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6, 2015년, pp.379 - 391  

고경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심미영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스트레스가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의 완화, 가족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mediated structural relation of college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with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looked into how unemployment stress would directly affect self-ef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매개로 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될 경우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차별화된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실천 적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종합해 보면, 대학생활적응은 취업스트레스에 직접적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 및 가족지지에도 영향을 받는 변인임을 알 수 있지만, 이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가설적 관계에 근거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취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인들 간의 전체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취업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토대로 변인들 간의 전체적인 관련성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이론적 모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매개로 한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될 경우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완화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도와줄 수 있는 차별화된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실천 적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스트레스로 무엇이 있는가? 취업스트레스는 학업과 졸업 후의 취업관련 문제로 인하여 대학생활 중에 신체적, 심리적 평형상태가 파괴되고 위기, 긴장감, 또는 불안을 느끼는 상태로[71],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많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스트레스로는 학업, 진로 및 취업, 인간관계, 건강, 대인관계 기술 등이 있고, 그 중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대학생들은 학업 및 취업영역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65-68]. 특히 대학생의 시기는 직업에 대한 준비와 결정을 해야 하는 시기로 취업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69] 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적응에도 부정적 영향[70]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취업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취업스트레스는 학업과 졸업 후의 취업관련 문제로 인하여 대학생활 중에 신체적, 심리적 평형상태가 파괴되고 위기, 긴장감, 또는 불안을 느끼는 상태로[71],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많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스트레스로는 학업, 진로 및 취업, 인간관계, 건강, 대인관계 기술 등이 있고, 그 중에서도 많은 연구자들이 대학생들은 학업 및 취업영역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65-68]. 특히 대학생의 시기는 직업에 대한 준비와 결정을 해야 하는 시기로 취업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69] 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적응에도 부정적 영향[70]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취업스트레스를 줄여 대학생활적응을 도와주고, 부적응을 예방하기 위해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 애착,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 등과 같은 변인들이 대학생활적응과 관련이 있거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조절해주는 잠재적인 변인으로 밝혀졌다[5-12]. 이러한 잠재적 변인은 개인의 내적 요소인 학습자 변인과 학습자의 환경적 변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황매향, 박혜영,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학교적응도와의 관계", 직업능력개발연구, 제8권, 제2호, pp.157-176, 2005. 

  2. 김영상,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 통계청, 2013 청소년 통계, 2013. 

  4. 통계청, 2013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13. 

  5. 이윤조,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자기효능감 및 대학 생활적응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6. 홍계옥, 강혜원, "대학생의 부모애착, 학업적 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제13권, pp.133-144, 2010. 

  7.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2호, pp.235-253, 2011. 

  8.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97-218, 2011. 

  9. 조발그니, 류정희, "학습기술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학업적 유능성, 가족의 지지) 자기가치 수반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8호, pp.1-21, 2012. 

  10. 김종운, 김지현,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248-259, 2013. 

  11. 이경완, 문인오, 박숙경,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27, 2013. 

  12. 김종운, 이명희,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 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506-516, 2014. 

  13. A. Bandur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8, No.2, pp.117-148, 1993. 

  14. A. Bandura, Regulation of cognitive process through perceived self-efficacy,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5, No.5, pp.729-735, 1989. 

  15.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ur, Vol.16, No.3, pp.282-298, 1980. 

  16. 박현미,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 성숙과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7. 김정현,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부모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3권, 제4호, pp.161-183, 2008. 

  18. 박현미, 장석진, "가족지지와 청소년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21, 2013. 

  19. E. Schmitt-Rodermund and F. W. Vondracek, "Breadth of interests, exploration, and ident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5, pp.298-317, 1999. 

  20. 이은우, 대학생의 정서지능,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1. 이숙정, 유지현,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학회지, 제22권, 제3호, pp.589-607, 2008. 

  22. 이지선,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3. 박영신, 김의철, 김영희, 민병기, "초등학생의 생활만족도 형성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분석 :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5권, 제1호, pp.57-76, 1999. 

  24. 김의철, 박영신,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교육심리연구, 제13권, 제1호, pp.99-142, 1999. 

