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종효모를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의 발효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Wine Using Traditional Yeas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6, 2015년, pp.840 - 846  

윤해훈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  채규서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  손락호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  정지혜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복분자로부터 분리된 토종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M-5와 수입 시판건조효모 Fermivin을 이용한 블루베리의 발효 품질 특성을 확인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S. cerevisiae M-5와 Fermivin을 블루베리에 $1{\times}10^9CFU/kg$이 되도록 접종하여 $25^{\circ}C$에서 39일간 발효를 진행하였다. S. cerevisiae M-5를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BBM)의 최종 품질은 알코올 13.10%, 당도 $8.42^{\circ}Bx$, 산도 1.183%였으며, Fermivin을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BBF)는 알코올 14.20%, 당도 $8.2^{\circ}Bx$, 산도 1.153%로 발효가 완료되었다. 발효 특성은 BBM이 BBF와 비교 시 초기 발효 속도가 빠르며 최종 알코올 생성량은 약 1%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BBJ가 $0.74{\pm}0.07TAE\;mg/mL$, BBM이 $1.34{\pm}0.20\;TAE\;mg/mL$, BBF가 $1.09{\pm}0.01\;TAE\;mg/mL$로 발효 시 증가되었으며, BBM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BBF보다 약 1.2배 높게 확인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BBM이 $0.61{\pm}0.20\;QUE\;mg/mL$, BBF가 $0.55{\pm}0.08\;QUE\;mg/mL$로 발효하였을 때 증가하며 BBM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그리고 환원력 또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던 BBM이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모를 달리하여 제조된 블루베리 발효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색상의 경우 BBF가 높았으나 향미, 맛, 전체적인 기호도는 BBM이 우수한 기호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토종 효모 S. cerevisiae M-5를 이용한 발효주는 수입 시판건조 효모 Fermivin을 이용한 발효주보다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기호도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어 토종효모 S. cerevisiae M-5는 와인 제조 등과 같은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고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blueberry wine made using traditional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M-5)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 which is widely used in wine manufacturing, and measured its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S. cerevisiae M-5 is a traditional yeast isolat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분자, 오디, 머루,오미자, 감 등 각종 과실을 이용한 와인의 개발과 더불어 생리적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7-20). 그러나 블루베리 와인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를 이용하여 국내 복분자로부터 분리된 토종효모인 Saccharomyces cer evisiae M-5(KCCM11416P)와 대조군으로 와인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수입 시판건조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ivin을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품질 특성 확인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토종효모를 이용한 블루베리 발효주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Total polyphenol contents was expressed as mg tannic acid (TAE) per 100 gram.
  • 3)Total flavonoid contents was expressed as mg quercetin (QUE) per 100 gram.
  • 3)Values within a column (different microorganism)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4)Values within a column (different microorganism) followed by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의 원산지는 어디이며 주로 어느 지역에 분포하는가?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성 또는 상록성의 과수로 약 400여 종이 있으며 주로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1개가 1.
블루베리가 수요가 늘게 된 이유는? 5 g이며 짙은 하늘색, 붉은빛을 띤 갈색, 검은색이고 겉에 흰 가루가 묻어 있다. 블루베리는 2002년 미국 타임지의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되어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고 그 수요가 늘고 있다(1). 블루베리 성숙 과실에는 기능성물질인 안토시아닌과 카로티노이드 색소와 같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 페놀류(phenolic compounds) 등의 물질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질병 예방 및 노화 방지 효능이 있으며(2-5), 항당뇨(6), 항균 효과 및 항암 작용(7)이 뛰어나다는 보고가 있다.
블루베리의 열매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성 또는 상록성의 과수로 약 400여 종이 있으며 주로 동남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1개가 1.0~1.5 g이며 짙은 하늘색, 붉은빛을 띤 갈색, 검은색이고 겉에 흰 가루가 묻어 있다. 블루베리는 2002년 미국 타임지의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되어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고 그 수요가 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2. Su MS, Chien PJ. 2007.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fluid 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104:182-187. 

  3. Naczk M, Shahidi F. 2006. Phenolics in cereals, fruits and vegetables: occurrence, extraction and analysis. J Pharm Biomed Anal 41: 1523-1542. 

  4. Hertog MGL, Feskens EJM, Kromhout D. 1997. Antioxidant flavonol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Lancet 349: 699. 

