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전통식품 품질인증 된장에 대한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전통된장의 과학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집된 전통된장을 대상으로 headspace SPME-GC/MS 분석을 실시하고 전반적인 국내 유통 전통된장의 휘발성 성분 패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59종의 성분이 동정되었고 각각 acids 8종, alcohols 8종, aldehydes 8종, esters 15종, ketones 2종, phenols 4종, pyrazines 9종, miscellaneous 5종으로 확인되었다. 전통된장의 주요성분은 acid류, ester류, aldehyde류 및 pyrazine류였으며, 그중 acetic acid, ethyl alcohol, benzaldehyde, ethyl acetate, ethyl 2-methyl butanoate, 2,5-d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이 동정된 전통된장의 휘발성 성분 중 비교적 높은 강도를 차지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전통된장은 기본적인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isovaleric acid, 2-methylbenzaldehyde, tetramethylpyrazine, benzaldehyde, ethyl alcohol, ethyl caprylate, furfural, butanoic acid 성분들이 일부 된장에서 특이적으로 높아 이들 성분이 전통된장의 품질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통식품 품질인증 된장에 대한 휘발성 향기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품질 현황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통한 제품 발전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the management of traditional Doenjang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in local Doenjang certified as a traditional food. The main compounds in Doenjang were acids, esters, aldehydes, and pyrazines, whereas relatively high in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전통식품 품질인증 된장에 대한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을 분석하여 전통된장의 과학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집된 전통된장을 대상으로 headspace SPME-GC/MS 분석을 실시하고 전반적인 국내 유통 전통된장의 휘발성 성분 패턴을 분석하였다.
  • 최근 Kang 등(19)은 전통식품 품질인증 된장(commercial doenjang certified for traditional food)의 품질 특성 연구를 통해 품질인증 된장의 우수성 규명을 위한 품질 특성과 isoflavone 함량을 평가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식품 품질인증 된장을 수거하여 이들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을 통해 전통된장의 향기 품질을 평가하고자 하며, 본 연구 결과는 전통식품 품질인증 된장에 대한 휘발성 향기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품질 현황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통한 제품 발전의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된장이란 무엇인가? 된장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장(醬)으로 대두를 원료로 제조한 발효식품이며 주로 국이나 찌개 등의 양념으로 사용된다. 된장은 그 제조방법에 따라 개량식 된장과 재래식 된장이 있다.
된장의 향기성분이 생성되는 원리는? 2에 나타내었다. 된장의 향기성분은 미생물에 의해 콩의 주요성분인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발효과정 중 Maillard 반응과 미생물, 다양한 효소적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24). 따라서 전통된장의 향기성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전체적인 인증 된장의 향기 품질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일부 된장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전통된장의 품질지표로 가능한 향기성분은? 따라서 전통된장의 향기성분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전체적인 인증 된장의 향기 품질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PCA 분석 결과 대부분의 향기성분이 모든 샘플에서 공통적으로 분석되어 전통된장의 기본적인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isovaleric acid, 2-methylbenzaldehyde, tetramethylpyrazine, benzaldehyde, ethyl alcohol, ethyl caprylate, furfural, butanoic acid 성분들이 일부 된장에서 특이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이들 성분이 전통된장의 품질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특히 효모나 낙산균(butyric acid bacteria)에 의해 생성되는 ethyl alcohol과 butanoic acid는 된장의 발효 품질을 추정하기에 유용한 물질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won SH, Lee KB, Im KS, Kim SO, Park KY. 2006.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 ferment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94-1199. 

  2. Bae CR, Kwon DY, Cha YS. 2013. Anti-obesity effects of salted and unsalted Doenjang supplementation in C57BL/6J mice fed with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036-1042. 

  3. Jung KO, Park SY, Park KY. 2006. Longer aging time increases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properties of doenjang. Nutrition 22: 539-545. 

  4. Park KY, Jung KO, Rhee SH, Choi YH. 2003. Antimutagenic effects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paste) and its active compounds. Mutat Res 523: 43-53. 

  5. Lim SY, Park KY, Lee SH, Choi JS. 2007.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meju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Life Sci 17: 76-81. 

  6. Lim SY, Rhee SH, Park KY. 2004.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36-940. 

  7. Kumazawa K, Kaneko S, Nishimura O. 2013.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causing the characteristic flavor in miso (Japanese fermented soybean paste) and heat-processed miso products. J Agric Food Chem 61: 11968-11973. 

  8. Masilamani M, Wei J, Sampson HA. 2012. Regulation of the immune response by soybean isoflavones. Immunol Res 54: 95-110. 

  9. Soomro AA, Devrajani BR, Ghori RA, Lohana H, Qureshi A. 2008. Role of branched chain amino acids in the management of hepatic encephalopathy. World J Med Sci 3: 60-64. 

  10. Park SL, Lee SY, Kim IS, Lim SI, Song J, Choi SY. 2013.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quality certificated traditional doenjang in Korea. Food Eng Prog 17: 401-406. 

  11. Kwon DY, Hong SM, Ahn IS, Kim MJ, Yang HJ, Park S. 2011. Isoflavonoids and peptides from meju, long-term fermented soybeans, increase insulin sensitivity and exert insulinotropic effects in vitro. Nutrition 27: 244-252. 

  12. Koh EM, Mitchell AE. 2011. Characterization of urinary isoflavone metabolites excreted after the consumption of soy flour or soybean paste using LC-(ESI)MS/MS. J Food Biochem 35: 1474-1485. 

  13. Jung WK, Choi IW, Hong GE, Pyun CW, Park K, Park PJ, Seo SK, Choi YH, Lee CH. 2010. Effects of isoflavone aglycone-rich fermented soybean paste extracts 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MG-63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803-809. 

  14. Hong Y, Jung HJ, Kim HY. 2012. Aroma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Korean soybean paste (doenjang)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Food Sci Biotechnol 21: 1163-1172. 

  15.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form different type of stra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16. Jo YJ, Cho IH, Song CK, Shin HW, Kim YS. 2011. Comparison of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by different methods based on profiling of volatile compounds. J Food Sci 76: C368-C379. 

  17. Ji WD, Lee EJ, Kim JK. 1992.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Meju and improved Meju. J Korean Agric Chem Soc 35: 248-253. 

  18. Heo JI, Jin SY. 2011.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gricultural food accreditation and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and traditional food quality certification. Korean J Food Culture 26: 220-229. 

  19. Kang JE, Choi HS, Choi HS, Park SY, Song J, Choi JH, Yeo SH, Jung ST. 2013.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deonjang certified for traditional food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4: 537-542. 

  20. Lee SJ, Ahn B. 2008.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71-276. 

  21. Namgung HJ, Park HJ, Cho IH, Choi HK, Kwon DY, Shim SM, Kim YS. 2010. Metabolite profiling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during fermentation. J Sci Food Agric 90: 1926-1935. 

  22. Peng X, Li X, Shi X, Guo S. 2014. Evaluation of the aroma quality of Chinese traditional soy paste during storage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od Chem 151: 532-538. 

  23. Sun SY, Jiang WG, Zhao YP. 2010. Profile of volatile compounds in 12 Chinese soy sauces produced by a high-salt-diluted state fermentation. J Inst Brewing 116: 316-328 

  24. Ji WD, Lee EJ, Kim JK. 1992.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Meju and improved Meju. J Korean Agric Chem Soc 35: 248-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