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아침식사 섭취빈도와 전반적인 학교생활 인식도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Breakfast Frequency and Awareness of General School Life in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6, 2015년, pp.854 - 861  

우리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김성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섭취빈도(주당 0~2회, 3~6회 및 7회)와 전반적인 학교생활(신체활동, 교사 및 교우관계, 규칙준수, 학습태도, 학업성적, 전반적인 학교생활)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신체활동 영향에 대한 인식도는 남학생(65.1%)에 비해 여학생(77.4%)이 높았다.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규칙준수에의 영향 인식도는 여학생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P<0.01), 남학생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학습태도에 대한 인식도는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비율이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24.0%와 44.5%로 각각 나타났다.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른 학업성적에 대한 인식도는 여학생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0~2회 섭취군 37.5%, 3~6회 섭취군 30.4%, 7회 섭취군 52.2%)(P<0.05), 남학생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도는 남학생(P<0.05)과 여학생(P<0.01) 모두에서 아침식사 섭취빈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아침식사 섭취빈도와 전반적인 학교생활 간의 상관분석에서 남학생은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도(+0.185)(P<0.05)가 가장 높았으며, 교사관계(+0.168)(P<0.05), 학습태도 연관성 인식도(+0.116), 교우관계(+0.049), 학업성적(+0.029)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아침식사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한 인식도(+0.323)(P<0.01)가 가장 높았으며, 규칙 준수(+0.316)(P<0.01), 학습태도 연관성 인식도(+0.267)(P<0.01), 교우관계(+0.215)(P<0.01), 학업성적 연관성 인식도(+0.152), 교사관계(+0.112), 학습태도(+0.118), 학업성적(+0.06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의 아침결식은 학교생활에서의 신체활동을 비롯하여 학습태도, 학업성적, 교사 및 교우관계 등의 전반적인 학교생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아침결식 해결을 위한 국가차원의 아침급식프로그램의 개발 및 학생 및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영양교육의 실시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reakfast frequency (0~2 times, 3~6 times, and 7 times per week) and awareness of general school life (physical activity,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rule compliance, study attitudes, study records, and overall school life) in high scho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섭취실태를 조사한 후 아침식사의 섭취빈도와 전반적인 학교생활 인식도와의 관련성(신체활동, 교사 및 교우관계, 규칙준수, 학습태도, 학업성적, 전반적인 학교생활)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기의 학교생활에 있어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증진 및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과 여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섭취실태를 조사한 후 아침식사의 섭취빈도와 전반적인 학교생활 인식도와의 관련성(신체활동, 교사 및 교우관계, 규칙준수, 학습태도, 학업성적, 전반적인 학교생활)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기의 학교생활에 있어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건강증진 및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용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아침식사의 섭취빈도(주당 0~2회, 3~6회 및 7회)와 전반적인 학교생활(신체활동, 교사 및 교우관계, 규칙준수, 학습태도, 학업성적, 전반적인 학교생활)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그러나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인 동시에 평생의 식생활을 좌우하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7). 우리나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 구들에서 청소년들의 체격은 과거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신체활동량의 감소와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이 문제점으로 제기된 바 있다(6,8,9).
청소년들의 영양 불균형이 가속화되고 있는 이유는? 이러한 여성들의 사회적인 역할 변화는 각 가정에서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균형 있는 식단의 공급이나 건전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기초적인 영양교육이 어려워지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청소년들은 아침결식, 저녁식사의 과다섭취와 같은 불규칙한 식생활과 더불어 외식, 고열량 저영양의 간식 및 가공식품의 섭취 증가와 같은 좋지 못한 식생활을 지속함에 따라 이들 청소년들의 영양 불균형이 가속화되고 있다(4-6).
청소년들이 불충분한 아침 식사를 하게 되면 나타나는 문제는? 청소년들에게 학업이 하루의 주된 활동임을 고려할때 아침식사는 육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물론 정신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불충분한 아침식사 혹은 결식은 뇌의 장시간 공복으로 인해 에너지 공급부 족과 혈당저하가 발생되어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되는 것이다(24). 본 연구 결과 고등학생들은 평상 시 아침식사 섭취 빈도가 높았을 때 아침결식 시 신체활동에 대한 영향을 더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고등학생들의 건전한 신체활동과 평상시 건강유지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아침식사 섭취가 바람 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HR, Shin ES, Lyu ES. 2008. Mothers' perceptions on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rea I: A demographical factor approach. J Korean Diet Assoc 14: 276-290. 