  5. Knekt P, Jarvinen R, Reunanen A, Maatela J. 1996. Flavonoid intake and coronary mortality in Finland: a cohort study. Br Med J 312: 478-481. 

  6. Martineau LC, Couture A, Spoor D, Benhaddou-Andaloussi A, Harris C, Meddah B, Leduc C, Burt A, Vuong T, Le PM, Prentki M, Bennett SA, Arnason JT, Haddad PS. 2006. Anti-diabetes properties of the Canadian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Phytomedicine 13: 612-623. 

  7. Parry J, Su L, Moore J, Cheng Z, Luther M, Rao JN, Wang JY, Yu LL. 2006. Chemical compositions antioxidant capacities,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elected fruit seed flours. J Agric Food Chem 54: 3773-3778. 

  8. Jeolla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tion Services. 2009.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ruit varieties of blueberries, breeding and cultivation technology research.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5-6. 

  9. Yu OK, Kim JE, Cha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92-797. 

  10.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11. Cho WJ, Song BS, Lee JY, Kim JK, Kim JH, Yoon YH, Choi JI, Kim GS, Lee JW. 2010. Composition analysi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manufacture of blueberry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19-323. 

  12. Hwang SH, Ko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domestic blueberry (V. corymbosu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27-734. 

  13. Ji JR,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3-438. 

  14. Oh JA.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ueberrydduk by difference ratio of ingredients.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p 1-27. 

  15. Jeon HM. 2009. A study on wine selection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by segmentation based on purchase and drinking motive -focused on wine retail shop customers in Seoul-.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2: 29-50. 

  16. Teissedre PL, Landrault N. 2000. Wine phenolics: contribution to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Food Res Int 33:461-467. 

  17. Lee SJ, Lee JE, Kim SS. 2004.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11-916. 

  18.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19. Kim SJ, Lee HJ, Park KH, Rhee CO, Lim IJ, Chung HJ, Moon JH.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ow molecular phenolic antioxidants from ethylacetate layer of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29-134. 

  20. Lee S, Kim M.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omija wines made by different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2-187. 

  2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2-35. 

  2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Korea health supplements food standard codex. Korea Health Supplements Association, Seoul, Korea. p 529. 

  2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Korea health supplements food standard codex. Korea Health Supplements Association, Seoul, Korea. p 463. 

  24. Choi JS, Lee JH, Park HJ,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diana. Kor J Pharmacogn 24: 299-303. 

  25. Arts MJ, Haenen GR, Voss HP, Bast A. 2004. Antioxidant capacity of reaction products limits the applicability of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od Chem Toxicol 42: 45-49. 

  26.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7. Choi HS, Kim MK, Park HS, Shin DH.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4-578. 

  28. Kim YS, Jeong DY, Shin DH. 2008. Optimum fermentation condi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ulberry (Morus alba)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69. 

  29.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30. Maisonnave P, Sanchez I, Moine V, Dequin S, Galeote V. 2013. Stuck fermentation: development of a synthetic stuck wine and study of a restart procedure. Int J Food Microbiol 163: 239-247. 

  31. Mo HW, Jeong JS, Choi SW, Choi KH. 2012. Preparation of wine using wild yeast from dried Omija and optimal nutritional requirements for alcoholic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54-260. 

  32. Yook C, Jang EM. 2009. Quality improvement of wines made from domestic grapes by the elimination or addition of grape sk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28-535. 

  33. Margalit Y. 2005. Winery technology and operations. Wine Appreciation Guild, San Francisco, CA, USA. p 1-12. 

  34. Kim JS, Kim SH, Lee WK, Pyun JY, Yook C. 1999.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yield and quality of grap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97-1400. 

  35. Giovanelli G, Buratti S. 2008. Comparison of poly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Italian blueberries and some cultivated varieties. Food Chem 112: 903-908. 

  36. Yook C, Seo MH, Kim DH, Kim JS. 2007. Quality improvement of campbell early wine by mixing with different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90-399. 

  3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32. 

  38. Jeong HS, Han JG, Ha JH, Kim S, Oh SH, Kim SS, Jeong MH, Choi GP, Park UY, Lee H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s of nano-encapsul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83-89. 

  39.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40.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ark YG,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 126-134. 

  41. Sa YJ, Kim JS, Kim MO, Jeong HJ, Yu CY, Park DS, Kim M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α-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42. Park Y, Choi S, Kim SH, Jang YS, Han JY, Jung HK.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Mokchae Konghak 36: 102-1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