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산성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를 병용처리한 조미오징어 반가공품의 미생물 오염도 저감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Reduc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n Daruma by Combination Treatment of Strong Acidic Hypochlorous Water and Ultrasonic W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2, 2015년, pp.166 - 172  

정원희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고준수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신일식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산성차아염소산수(SAHW)와 초음파(UW)를 병용한 조미오징어 반가공품의 미생물 오염도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SAHW의 유효염소농도는 $69.67{\pm}0.58ppm$, ORP는 $1071.33{\pm}4.16mV$, pH는 $2.79{\pm}0.05$이었다. 오징어 반가공품을 중량대비 20배의 SHS에 120분간 침지하였을 때 일반세균은 1.49 log CFU/g, 황색포도상구균은 1.32 log CFU/g 감소하였으며, 대장균은 검출한계 이하로 감소하였다. 오징어 반가공품 중량대비 10배의 SAHW에 120분간 침지한 경우, 일반세균은 2.69 log CFU/g, 황색포도상구균은 1.74 log CFU/g 감소하였으며, 20배의 SAHW에 120분간 침지한 경우, 일반세균은 3.62 log lCFU/g, 황색포도상구균은 3.22 log CFU/g 감소하였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아 SAHW가 같은 유효염소농도의 SHS보다 살균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SAHW 단독 처리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미생물 저감효과를 얻을 수 없었기에 조미오징어 반가공품을 SAEW에 1차 침지 처리한 후, SAHW에 2차 침지 처리한 결과, 오징어 반가공품 중량 대비 20배의 SAEW로 60분 처리한 후, SAHW로 처리하였을 때는 중량대비 10배, 120분 처리, 중량대비 20배, 90분 처리로 일반세균수는 약 4.0 log CFU/g, 황색포도상구균은 규제치(log 2.0 CFU/g 이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초음파 세정기에 오징어 반가공품과 중량대비 20배의 TW, SHS, SAHW를 각각 넣어 UW 처리한 후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SAHW로 60분간 처리하였을 때 일반세균은 검출한계(< 1.00 log CFU/g)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은 규제치 이하로 감소하여 가장 좋은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장균의 경우, SAHW 10분간 처리로도 검출한계 이하로 감소하여 SAHW와 UW의 병용이 조미오징어 반가공품 미생물 저감화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reatment method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Daruma (a semi-processed product of seasoned and dried squid) by combination of strong acidic hypochlorous water (SAHW) and ultrasonic waves (UW). The available chlorine concentration, oxidation reduction 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조미오징어의 주원료인 반가공품을 대상으로 강산성차아염소산수(SAHW) 단독 처리와 강산성차아염소산수와 초음파의 병용에 의한 미생물 저감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 반가공품에 대한 SAHW의 미생물의 저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UW를 병용하여 미생물 저감효과를 조사하였다(Table 4). 즉 초음파 세정기에 오징어 반가공품과 중량대비 20배의 TW, SHS, SAHW를 각각 넣어 UW 처리한 후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일반세균의 경우, TW와 SHS로 각각 60분간 처리하였을 때는 3.
  • 본 연구는 강산성차아염소산수(SAHW)와 초음파(UW)를 병용한 조미오징어 반가공품의 미생물 오염도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1)Volume ratio of raw squids to treatment water was 1: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미오징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조미오징어는 오징어육을 조미, 건조한 가공식품으로 간식, 술안주, 밑반찬 등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를 확보하고 있는 인기 있는 식품 중의 하나로, 주로 전국 도매시장, 대형할인매장, 급식업체로 공급되며 일부는 미국, 일본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조미오징어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원료에서 최종 생산제품까지 대부분의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1) 가공공정 중 미생물 오염에의한 위생적 품질의 저하, 저장 및 유통 중 미생물에 의한 품질열화 등이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다2). 특히 Choi 등3)은 원료로 쓰이는 오징어 반가공품(Daruma, 오징어 생물을 할복 처리한 후, 수세, 자숙, 냉각, 탈수, 1차 조미, 건조, 냉동숙성 과정을 거친 가공품, 이하 반가공품)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아 최종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최근 제조원가상승, 경기저하 등의 이유로 중국, 멕시코, 페루 등으로부터 조미오징어의 원료인 반가공품을 다량 수입하고 있는데4) 이 또한 높은 미생물오염도가 문제가 되고 있어 반가공품의 미생물 저감화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전기분해수는 무엇이며 무엇에 효과가 있는가? 최근 식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비가열 살균방법으로서 전기분해수(이하 전해수)에 의한 살균이 식품산업현장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해수는 희석 식염용액(0.2% 이하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유격막 전해조에서 전해하여 양극측으로부터 얻어지는 강산성차아염소산수 (유효염소농도 20-60 ppm, pH 2.7 이하)와 2-6%의 염산을 무격막 전기분해조 안에서 전해하여 얻어지는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유효염소농도 10-30 ppm, pH 5.0-6.5)가 있으며5-7),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enteritidis, Campylobacter jejuni, Enterobacter aerogenes, Staphylococcus aureus 등의 병원세균에 대해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11). 또한 채소12-14), 가축10,15)에서 미생물 저감화 및 유리, stainless steel 용기, 세라믹 등의 표면소독에도 효과적이라고 보고11)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식품산업현장에서 살균제로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16-19), 일본 후생성에서는 2002년 6월 전해수를 식품첨가물 (살균제)로 인정한 바 있으며19), 우리나라는 2007년 11월 강산성차아염소산수(Strong acidic hypochlorous water 이하 SAHW)와 미산성차아염소산수를 식품첨가물로 인가20)한 바 있다.
조미오징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미오징어는 오징어육을 조미, 건조한 가공식품으로 간식, 술안주, 밑반찬 등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를 확보하고 있는 인기 있는 식품 중의 하나로, 주로 전국 도매시장, 대형할인매장, 급식업체로 공급되며 일부는 미국, 일본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조미오징어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원료에서 최종 생산제품까지 대부분의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1) 가공공정 중 미생물 오염에의한 위생적 품질의 저하, 저장 및 유통 중 미생물에 의한 품질열화 등이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am, H.J., Kim, S.E., Ryu, S.H., Hwang, Y.O., Choi, S.M.: Bacterial distributions of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etc. isolated from dried seasoned marine products in Garak fishery wholesale market in Seoul, 2009. J. Fd Hyg. Safety. 25, 10-15 (2010). 

