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지방류조사에 의한 참홍어 (Beringraja pulchra)의 이동 및 성장률
Migration and growth rate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by the tagging release program in the Yellow Sea,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1 no.2, 2015년, pp.227 - 234  

임양재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조현수 (군산대학교 해양생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btain geographical range and growth-kinetics parameters of mottled sake (Beringraja pulchra) populations in the Yellow Sea, three mark-recaptu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verall, 991 tagged individuals were released, and 4.1% of them were recaptured with the mean release period of 339 d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 cm 이하의 소형 참홍어를 어장에서 직접 표지방류 하였다. 그리고 참홍어 표지방류조사를 어업인들과 수협 관계자들에게 홍보하여 표지방류어 발견 시 신고할 수 있도록 포스터를 제작하여 어업인과 수협 등 관계 기관에 배부하였다. 재포획된 참홍어는 각 개체별로 표지방류 시점과 재포획 시점의 체반폭 차이를 재포획까지의 경과일수로 나눈 다음 30을 곱하여 월 단위 성장률을 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성장률 차이가 있는지 R 프로그램의 two sample t–test로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화살형 표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서해에 서식하는 참홍어의 이동 및 성장률을 분석하고,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전자 표지표 (Pop–up Satellite Archival Tag)를 이용하여 화살형표지표를 이용한 표자방류 조사에서 획득할 수 없는 참홍어의 이동경로와 서식수심 및 서식수온을 파악하였다.
  • 전자표지표룰 이용한 참홍어 표지방류는 Table 2와 같이 2010년 5월 21일에 흑산도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홍도 연안에서 조업하고 있는 참홍어 연승어선에 연구원이 직접 승선하여 실시하였으며, 전자표지표는 방류 후 3개월 후에 표지방류어의 몸체에서 자동으로 탈락되어 부상하도록 설정하였다. Fig.
  • 그리고 2010–2013년에 방류한 참홍어 325마리는 2010년 7월 흑산도 연승어선 7척 선장들이 주축이 되어 발족한 참홍어 표지방류 자원봉사단 (KN, 2010)이 방류한 것이었다. 참홍어 표지방류 자원봉산단인 7명의 선장들은 금어기인 6월 1일부터 7월 15일을 제외한 조업기간 동안 어획된 참홍어 중에서 포획 금지 체장인 체반폭 42.0 cm 이하의 소형 참홍어를 어장에서 직접 표지방류 하였다. 그리고 참홍어 표지방류조사를 어업인들과 수협 관계자들에게 홍보하여 표지방류어 발견 시 신고할 수 있도록 포스터를 제작하여 어업인과 수협 등 관계 기관에 배부하였다.
  • 65 mm × 길이 152 mm 크기의 노란색 원주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 화살형 표지표의 표면에는 고유번호와 전화번호를 기재하여 방류한 참홍어를 다시 잡았을 경우에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 3과 같이 전자표지표를 부착한 참홍어는 체반폭 71.0 cm인 대형 암컷으로서 방류 위치는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서쪽 연안인 위도 34° 37.2' N, 경도 124° 59.3' E이었다.
  • 참홍어 표지방류 조사는 화살형 표지표와 전자 표지표 2 가지를 이용하였다 (Fig. 1). 이 중 화살형표지표는 스파게티처럼 생겼다고 해서 영어로는 Spaghetti tag로 불리는 것으로써 지름 2.

데이터처리

  • 재포획된 참홍어는 각 개체별로 표지방류 시점과 재포획 시점의 체반폭 차이를 재포획까지의 경과일수로 나눈 다음 30을 곱하여 월 단위 성장률을 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성장률 차이가 있는지 R 프로그램의 two sample t–test로 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홍어란 어떤 어종인가? 참홍어 (Beringraja pulchra)는 우리나라 서해를 비롯하여 남해와 동해에 그리고 외국에서는 오호츠크해에서부터 동중국해까지 분포하며 (Chyung, 1977; Ishihara, 1990; Jeong, 1999), Ishihara et al. (2012)에 의해 Raja속에서 Beringraja속으로 속명이 변경되었다. 참홍어는 2008년부터 총허용 어획량 (TAC; Total Allowable Catch) 제도의 대상 어종이면서 2009년부터는 수산자원회복 대상종으로 관리되고 있는 어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다 (NFRDI, 2009).
외국의 전자표지표를 이용한 표지방류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 2011). 외국에서도 악상어에 전자표지표 (Pop–up Satellite Archival Tag: PAT4, Wildlife Computer Inc., USA)를 부착하여 이동거리와 유영수심 등에 관한 연구 (Pade et al., 2009), 북대서양의 어업적 조업 및 유어낚시에 어획된 새치류에 전자표지표 (PTT–100 HR model PSAT tag, Microwave Telemetry, Inc., USA)를 부착하여 서식장소 이용 및 연직이동에 관한 연구 (Horodysky et al., 2007), 호주 해역에서는 대형 남방참 다랑어에 전자표지표 (Pop–up satellite archival tags model PAT2, Wildlife Computers Inc., USA)를 부착하여 이동경로와 행동 양식 연구 (Patterson et al., 2008) 등 최근에는 전자 표지표를 이용하여 표지방류조사를 다양하게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까지 전자 표지표를 이용한 표지방류조사가 미약한 실정이다.
참홍어는 언제부터 총 허용 어획량 제도의 대상 어종이 되었는가? (2012)에 의해 Raja속에서 Beringraja속으로 속명이 변경되었다. 참홍어는 2008년부터 총허용 어획량 (TAC; Total Allowable Catch) 제도의 대상 어종이면서 2009년부터는 수산자원회복 대상종으로 관리되고 있는 어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다 (NFRDI,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 JI SA Publishing Co., Seoul, pp. 727. 

