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출력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재용 피치/코크스/천연흑연 복합재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itch/Cokes/Natural Graphite Composites as Anode Materials for High-Powe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5 no.6, 2015년, pp.279 - 287  

고효준 (명지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임연수 (명지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명수 (명지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epare anode materials for high powe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carbon composites were fabricated with a mixture of petroleum pitch and coke (PC) and a mixture of petroleum pitch, coke, and natural graphite (PC-NG). Although natural graphite has a good reversible capacity, it h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고용량 및 방전 출력특성이 우수한 흑연을 첨가하여 음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이 사용한 인조흑연을 저렴한 천연흑연으로 대체하여 석유계피치/코크스/천연흑연 복합재 음극활물질을 제조하고,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로 적용하여 고출력 음극재에 사용되는 코크스의 용량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고출력 음극재로서 천연흑연의 단점인 평탄전위(potential plateaus)와 급속 충전 시의 낮은 용량문제도 함께 해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급속 충·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량변화 감지가 용이한 코크스를 모재로 사용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열처리 온도에 따른 용량의 변화를 가지는 석유계피치를 코팅한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고용량 및 방전 출력특성이 우수한 흑연을 첨가하여 음극활물질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이 사용한 인조흑연을 저렴한 천연흑연으로 대체하여 석유계피치/코크스/천연흑연 복합재 음극활물질을 제조하고,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로 적용하여 고출력 음극재에 사용되는 코크스의 용량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고출력 음극재로서 천연흑연의 단점인 평탄전위(potential plateaus)와 급속 충전 시의 낮은 용량문제도 함께 해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출력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천연흑연과 석유계 피치 및 코크스를 통한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코크스와 석유계피치를 복합화 하여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급속 충·방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량변화 감지가 용이한 코크스를 모재로 사용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열처리 온도에 따른 용량의 변화를 가지는 석유계피치를 코팅한 복합재료를 제조하여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흑연은 C-rate에 따른 출력특성이 좋지만, 정전류법으로 급속 충전 시 충전량이 매우 적고, 코크스는 가역용량이 낮지만 급속 충·방전이 가능하다. 석유계 피치는 비가역용량이 크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리튬이온을 저장할 수 있어 이 탄소재료들의 장점을 살리고자 석유계 피치/코크스/흑연 복합재를 제조하여 최적의 함량비와 열처리 온도 조건을 찾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석유계피치/코크스 복합 음극재의 전지적 성능이 코크스의 경우보다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앞에서 결정된 석유계피치와 코크스의 혼합 비율을 1:4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가역용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흑연을 도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재료의 장점은? 초기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는 리튬 금속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높은 전기용량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전지의 충·방전 동안에 리튬 금속 음극의 표면에 전해질과의 덴드라이트(dendrite) 구조의 형성으로 인하여 전지 내부의 단락으로 인한 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4,5) 때문에 부피변화가 작고 구조가 안정하며, 전해질에 대해 안정적이고, 가격 등에서 유리한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탄소재료가 금속 리튬의 대체 물질로 활발히 연구되었다.5)
음극재료로 사용되는 탄소 재료에 결정질의 흑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음극재료로 사용되는 탄소재료는 결정질의 흑연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 이유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긴 사용수명, 높은 용량 등의 장점이 많기 때문이다.2) 그러나 흑연은 0.
초기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의 단점은? 초기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는 리튬 금속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높은 전기용량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전지의 충·방전 동안에 리튬 금속 음극의 표면에 전해질과의 덴드라이트(dendrite) 구조의 형성으로 인하여 전지 내부의 단락으로 인한 전지의 수명과 안전성의 문제가 대두되었다.4,5) 때문에 부피변화가 작고 구조가 안정하며, 전해질에 대해 안정적이고, 가격 등에서 유리한 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탄소재료가 금속 리튬의 대체 물질로 활발히 연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Shao, J. Power Sources, 270, 475 (2014). 