  2. Noh, J.E., Kim, B.K., Kim, H.K., Kwon, J.H.: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seasoned cuttle during storage. Kor J Food Culture 19, 516-523 (2004). 

  3. Choi, K.D., Park, U.Y., Shin, I.S.: Microbial contamination of Seasoned and Dried squid, Dosidicus gigas, during Processing. Kor J Fish Aquat Sci, 45, 445-453 (2012). 

  4. NFFC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http://trade.suhyup.co.kr (2004). 

  5. Hotta, K., Suzuki, T.: Electrolyzed water: Formation principle,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function. Bioscience & Industry 57, 22-26 (1999). 

  6. Suzuki, T., Itakura, J., Watanabe, M., Ohta, M., Sato, Y., Yamaya, Y.: Inactivation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A with and electrolyzed anodic solution. J. Agric. Food Chem. 50, 230-234 (2002). 

  7. Oomori, T., Oka, T., Inuta, T., Arata, Y.: The efficiency of disinfection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in the 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Anal. Sci. 16, 365-369 (2000). 

  8. Venkitanarayanan, K.S., Ezeike, G.O., Hung, Y.C., Doyle, M.P.: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a monocytogenes on plastic kitchen cutting boards by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J. Food Prot. 62, 857-860 (1999). 

  9. Kim, C., Hung, Y.C., Brackett, R.E.: Roles of 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in electrolyzed oxidizing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for inactivation of food-related pathogens. J. Food Prot. 63, 19-24 (2000). 

  10. Park, C.M., Hung, Y.C., Brackett, R.E.: Antimicrobial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for inactivating Campylobacter jejuni during poultry washing. Int. J. Food Microbiol. 72, 77-83 (2002). 

  11. Park, H., Hung Y.C., Kim C.: Effectiveness of electrolyzed water as a sanitizer for treating different surfaces. J. Food Prot. 65, 1276-1280 (2002). 

  12. Izumi, H.: Electrolyzed water as a disinfectant for fresh-cut vegetables. J. Food Sci. 64, 536-539 (1999). 

  13. Koseki, S., Yoshida K., Isobe S., Itoh K.: Decontamination of lettuce using acidic electrolyzed water. J. Food Prot. 64, 652-658 (2001). 

  14. Koseki, S., Yoshida, K., Isobe, S., Itoh, K.: Efficacy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cucumbers and strawberries. J. Food Prot. 67, 1247-1251 (2004). 

  15. Fabrizio, K.A., Cutter, C.N.: Stability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and its efficacy against cell suspensions of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Prot. 66, 1379-1384 (2003). 

  16. Hotta, K., Kawaguchi, K., Saitoh, F., Ochi, K., Nakayama, T.: Antimicrobial activity of eletrolyzed NaCl solution: effect on the growth of Streptomyces. Actinomycetologica. 8, 51-56 (1994). 

  17. Suzuki, T.: Bactericidal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Bio Industry. 13, 15-27 (1996). 

  18. Suzuki, T.: Challenges and prospects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use in the food industry. New Food Industry. 39, 61-66 (1997). 

  19. Suzuki, T., Noro, T., Kawamura, Y., Fukunaga, K., Watanabe, M., Ohta, M., Sugiue, H., Sato, Y., Kohno, M., Hota, K.: Detremination of aflatoxin-forming fungus and elimination of aflatoxin mutagenicity with an electrolyzed fungus and elimination of aflatoxin mutagenicity with an eletrolyzed NaCl anodic solution. J. Agricul. & Food Chem. 50, 633-641 (2002). 

  2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9. http://www.kfda.go.kr/index.kfda?mid92&page No6. 

  21. Park, B.K., Oh, M.H., Oh, D.H.: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organic acid on the growt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1, 530-537 (2004). 

  22. Zhou, B., Feng, H., Luo, Y.: Ultrasound enhanced sanitizer efficacy in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 on spinach leaves. J. Food Sci., 74, 308-313 (2009). 

  23.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378-412 (2008). 

  24. Choi, K.D, Park, U.Y., Shin, I.S.: Bactericidal Activity of Strong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and Kitchen Apparatus. Kor. J. Fish Aquat Sci., 45, 445-45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