  2. Horodysky AZ, Kerstetter DW, Latour RJ and Graves JE. 2007. Habitat utilization and vertical movements of white marlin (Tetrapturus albidus) released from commercial and recreational fishing gears in the western North Atlantic Ocean: inferences from short duration pop-up archival satellite tags. Fish Oceanogr 16(3), 240-256. (doi:10.1111/j.1365-2419.2006.00419.x) 

  3. Hue SB. 1980. Growth and Mortality of Albacore (T. alalunga) in the North East Atlantic Measured by tagging Data. Biol Oceanogr Lab 2(1), 57-61. 

  4. Hwang KS, Choi IS and Jung SG. 2012. Estimating the abundance and fishing morta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spawning season in Jinhae bay, Korea, using a mark-recapture method. Kor J Fish Aquat Sci 45(5), 99-506. 

  5. Ishihara H. 1990. The skates and rays of the western North Pacific: an overview of their fisheries, utilization and classification. NOAA Tech Rep NMFS 90, 485-497. 

  6. Ishihara H, Treloar M, Bor PHF, Senou H and Heong CH. 2012. The comparative morphology of skate egg capsules (Chondrichthyed: Elasmobranchii: Ragiformes). Bull Kanagawa prefect Mus (Nat Sci) 41, 9-25. 

  7. Jang MH, Jo HS, Kweon DH, Cha BY, Hwang JH, Han KN and Im YJ. 2014.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atch Fluctuations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Eastern Yellow Sea. Korean J Ichthyol 26(4), 295-302. 

  8. Jeong CH. 1999. A review of taxonomic studies and common names of Rajid fishes (Elasmobranchii, Rajid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1, 198-210. 

  9. Jo HS, Hwang HJ, Kwon DH, Jeong KS, Choi GH, Cha BY and Im YJ. 2011. Fishing characters of skate ray, Raja pulchra by the offshore longline fishery in Heuksan-do, Korea. J Kor Soc Fish Technol 47(4), 403-410. (DOI:10.3796/KSFT.2011.47.4.403) 

  10. KN (Kwangju News). 2010. Volunteers for the tagging release program of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Heuksan-do, Korea. Retrieved from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280156400402031154&search. 

  11. Moon DY, An YR, Jung MM, Kim SY, Choi SG, Lee HY, Yoo JT and Kim MJ. 2011. Satellite tracking of Green sea turtles Chelonia mydas in Korean Water. Kor J Fish Aquat Sci 44(6), 709-716. (DOI: 10.5657/KFAS.2011.0325). 

  12. NFRDI. 2009. Status and recommendation on the fisheries resources under rebuilding plan in 2009. TR-2009-FR-010, 309 pp. 

  13. Oh TY, Kim JI, Baik CI, Sohn HS, Koh JL and Cha BY. 2002. Evaluation of various tags used in tagging experiment with the young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Kor Soc Fish Res 5, 64-72. 

  14. Pade NG, Queiroz N, Humphries NE, Witt MJ, Jones CS, Noble LR and Sims DW. 2009. First results from satellite-linked archival tagging of porbeagle shark, Lamna nasus: Area fidelity, wider-scale movements and plasticity in diel depth changes. J Exp Marine Biol & Ecol 370, 64-74. (doi:10.1016/j.jembe.2008.12.002) 

  15. Patterson TA, Evans K, Carter TI and Gunn JS. 2008. Movement and behaviour of large southern bluefin tuna (Thunnus maccoyii) in the Australian region determined using pop-up satellite archival tags. Fish Oceanogr 17(5), 352-367. (doi:10.1111/j.1365-2419.2008.00483.x) 

  16. Pollock KH, Hearn WS and Polacheck T. 2002. A general model for tagging on multiple component fisheries: an integration of age-dependent reporting rates and mortality estimation. Environ & Ecol Stat 9, 57-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