  2. Q. Cheng, R. Yuge, K. Nakahara, N. Tamura and S. Miyamoto, J. Power Sources, 284, 258 (2015). 

  3. A. Kraytsberg and Y. Ein-Eli, Adv. Energy Mater., 2(8), 922 (2012). 

  4. M. Endo, C. Kim, K. Nishimura, T. Fujino and K. Miyashita, Carbon, 38(2), 183 (2000). 

  5. G. A Nazri and G. Pistoia, Lithium Batteries Sci. Technol., p.112, Kluwer, Netherlands (2004). 

  6. W. Guoping, Z. Bolan, Y. Min, X. Xiaoluo, Q. Meizheng and Y. Zuolong, Solid State Ionics, 176(9-10), 905 (2012). 

  7. T. Plack, V. Siozios, R. Schmitz, S. F. Lux, P. Bieker, C. Colle, H. W. Meyer, S. Passerini and M. Winter, J. Power Sources, 200, 83 (2012). 

  8. D. Aurbach, B. Markovsky, I. Weissman, E. Levi and Y. Ein-Eli, Electrochim. Acta, 45(1-2), 67 (1999). 

  9. J. H. Ryu, E. Y. Oh and S. M. Oh, J. Korean Electrochem. Soc., 7(1), 32 (2004). 

  10. H. Sun, X. He, J. Ren, J. Li, C. Jiang and C. Wan, Electrochim. Acta, 52(13), 4312 (2007). 

  11. K. Y. Sheem, E. H. Song and Y. H. Lee, Electrochim. Acta, 78, 223 (2012). 

  12. E. Buiel and J. R. Dahn, Electrochim. Acta, 45(1-2), 121 (1999). 

  13. Y. Sato, K. Tanuma, T. Takayama, K. Kobayakawa, T. Kawai and A. Yokoyama, J. Power Sources, 97-98, 165 (2001). 

  14. T. Nakajima, S. Shibata, K. Naga, Y. Ohzawa, A. Tressaud, E. Durand, H. Groult and F. Warmont, J. Power Sources, 168(1), 265 (2007). 

  15. T. Takamura, K. Sumiya, J. Suzuki, C. Yamada and K. Sekine, J. Power Sources, 81-82, 368 (1999). 

  16. Y. Wu, C. Jiang, C. Wan and E. Tsuchida, J. Mater. Chem., 11(4), 1233 (2001) 

  17. Y. Wu, C. Jiang, C. Wan and R. Holze, J. Power Sources, 111(2), 329 (2002). 

  18. J. Drofenik, M. Gaberscek, R. Dominko, M. Bele and S. Pejovnik, J. Power Sources, 94(1), 97 (2001). 

  19. M. Bele, M. Gaberscek, R. Dominko, J. Drofenik, K. Zupan, P. Komac, K. Kocevar, I. Musevic and S. Pejovnik, Carbon, 40(7), 1117 (2002). 

  20. M. Gaberscek, M. Bele, J. Drofenik, R. Dominko and S. Pejovnik, J. Power Sources, 97-98, 67 (2001). 

  21. L. Yu, K. J. Kim, D. Y. Park, M. S. Kim, K. I. Kim and Y. S. Lim, Carbon Lett., 9(3), 210 (2008). 

  22. J. S. Kim, W. Y. Yoon, K. S. Yoo, G. S. Park, C. W. Lee, Y. Murakami and D. Shindo, J. Power Sources, 104(2), 175 (2002). 

  23. Y. Sato, Y. Kikuchi, T. Nakano, G. Okuno, K. Kobayakawa, T. Kawai and A. Yokoyama, J. Power Sources, 81-82, 182 (1999). 

  24. D. Y. Park, L. Yu, Y. S. Lim and M. S. Kim, J. Ind. Eng. Chem., 15(4), 588 (2009). 

  25. T. Zheng, W. R. Mckinnon and J. R. Dahn, J. Electrochem. Soc., 143, 2137 (1996). 

  26. P. Papanek, M. Radosavljevic and J. E. Fischer, Chem. Mater., 8(7), 1519 (1996). 

  27. Y. Liu, J. S. Xue, T. Zheng and J. R. Dahn, Carbon, 34(2), 193 (1996). 

  28. T. Zheng and J. R. Dahn, J. Power sources, 68, 201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