  2. Sim MO. 2003. Parent educational supporting activities for their children. J Elementary Edu 16: 333-358. 

  3. Yang IS. 1997. Enhancing the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through national school breakfast program. J Korean Diet Assoc 3: 223-238. 

  4. Choi SK, Choi HJ, Chang NS, Cho SH, Choi YS, Park HK, Joung HJ. 2008. Snacking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3:199-206. 

  5. Na SY, Ko SY, Eom SH, Kim K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 329-341. 

  6. Ro HK. 2000. Comparisons of nutrient intakes,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between adolescent boys and girls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5:280-288. 

  7. Park BO. 2012. A study on stress, obesity index and dietary habi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p 4-6. 

  8. Kim HS, Lee L. 1993.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of high school girls in the large cities. Korean J Nutr 26: 182-188. 

  9. Lee YN, Choi H.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9: 1-10. 

  10. Nicklas TA, Reger C, Myers L, O'Neil C. 2000. Breakfast consumption with and without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favorably impacts daily nutrient intake of ninth-grade students. J Adolesc Health 27: 314-321. 

  11. Tin SP, Ho SY, Mak KH, Wan KL, Lam TH. 2011. Lifestyle and socioeconomic correlates of breakfast skipping in Hong Kong primary 4 schoolchildren. Prev Med 52: 250-253. 

  12. Nicklas TA, Myers L, Reger C, Beech B, Berenson GS. 1998. Impact of breakfast consumption on nutritional adequacy of the diets of young adults in Bogalusa, Louisiana: Ethnic and gender contrasts. J Am Diet Assoc 98: 1432-1438. 

  13. Kleemola P, Puska P, Vartiainen E, Roos E, Luoto R, Ehnholm C. 1999. The effect of breakfast cereal on diet and serum cholesterol: A randomized trial in North Karelia, Finland. Eur J Clin Nutr 53: 716-721. 

  14. Yi BS, Yang IS. 2006.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 25-38. 

  15. Park KY. 2011. Breakfast and health in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4: 340-349. 

  16. Lee SY, Lee YS, Park JS, Bai YH, Kim YO, Park YS. 2004. Developing breakfast menus for most easily breakfast-skipping groups. Korean J Community Nutr 9: 315-325. 

  17. Cromer BA, Tarnowski KJ, Stein AM, Harton P, Thornton DJ. 1990.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and cognition in adolescents. J Dev Behav Pediatr 11: 295-300. 

  18. Dickie NH, Bender AE. 1982. Breakfast and performance in school children. Br J Nutr 48: 483-496. 

  19. Lopez I, de Andraca I, Perales CG, Heresi E, Castillo M, Colombo M. 1993. Breakfast omiss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of normal, wasted and stunted schoolchildren. Eur J Clin Nutr 47: 533-542. 

  20.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 215-224. 

  21. Soemantri AG. 1989. Preliminary findings on iron supplement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of rural Indonesian children. Am J Clin Nutr 50: 688-701. 

  22. Shim YS.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breakfast skipping on dietary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M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Korea. p 53-62. 

  23. Bae AY. 2009. Relationship between schoolworks and breakfast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p 45-49. 

  24. Lee JH, Lee EH, Choe E. 2014. Study on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for breakfast of elementary,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Korean J Food Cook Sci 30: 170-182. 

  25. Lee MG. 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relevant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breakfast in some areas of Gyeongnam. M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nam, Korea. p 29-33. 

  26. O'Sullivan TA, Robinson M, Kendall GE, Miller M, Jacoby P, Silburn SR, Oddy WH. 2009. A good-quality breakfast i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Public Health Nutr 12: 249-258. 

  27. Yi HJ, Chyun JH. 198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s, food preferences and personality traits of children. Fam Environ Res 27: 85-95. 

  28. Choe JS, Chun HK, Chung GJ, Nam HJ. 2003.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27-635. 

  29. Saldanha LG. 1997. Summary of global knowledge on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3: 214-215. 

  30. Kim HY, Frongillo EA, Han SS, Oh SY, Kim WK, Jang YA, Won HS, Lee HS, Kim SH. 2003. Academic performance of Korean children is associated with dietary behaviors and physical status. Asia Pac J Clin Nutr 12: 186-192. 

  31. Benton D, Parker PY. 1998. Breakfast, blood glucose, and cognition. Am J Clin Nutr 67: 772-778. 

  32. Lee SY, Lee JH, Kim MH. 2014. Comparison of breakfast and nutritional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obesity level in Chungnam area. Korean J Food Culture 29: 390-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