depletion: of clinical significance in advanced cancer? Support Care Cancer 2011;19:865-7. 

  3. Holick MF. High prevalence of vitamin D inadequacy and implications for health. Mayo Clin Proc 2006;81:353-73. 

  4. Brot C, Vestergaard P, Kolthoff N, Gram J, Hermann AP, Sorensen OH. Vitamin D status and its adequacy in healthy Danish perimenopausal women: relationships to dietary intake, sun exposure and serum parathyroid hormone. Br J Nutr 2001;86 Suppl 1:S97-103. 

  5. Houston DK, Cesari M, Ferrucci L, Cherubini A, Maggio D, Bartali B, et al.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status and physical performance: the InCHIANTI study.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7;62:440-6. 

  6. Ponchon G, Kennan AL, DeLuca HF. "Activation" of vitamin D by the liver. J Clin Invest 1969;48:2032-7. 

  7. Stokes CS, Volmer DA, Grunhage F, Lammert F. Vitamin D in chronic liver disease. Liver Int 2013;33:338-52. 

  8. Thomas MK, Lloyd-Jones DM, Thadhani RI, Shaw AC, Deraska DJ, Kitch BT, et al. Hypovitaminosis D in medical inpatients. N Engl J Med 1998;338:777-83. 

  9. Bischoff-Ferrari HA, Dietrich T, Orav EJ, Hu FB, Zhang Y, Karlson EW, et al. Higher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s are associated with better lower-extremity function in both active and inactive persons aged > or 60 y. Am J Clin Nutr 2004;80:752-8. 

  10. Visser M, Deeg DJ, Lips P; 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Low vitamin D and high parathyroid hormone levels as determinants of loss of muscle strength and muscle mass (sarcopenia): the 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5766-72. 

  11. Churilla TM, Lesko SL, Brereton HD, Klem M, Donnelly PE, Peters CA. Serum vitamin D levels among patients in a clinical oncology practice compared to primary care patients in the same community: a caseecontrol study. BMJ Open 2011;1:e000397. 

  12. Dev R, Del Fabbro E, Schwartz GG, Hui D, Palla SL, Gutierrez N, et al. Preliminary report: vitamin D deficiency in advanced cancer patients with symptoms of fatigue or anorexia. Oncologist 2011;16:1637-41. 

  13. Fakih MG, Trump DL, Johnson CS, Tian L, Muindi J, Sunga AY. Chemotherapy is linked to severe vitamin D deficiency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Int J Colorectal Dis 2009;24: 219-24. 

  14. Robien K, Oppeneer SJ, Kelly JA, Hamilton-Reeves JM. Drugvitamin D interaction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Nutr Clin Pract 2013;28:194-208. 

  15. Holick MF, Chen TC. Vitamin D deficiency: a worldwide problem with health consequences. Am J Clin Nutr 2008;87: 1080S-6S. 

  16. Kailajarvi ME, Salminen EK, Paija OM, Virtanent AM, Leino AE, Irjala KA. Serum bone markers in breast cancer patients during 5-fluorouracil, epirubicin and cyclophosphamide (FEC) therapy. Anticancer Res 2004;24(2C):1271-4. 

  17. Verstuyf A, Bouillon R. Vitamin D and cancer. Cell Cycle 2013;12:1018. 

  18. Ren C, Qiu MZ, Wang DS, Luo HY, Zhang DS, Wang ZQ, et al. Prognostic effects of 25-hydroxyvitamin D levels in gastric cancer. J Transl Med 2012;10:16. 

  19. Suh SY. Survival prediction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71-7. 

  20. Hong JH, Lee SJ, Kwak SM, Choi YS, Lee JY. Prognostic value of lept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99-107. 

  21. Wortsman J, Matsuoka LY, Chen TC, Lu Z, Holick MF. Decreased bioavailability of vitamin D in obesity. Am J Clin Nutr 2000;72:690-3. 

  22. Repetto L, Fratino L, Audisio RA, Venturino A, Gianni W, Vercelli M, et al.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dds information to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in elderly cancer patients: an Italian Group for Geriatric Oncology Study. J Clin Oncol 2002;20:494-502. 

  23.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2007;357: 266-81. 

  24. Bischoff-Ferrari HA, Giovannucci E, Willett WC, Dietrich T, Dawson-Hughes B. Estimation of optimal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for multiple health outcomes. Am J Clin Nutr 2006;84:18-28. 

  25. Choi HJ. New Insight into the action of vitamin D. Korean J Fam Med 2011;32:89-96. 

  26. Heaney RP. The Vitamin D requirement in health and disease. 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5;97:13-9. 

  27. Zittermann A, Gummert JF, Borgermann J. Vitamin D deficiency and mortality.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09;12:634-9. 

  28. Lips P. Vitamin D physiology. Prog Biophys Mol Biol 2006; 92:4-8. 

  29. Zittermann A. Vitamin D in preventive medicine: are we ignoring the evidence? Br J Nutr 2003;89:552-72. 

  30. Choi HS, Oh HJ, Choi H, Choi WH, Kim JG, Kim KM, et al. Vitamin D insufficiency in Korea--a greater threat to younger gener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 J Clin Endocrinol Metab 2011;96: 643-51. 

  31. Churilla TM, Lesko SL, Brereton HD, Klem M, Donnelly PE, Peters CA. Serum vitamin D levels among patients in a clinical oncology practice compared to primary care patients in the same community: a case-control study. BMJ Open 2011;1:e000397. 

  32. Brown AJ, Dusso A, Slatopolsky E. Vitamin D. Am J Physiol 1999;277(2 Pt 2):F157-75. 

  33. Terret C, Albrand G, Droz JP. Geriatric assessment in elderly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Clin Prostate Cancer 2004;2: 236-40. 

  34. Terret C, Albrand G, Moncenix G, Droz JP. Karnofsky Performance Scale (KPS) or Physical Performance Test (PPT)? That is the question. Crit Rev Oncol Hematol 2011;77:1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