  25. M. London, "Overcoming ccaareer barriers :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Vol.24, No.1, pp.25-38, 1999. 

  26. 박영신, 김의철, 곽금주, "한국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 : 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3권, 제1호, pp.79-101, 1998. 

  27. D. W. Chan, Adjustment problem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hinese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Report Review, Vol.28, No.4, pp.203-209, 2006. 

  28. 이강선,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학교생활적응,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9. 류경희,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변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 12호, pp.147-166, 2003. 

  30.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31.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32. A. Peterson, Adolescents and stress. In L. Goldberg & S. Breznitz(Eds), Handbook of stress-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pp.515-528), N.Y : Macmilan, Inc, 1982. 

  33. M. Rutter, "Psychosocial f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American Journal of Orthpsychiatry, Vol.57, pp.316-331, 1987. 

  34. C. M. Aldwin,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An integrative perspective, N.Y. : Guilford Press, 1994. 

  35. R. L. Payne and J. G. Jones, Measurement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social support. In S. V. Kasl & C. L. Cooper(Eds.), Research methods in stress and health psychology(pp.167-205), N.Y :John Wiley & Sons, 1995. 

  36. J. K. Kiecolt-Glaser and B. Greenberg, "So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aftereffect of stress in female psychiatric impatii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3, No.2, pp.192-199, 1984. 

  37.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 

  38. Furman and Buhrmest,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1, pp.1016-1024, 1985. 

  39. 김은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 정체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0. W. R. Avison and D. D. McAlpine,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3, pp.77-96, 1992. 

  41. C. J. Holahan, D. P. Valentiner, and R. H. Moos, "Parent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 An integrative model with late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4, pp.633-648, 1995. 

  42. Bandura, Self -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and Company, 1997. 

  43. 김수리,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4. 장혜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5. 황성원,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46. E. F. Dobow and D. G. Ulman,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No.1, pp.52-64, 1989. 

  47. S. Harter, Manual for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Children, Denver: University of Denver, 1985. 

  48.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49.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0.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1-64, 1996. 

  51. 김아영, "학구적 실태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19, 1997. 

  52. R. W. Baker and B. Siryk, "Measurity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1, pp.179-189, 1984. 

  53. 김효원, 가족체계유형 및 진로결정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4. 문수백, 구조방정식모형의 이해, 학지사, 2009. 

  55. R. B. Kline, Principle and practi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ition, NY : Guillford press, 2010. 

  56.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접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9권, pp.161-177, 2000. 

  57. L.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rling, Vol.6, No.1, pp.1-55, 1999. 

  58. 김성경,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2호, pp.215-237, 2003. 

  59. R. A. Young, L. Valach, J. Dillabough, C. Dover, and G. Matthes, "Career research from an action perspectiv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3, No.2, pp.185-196, 1994. 

  60. 최은실, 애착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61. 김용래, 유효현, "자기효능감과 수업동기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탐색", 인문과학, 제10권, pp.93-115, 2002. 

  62. 문은식, 김충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제16권, 제2호, pp.219-241, 2002. 

  63. 최지은, 신용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2호, pp.199-210, 2003. 

  64. D. D. Dubois, R. D. Felner, H. Meares, and M. Krier,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ocioeconomic disadvantage,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early adolescent adjustment," Joural of Abnomal Psychology, Vol.103, No.3, pp.511-522, 1994. 

  65. 박경일,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음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6. 이은희,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1호, pp.25-48, 2004. 

  67. 홍지연,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8. 표은경, 여대생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9. 정의석, 노안영,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증 자아존중감 및 신체건강과의 관계연구", 학생 생활연구, 전남대학교, 카운슬링센터, 제33권, pp.85-101, 2001. 

  70. 강미영, 대학생의 취업준비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취업탐색 행동, 스펙5종별 준비정도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1. 이용길, 강경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결정효능감 분석", 공학교육연구, 제4권, 제2호, pp.60-67, 2011. 

  72.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73. 정운정, 대학생의 가족지지, 진로정체감, 진로신념과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4. 류진숙,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가족탄력성, 자기 결정성 및 진로결정 몰입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5. 임통일, "가족지지가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요인간 구조분석", 재활복지, 제17권, 제3호, pp.55-8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